Q. 탄소화합물 구분이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유기물은 전통적으로 생물이 만들어 낸 탄소화합물로 인식되어 왔다. 유기탄소와 무기탄소의 비교적 간단한 구분은 탄소화합물 중에서 수소의 존재 여부이다. 거의 모든 유기탄소는 탄소-수소 결합을 가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메탄(메테인, CH4)은 유기화합물로 인식되지만 이산화탄소(CO2)는 무기탄소로 인식된다. 그런데 사염화탄소(CCl4)와 요소(CO(NH2)2)는 탄소-수소 결합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유기탄소이다. 유기물에는 탄소, 질소, 인, 산소, 수소, 황 등 다양한 원소들이 공존하는데 유기물의 탄소를 유기탄소라고 한다.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Q. 적조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적조현상 역시 물의 부영양화에 따라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는데요, 오래전에는 단순히 비눗물이나 유기양분들이 과다하게 유입되어서 적조가 발생되는 것에만 집중을했다면, 최근에는 갯벌이 사라짐 역시 적조현상의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갯벌은 바다를 살아있게 만들어주는 호흡체와 같거든요. 갯벌에는 수 많은 생명이 살아가면서 바다를 정화하는데, 그 중 몇몇 생명들을 플랑크톤을 먹으면서 살기 때문에 적정량의 플랑크톤 유지가 자연적으로 가능했다는 것이죠.그러나, 간척사업 등으로 갯벌이 사라지고 갯벌 속 생명들이 죽어가면서 자연방법의 플랑크톤 유지기능이 상실되어 적조 현상의 원인이 된다고 설명하기도 한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하늘로 올라 갈수록 기온이 왜점점 떨어지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에너지가 우리가 사는 곳으로 내려오면 모든 물체는 복사라고 하는 걸 합니다.열에너지를 받고 어느 정도 방출 하는 거죠 이때 방출된 에너지를 지구복사에너지라고 합니다.지구복사에너지의 일정 부분은 우리가 숨쉬는 대기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나 메탄, 등등의 온실가스에 흡수되어집니다.(참고로 온실효과는 우리가 인위적으로 석탄, 석유를 태우면서 이산화탄소가 증가되어 온실가스 많아져서 지구복사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하게 되면서 기온이 오르는 현상입니다)이러한 대기권은 중력에 의해서 지표에 가까울 수록 많은 존재하는데요.대기가 많으니깐 당연히 이산화탄소같은 온실가스도 많겠죠??때문에 지표의 온도는 높고, 지상위로 갈 수록 온실가스가 적어져서 기온이 낮아집니다.즉, 대기밀도가 높은 지표부근은 지구복사에너지의 흡수량이 많고, 상부로 올라 갈수록 지구복사에너지의 흡수량이 줄어들게 됩니다.그래서 지표부근의 기온은 높고, 상층으로 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겁니다.
Q. 주유소에 기계는 어떤원리로 가득찼을때 주입을 멈출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주유기에서 자동차의 주유구와 연결하는 부분의 이름을 주유건이라고 하고, 주유건의 레버를 당기면 연료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주유건의 기다란 부분을 스파우트(spout)라고 합니다. 스파우트를 자세히 보면 끝에 커다란 구멍과 조그마한 구멍 2개가 있을 겁니다. 하나의 구멍에서는 연료가 나가고, 작은 구멍에서는 공기를 빨아들입니다. 빨려 들어간 공기는 주유건에서 나가는 기름과 함께 섞여서 다시 자동차의 연료탱크로 배출됩니다.주유건에서 나가는 기름으로 연료탱크에 연료가 차기 시작하면 언젠가는 스파우트 끝 부분의 조그마한 구멍과 맞닿게 됩니다. 스파우트의 조그마한 구멍과 연료가 맞닿으면 더는 공기를 빨아들일 수 없으므로 연료를 빨아들이게 됩니다. 조그마한 구멍으로 유입된 연료는 주유건의 다이어프램 상층부에 압력을 가해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펴줍니다.스프링이 펴지면 주유건의 후퇴 레버가 순간적으로 위로 당겨졌다가 아래로 내려지면서 탁 소리를 내고, 차단 밸브가 연료 공급을 막습니다. 즉, 특별할 것 없이 구멍을 하나 더 만들어 냄으로써 연료가 가득 찼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근데 간혹 기름이 역류하면 연료탱크에 연료가 다 차기도 전에 멈추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