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공학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천연물 유래일 경우 약 대부분이 원래는 자연에서 독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독이 들어있는 음식의 맛이 써야 모르고 입에 넣어도 삼키지 않고 바로 뱉어 죽음을 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독을 쓴맛으로 느끼게 진화한 셈이다. 다만 이 과정이 완벽하지는 못해서 독버섯처럼 맹독성임에도 쓴맛이 강하지 않아 치명적인 결과가 일어나기도 한다.한편 독의 용량을 낮추다 보면 어느 순간 특정한 질병에 걸린 사람에게 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독의 쓴맛이 워낙 강하므로 약으로 쓰는 극미량이라도 입에는 꽤 쓰다.
생물·생명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나무가 산소를 준다고 알고 있는데 만약 나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도 산소가 부족해 질것입니다. 그래서 호흡을 하는 동물이 줄어 들것같습니다. 거기에 적응하는 동물만 살 아남껬지요.바다나 갯벌 등 수중 생물에서 산소를 발생하니 산소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산의 도로를 차로 가면 귀가 막히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우리는 보통 살고있는 곳의 기압보다 높은 곳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 집니다. 그래서 우리는 보통 귓속에 1기압으로 맞추어져 있는데 높은 곳에 올라가면 상대적으로 내 귓속은 기압이 높습니다. 그래서 고막을 밀어내어 먹먹해지는 것입니다. 침을 삼키거나 시간이 지나면 다시 귓속과 외부의 기압이 자연스럽게 맞추어져 다시 원상태로 돌아 갑니다.
화학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스테인레스'는 구조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H. 브레얼리가 크로뮴을 첨가한 내식강을 만든 것이 시초이며, 오늘날 사용되는 것은 크게 철-크로뮴계의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과 철-니켈-크로뮴계의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나뉜다. 전자는 상온에서의 철의 결정계인 체심입방결정 속에 많은 크로뮴을 녹여 넣어서, 산화될 때 철과 크로뮴의 양쪽 산화막을 표면에 만들어 내부를 보호하도록 한 것으로 13%의 크로뮴을 첨가한 크로뮴스테인리스강이 유명하다. 내열합금으로는 크로뮴이 더 많은 27% 크로뮴스테인리스강 등이 사용된다. 12∼13%의 낮은 크로뮴의 것은 담금질에 의해 마텐자이트상(相)이 되므로 마텐자이트스테인리스강이라고도 한다.스테인 레스강은 크롬함량에 따라서 녹이 슬기도 하고 녹아 않슬기도 하죠. 내식성이 철에 비해 엄청 좋은 금속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지적설계론이라는 것은 무슨 이론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적 설계론은 자연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해 다윈의 진화론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많아 하나님과 같은 찬조자가 개입, 설계한 것이 틀립없다는 주장입니다
화학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물을 끓이면 물안에 있던 미네랄 성분도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칼슘성분이 높으면 높은 열에 의해서 칼슘성분이 탄산칼슘으로 변하면서 부유물처럼 보기에 됩다 그러나 물자체가 변질되거나 잘못된 것이 아니므로 건강에 지장이 없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뇌의 크기와 지능은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뇌의 크기와 지능과는 관련이 있습니다.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뇌가 큰 집단일 수록 아이큐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그런데 꼭 뇌의 크기가 지능과 연관되어 있다고도 볼 수 없습니다. 자라는 환경에 따라서 뇌가 작더라도 지능이 매우 높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아인슈타인은 뇌가 평균사람보다 작았지만 모두가 아시다시피 최고의 천재 과학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우주에 오래있으면 뼈가 약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오래 생활을 하면 지구에서 보다 활동량이 줄어 들고 또 중력이 없기 때문에 우리몸에 생기는 자극이 거의 없어집니다. 이때 우리뼈는 뼈속의 칼슘을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그 이유는 자극이 없기에 뼈가 그리 단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몸이 적응하는 거죠. 그래서 뼈가 약해지고 근육도 약해지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4월 12일 작성 됨
Q.
달팽이는 암컷과 수컷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달팽이는 등껍질 안쪽 부분의 색으로 구분하거나 생식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애플 스네일을 거꾸로 들고 있으면 껍질 속에서 나올 때 확인이 가능합니다. 등껍질 안쪽의 색깔은 수컷의 경우 노란색/ 암컷의 경우 검은색을 띱니다.
화학
2023년 4월 11일 작성 됨
Q.
과자 봉지에 질소를 넣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에 튀긴 과자는 산폐하기 쉽습니다. 또 산소는 생물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기체이기 때문에음식의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을 활발히 활동하게 한답니다.때문에 미생물의 먹이가 풍부한 포장지안에 산소까지 풍부해지면곰팡이나 산소를 좋아하는 세균들이 많이 번식하게 되고 음식은 빠르게 부패하게 되죠.그래서 음식 포장에는 산소를 사용하지 않는답니다.또 질소는 공기 중에 78%나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구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독이 없고 음식을 부패시키지도 않죠.따라서 음식 포장에는 주로 질소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랍니다.
271
272
273
274
2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