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화학
화학 이미지
Q.  물이 끓는 온도가 100도이면 알콜은 몇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의 끓는점은 OH기의 수소결합으로 일반적인 화합물들보다 끓는점이 높은편이고 탄소길이가 길어질수록 알코올의 끓는점은 높 아진다OH기에 대한 입체장애가 심할수록 수소결합의 성질이 약해져 끓는점이 낮아진다 즉 ( 끓는점 : 1차 > 2차 > 3차)메탄올 끓는 점 : 66도이소 프로필 알콜 : 80도 이네요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인공 강우 만드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수원리에 착안해 아직 빗방울이 형성되지 않은 구름에 인공적으로 구름씨가 될 수 있는 물질을 뿌린다. 구름 속에 뿌려진 물질은 구름에 있는 수증기를 물방울로 응결하도록 만든다. 응결된 물방울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비가 돼 내리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공강우를 만드는 원리다. 인공강우라고 해서 없던 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흩어져 있는 수증기를 끌어 모으는 것이다.구름의 온도에 따라 사용되는 구름씨도 달라진다. 빙정설에서 가정하는 구름처럼 차가운 구름에는 요오드화은(AgI)과 드라이아이스가 많이 사용되며 따뜻한 구름에는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지닌 염화나트륨(NaCl)이나 염화칼슘(CaCl구름씨를 구름에 뿌리는 방법은 구름씨를 뿌리는 위치에 따라 크게 비행실험과 지상실험으로 나눌 수 있다. 비행실험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구름 속에 구름씨를 집어넣는 방법이며 지상실험은 풍상측의 산 밑에서 요오드화은을 연소시켜 산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기류에 구름씨 입자도 함께 올라가 구름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구상에 존재하는 조류 중에서 시력이 가장 좋은 새는 어떤 새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타조의 시력이 매우 좋습니다. 시력이 거의 25.0이나 되고 4 km 밖에 있는 물체도 식별한다고 합니다. 사람보다 거의 10배 이상의 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캥거루와 같은 유대류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유대류는 포유류 중에서 후수하강에 속하는 동물군을 일컫는 말이 암컷의 몸에는 2개의 자궁과 아기주머니(육아낭)가 있어 이 육아낭에서 새끼를 키우는 것이 특징이다.유대류 하면 유명한 것은 주머니. 거의 모든 유대류 동물이 주머니를 가지고 있고[4], 거기에서 새끼를 키운다. 이 주머니는 자궁이나 다름없고, 그 안의 젖꼭지는 태반류의 젖꼭지라기보단 탯줄에 가깝다. 새끼는 미성숙한 채로 태어나 주머니에서 상당기간 동안 양육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람이 살아가면서 활동하기 좋은 최적의 온도는 몇 도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몇도라고 고정하기에는 좀 어렵습니다. 개인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15~18도가 가장 이상적인 온도로 생각됩니다. 추위를 많이 타는 분은 24~26도가 좋고더위를 많이 타는 분은 17~20도가 좋고쾌적한 환경은 15~18도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인체에서 가장 강한 근육을 가진 부위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의 근육 중 가장 강한 것은 바로 혀라고 합니다.혀는 한 사람을 단번에 무너뜨릴 수 있다. 그 몸집이나 힘이 어느 정도가 되든 상관없다 또한 혀는 별로 힘을 들이지 않고도 누군가를 거뜬히 들어 올릴 수도 있고, 몇 천, 몇 만 명의 사람들을 통째로 무너뜨릴 수도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밀물과 썰물 현상은 왜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썰물과 밀물의 근본적인 원인은 달과 지구사이에 작용하는 인력때문입니다. 지구와 달이 가까울때 밀물이 들어오고 멀어질때 썰물이 되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금속마다 불꽃색깔은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들은 각각 고유의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들을 갖고 있습니다.원자마다 갖는 고유의 에너지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와 상태를 이용해 "바닥상태"와 "들뜬 상태"를 나타냅니다.금속이 불꽃에 의해 열에너지를 받게 되면원자 내의 에너지가 증가하여 들뜬 상태가 됩니다.이러한 금속 원소는 다시 안정화되기 위해서바닥상태로 되돌아오게 됩니다.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전자가 다시 내려올 때,각 원소마다 고유의 E 값이 방출되는 것이지요.이때 각 금속마다 고유의 에너지를 내기 때문입니다.Li(리튬), Li+(리튬 이온) ⇒ 빨간색Na(나트륨), Li+(나트륨 이온) ⇒ 노란색Ca(칼슘), Ca2+(칼슘 이온) ⇒ 주황색K(칼륨), K+(칼륨 이온) ⇒ 옅은 보라색Cu(구리), Cu2+(구리 이온) ⇒ 청록색Sr(스트론튬), Sr2+(스트론튬 이온) ⇒ 짙은 빨간색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연어는 속살이 붉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아스타잔틴은 색소 때문입니다.바로 붉은색을 도는 색소에요미오글로빈이 적고, 적색 색소 아닌 아스타잔틴!크릴새우, 게, 연어 등붉은빛이 도는 해양 동물 또는해조류에 있어요연어의 주 먹잇감인새우가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이죠여기서가끔 연어가유독 더 주황색이 진하거나주황색이지만 하얀 편인 경우를본 적이 있으신가요?자연산과 양식의 차이인데요자연산은유독 더 빨간빛을 띠고 있는데요자연에서 천연 새우를 먹어서그런 결과이며,양식은아무래도 사료를 먹이니까사료에 착색제가 섞인 것이기에그렇게 보이는 것이라고 해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유를 먹으면 키가 큰다고 하는데 의학적 근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유를 먹으면 키 큰다’는 말은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우유를 권하는 것중에서가장 많이 하는 말 중에 하나일것같네요.그 이유는 우유의 칼슘 섭취를 통해 뼈 성장이 이뤄지기때문이라는 것이 대표적인데요.​그런데 이런 우유에 대한 효과의 경우에아직도 과학계에서는 그렇다 할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라고 합니다.​‘미국의학협회 소아과학(JAMA Pediatrics)저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우유 소비량이 많은 국가의 아동들이 그렇지 않은 국가의 아동들보다도뼈가 강하다는 근거가 전혀없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유를 마시지 않는다고 하여서뼈의 밀도가 감소하거나 약해지진 않는다는 뜻도 되기도 하구요.​어릴 때 우유를 마시지 않아도 키가 큰 사람들이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우유 먹으면키 큰다는 명제가 진실이 될 수는 없다는 것이우유에 대한 효과를 부정하는 사람들의 주장입니다.
2912922932942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