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컴퓨터 바탕화면에 동영상 사진을 슬라이딩시켜놨는데..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산호를 두고 동물이냐 식물이냐 하는 논쟁은 과거에 있었습니다. 18세기까지만 해도 산호는 식물로 분류되었으며, 석회질 골격을 가졌다 하여 광물로 오인되기까지 했다고 합니다산호는 강장과 입을 가진 작은 개체(個體)인 산호충들이 모여 있는 군체(群體)로 자포동물로 분류됩니다. 산호충은 입 부분에 있는 수없이 많은 촉수를 이용하여 동물성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 이들 촉수를 폴립(polyp)이라고 한다. 폴립은 그리스어로 ‘많은 다리’라는 뜻이다. 전 세계에 분포하는 2,500여 종의 산호들은 폴립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색을 지니고 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구리,두꺼비,맹꽁이는 같은 종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1. 맹꽁이학명 : Kaloula borealis 계 : 동물 문 : 척삭동물 강 : 양서 목 : 무미 과 : 맹꽁이쟁기발개구리'라고도 한다. 몸길이 약 4.5㎝이다. 몸통은 팽대되어 있고 머리 부분은 짧아 몸 전체는 둥글다. 등면에 작은 융기가 산재하고, 황색 바탕에 청색을 띤다. 머리 부분에 검은색의 대리석 무늬가 있으며, 가슴과 몸통 뒤끝에 이르는 부분에 검은색 얼룩 무늬가 있다. 등면에 있는 작은 융기 주위는 검은색으로 둘러싸여 있다. 몸통의 배면을 이루는 바탕색은 황색이고, 양 옆에 연한 검은색을 띤 대리석 모양의 얼룩 무늬가 있다.주둥이는 짧고 작으며 앞끝이 약간 둔하면서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다. 울음주머니는 아래턱 앞쪽 끝에 1개가 있으며, 아래·위턱에 이가 없다. 혀는 타원형이고 앞끝에 돌기가 없다. 동공은 검은색이고 타원형이며, 홍채는 검은색으로 황금색의 가루를 바른 것처럼 보인다. 물갈퀴는 발달하지 않고 깊게 패어 있다.2. 두꺼비학명 : Bufo bufo gargarizans 목 : 개구리목 과 : 두꺼비과일반적으로 두꺼비과의 개구리류를 통칭하기도 한다. 몸길이 60~120 mm 이다. 등면은 보통 갈색이고 피부융기의 위끝 부분은 흑색이다. 몸통과 네다리의 등면에 불규칙한 흑갈색 무늬가 있다. 몸의 옆쪽에는 흑색 세로줄이 있다. 배면은 전체적으로 연한 황갈색이지만 황색을 띤 회백색의 개체도 있으며, 암갈색의 작은 무늬가 산재한다.머리는 몸에 비하여 크며 등면에 골질의 융기가 있다. 안비선(眼鼻線)이 현저하고 주둥이의 등면과 뺨 부분이 약간 패어 들어갔다. 고막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작다. 귀샘은 길고 뚜렷하다. 몸통 등면에는 많은 피부융기가 있고 네다리는 보통 짧다.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몸길이가 길고 다리는 짧으며 피부융기는 조밀하고 무늬가 좀 더 확장되어 있다. 주로 육상에서 생활하며 곤충류나 지렁이 등을 포식한다. 산란기에는 하천이나 늪 등에 모여들고 이 시기 이외에는 습한 곳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3. 개구리 : 양서강(兩棲綱) 무미목(無尾目)에 속하는 개구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학명 : frog강 : 양서목 : 무미개구리는 한자어로 와(蛙)라고 한다. 무당개구리·두꺼비·청개구리·맹꽁이·개구리 등의 각과가 이에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몸체가 작고 다리가 긴 종류를 개구리라 하며, 또 예로부터 울음소리를 즐기기 위해 사육한 기생개구리도 개구리라 하였다.몸체가 셋 중에서 가장 작고 다리가 가장 길고 물갈퀴가 발달해 있음. 개굴개굴 울며 매끈한 등을 가지고 있음. 물속에 알을 낳아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머리가 크면 뇌도 크고 그래서 두뇌가 좋다?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가 크면 일반적으로 뇌도 큰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뇌가 크면 똑똑한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천재인 아인슈타인은 뇌의 크기가 일반인 평균 무개 1.48g 보다 작은 1.23kg으로 작은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그래서 자기가 개발하기에 따라 뇌의 크기에 관계없이 똑똑해 질 수 있는 능력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거 같습니다. 뇌의 크기와 지능을 가지고 논문을 쓴 내용이 많이 있습니다. 1. 2005년 미국 버어지니아 커먼웰스 대학의 맥다니엘 박사는 15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적으로 머리가 클수록 지능 지수가 높았고 남자보다 여가가, 어린이보다 성인일 수록 이런 경향이 더 강하게 드러났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2. 2016년 영국 에딘버러 대학 연구팀의 논문은 지능이 머리 둘레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는데 신생아 때의 머리 둘레의 평균을 34.5cm로 하여 신생아 때 이보다 머리 둘레가 컸던 사람들을 크다와 매우크다로 구분했는데 신생아 때 매우크다에 들어간 사람들이 학업 성취도가 높고 고학력 비율이 높았다는 연구논문이 있습니다. 그 밖에 여러가지가 있는데 결론적으로 머리가 크면 뇌도 크고 머리도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계곡은 어떻 현상으로 생성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계곡의 일반적인 형성 기작은 유체에 의한 침식작용과 습곡현상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침식작용에 의해서 계곡이 형성되는 경우, 침식을 일으키는 인자가 무엇인가에 따라 계곡의 형태가 결정된다. 하천에 의한 침식작용으로 계곡이 형성되는 경우는 단면이 V자 형태를 띄는 계곡이 초기에 형성되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의 유동경로가 변화함에 따라 넓어져 범람원을 형성하며 넓어지고, 최종적으로 완만하게 휜 형태의 노년곡을 형성하게 된다. 얼음, 즉 빙하에 의해 계곡이 형성되는 경우는 특징적으로 U자 형태의 계곡을 형성하는데, 북유럽의 피오르드 지형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우리나라 여러 발전 설비중에 원자력에 대해 말이 많은데..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력 발전은 우라늌, 토륨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근에는 용융염제나 다른 중간체를 이용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핵융합 기술을 활용한 원자력 발전 기술 개발도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겨우에는 수소 등의 유기물질을 이용합니다. 그래서 광물의 종류와 상관없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얼마전 자연인 대상의 TV프로를 보면서 대화 내용중...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광 발전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것으로 태양에서 나온는 빛을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고, 주로 지붕이나 대규모 발전에 이용되고태양열 발전은 건물의 난방 및 냉각에 사용되는 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것입니다.태양으로 부터 오는 복사열을 물등의 온도를 올려서 난방 등에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학교 다닐때 죽으라 외웠던 원소 주기율표를 다시 보니...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주기율표는 원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시각화하고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원소의 전자구조, 반응성, 산화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화학 반응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원소 주기율과 그룹내 위치에 따라서도 성질이 유사한 원소들끼리 그룹짓는 것으로 체계적인 분류와 연구가 가능하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과 달리 동물들도 색깔을 구분해서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일부 동물은 색상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새는 알의 색상으로 자신의 종류를 식별하고 파리와 같은 작은 곤충들고 꽃잎과 같은 먹이의 색깔에 반응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물들은 흑백 또는 명암차이로만 시각적인 정보를 받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UV 조명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개는 색상을 구분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람처럼 색상을 구분하는 것은 극히 일부의 동물에만 있는 능력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쌀을 수확하는 과정중에 도정이라는게 있잖아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쌀에 돌이 없는 이유는 기계화된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것입니다. 예전에는 쌀을 수확할때 손으로 쌀알을 따낼 때 돌과 같은 이물질도 함께 따내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기계로 자동화된 수확작업을 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걸러지고 깨끗한 쌀만 남께 됩니다. 또한 벼가 재배되는 환경도 개선되어서 쌀에 돌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예전에는 냇가에서 민물 고기를 잡아서 많이 먹었는데...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예 맞습니다. 중금속이 높은 물고기를 먹게 되면, 인체 내에 그 중금속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금속의 축적은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 중금속은 심지어 암발병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그래서 항상 오염이 안된 물고기를 먹어야하고, 방사능에 오염된 것도 마찬가지라 생각됩니다. 항상 깨끗한 생선을 먹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좋겠죠. 환경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죠,
2912922932942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