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개구리,두꺼비,맹꽁이는 같은 종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1. 맹꽁이학명 : Kaloula borealis 계 : 동물 문 : 척삭동물 강 : 양서 목 : 무미 과 : 맹꽁이쟁기발개구리'라고도 한다. 몸길이 약 4.5㎝이다. 몸통은 팽대되어 있고 머리 부분은 짧아 몸 전체는 둥글다. 등면에 작은 융기가 산재하고, 황색 바탕에 청색을 띤다. 머리 부분에 검은색의 대리석 무늬가 있으며, 가슴과 몸통 뒤끝에 이르는 부분에 검은색 얼룩 무늬가 있다. 등면에 있는 작은 융기 주위는 검은색으로 둘러싸여 있다. 몸통의 배면을 이루는 바탕색은 황색이고, 양 옆에 연한 검은색을 띤 대리석 모양의 얼룩 무늬가 있다.주둥이는 짧고 작으며 앞끝이 약간 둔하면서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다. 울음주머니는 아래턱 앞쪽 끝에 1개가 있으며, 아래·위턱에 이가 없다. 혀는 타원형이고 앞끝에 돌기가 없다. 동공은 검은색이고 타원형이며, 홍채는 검은색으로 황금색의 가루를 바른 것처럼 보인다. 물갈퀴는 발달하지 않고 깊게 패어 있다.2. 두꺼비학명 : Bufo bufo gargarizans 목 : 개구리목 과 : 두꺼비과일반적으로 두꺼비과의 개구리류를 통칭하기도 한다. 몸길이 60~120 mm 이다. 등면은 보통 갈색이고 피부융기의 위끝 부분은 흑색이다. 몸통과 네다리의 등면에 불규칙한 흑갈색 무늬가 있다. 몸의 옆쪽에는 흑색 세로줄이 있다. 배면은 전체적으로 연한 황갈색이지만 황색을 띤 회백색의 개체도 있으며, 암갈색의 작은 무늬가 산재한다.머리는 몸에 비하여 크며 등면에 골질의 융기가 있다. 안비선(眼鼻線)이 현저하고 주둥이의 등면과 뺨 부분이 약간 패어 들어갔다. 고막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작다. 귀샘은 길고 뚜렷하다. 몸통 등면에는 많은 피부융기가 있고 네다리는 보통 짧다.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몸길이가 길고 다리는 짧으며 피부융기는 조밀하고 무늬가 좀 더 확장되어 있다. 주로 육상에서 생활하며 곤충류나 지렁이 등을 포식한다. 산란기에는 하천이나 늪 등에 모여들고 이 시기 이외에는 습한 곳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3. 개구리 : 양서강(兩棲綱) 무미목(無尾目)에 속하는 개구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학명 : frog강 : 양서목 : 무미개구리는 한자어로 와(蛙)라고 한다. 무당개구리·두꺼비·청개구리·맹꽁이·개구리 등의 각과가 이에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몸체가 작고 다리가 긴 종류를 개구리라 하며, 또 예로부터 울음소리를 즐기기 위해 사육한 기생개구리도 개구리라 하였다.몸체가 셋 중에서 가장 작고 다리가 가장 길고 물갈퀴가 발달해 있음. 개굴개굴 울며 매끈한 등을 가지고 있음. 물속에 알을 낳아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계곡은 어떻 현상으로 생성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계곡의 일반적인 형성 기작은 유체에 의한 침식작용과 습곡현상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침식작용에 의해서 계곡이 형성되는 경우, 침식을 일으키는 인자가 무엇인가에 따라 계곡의 형태가 결정된다. 하천에 의한 침식작용으로 계곡이 형성되는 경우는 단면이 V자 형태를 띄는 계곡이 초기에 형성되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의 유동경로가 변화함에 따라 넓어져 범람원을 형성하며 넓어지고, 최종적으로 완만하게 휜 형태의 노년곡을 형성하게 된다. 얼음, 즉 빙하에 의해 계곡이 형성되는 경우는 특징적으로 U자 형태의 계곡을 형성하는데, 북유럽의 피오르드 지형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Q. 학교 다닐때 죽으라 외웠던 원소 주기율표를 다시 보니...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주기율표는 원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시각화하고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원소의 전자구조, 반응성, 산화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화학 반응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원소 주기율과 그룹내 위치에 따라서도 성질이 유사한 원소들끼리 그룹짓는 것으로 체계적인 분류와 연구가 가능하죠.
Q. 예전에는 냇가에서 민물 고기를 잡아서 많이 먹었는데...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예 맞습니다. 중금속이 높은 물고기를 먹게 되면, 인체 내에 그 중금속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금속의 축적은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 중금속은 심지어 암발병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그래서 항상 오염이 안된 물고기를 먹어야하고, 방사능에 오염된 것도 마찬가지라 생각됩니다. 항상 깨끗한 생선을 먹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좋겠죠. 환경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