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윤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윤구 전문가입니다.
이윤구 전문가
탑본정형외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목 앞으로 숙일때 등 가운데 부분에 통증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경추 와 흉추의 척추 정렬이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과도하게 튀어 나오거나 다른 한쪽이 과하게 들어가면 천장보고 누웠을 때 닿는 면적이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를 통하여 검사를 진행한 다음에 도수치료를 이용하여 체형 교정을 하시길 바랍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어깨쪽 근육통증 갑자기 팔을높게 든다거나 팔을 휘두를때 팔빠진것처럼 심하게어깨근육통증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어깨 찝힘증상이 있는 것 같습니다. 평상시에는 통증이 없다가 팔을 들어 올릴 때 팔뼈와,날개뼈에 리듬이 맞지 않으면 근육이 찝히기때문에 통증이 일어납니다. 운동치료로 근육의 재기능을 활성화 하고 염증이 있는 부분을 주사치료를 하시길 바랍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폼롤러 부작용. 등마사지를 하다가 일자척추가 된 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드드득 소리가 나는 것은 관절 안에 공기가 빠져 나오면서 나오는 소리 입니다. 이는 척추의 정렬를 만들어주며 바른 자세로 고쳐 줄 수 있습니다. 통증이 심하다면 정형외과 가셔서 엑스레이를 찍은 뒤 척추의 정렬를 검사하고 해당 자세에 맞는 도수치료로 고정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목에 담이 와도 한쪽 쇄골이 더 차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목에 담이 왔을 때는 쇄골 쪽에 누르는 것이 좌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쇄골의 붙어있는 근육들은 목까지 연결돼 있는 근육들이 많기 때문에 담이 와서 근육에 긴장이 높으면 쇄귤에 붙어있는 근육도 딴딴해지고 누르는 느낌이 다를 수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충분한 스트레칭과 근육 뭉친 것을 조금씩 풀어주길 바랍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고2 키가 안커요..어떡하죠..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키가 크는 것은 유전이 가장 비율이 높지만. 지금은 고등학교 이학년 이기 때문에 아직 성장 판이 열려 있을 수 있습니다. 운동을 많이 해 주시고 취침 시간을 늘릴시길 바랍니다. 적어도 10시에는 자야지 키가 가장 클 것입니다. 저도 부모님이기는 작으신데 정 항상 10시 전에 잤습니다. 따라서 취침 하는 것이 성장 하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이 있기 때문에 늦잠 말고 일찍 주무시길 바랍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왼쪽 무릎 안쪽이 시린 느낌 마사지 or 치료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 안쪽이 시린 것은 연골 문제나 십자인대 문제일 수 있습니다. 시큰 거리는 느낌이 지속 된다면 정형외과에 가셔서 염증주사 또는 연골주사를 받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마사지로는 통증이 잡히지 않을 때는 통증 부위에 조직이 손상이 된 것으로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물리치료는 좋지 않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물리치료는 근육이 좋지 않을 때, 인대, 힘줄이 좋지 않을 때 물리적인 치료를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 하고 염증을 감소 시킵니다 따라서 마사지로 근육을 푸는 것도 좋지만 물리치료로 통증 부위를 치료 하는 것이 마사지와 같이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무릎 관절에 좋은 운동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에 좋은 운동은 실내 자전거운동이 좋습니다 체중부하가 심하지 않아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또한 수영도 물에서는 체중 부담이 덜 가기때문에 실내자전거,수영을 추천드립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복대를 계속 차고 있어도 되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네 허리통증이 있다면 복대를 착용하여 허리 안정성을 잡아주기 때문에 활동시 착용하는게 좋습니다 취침시엔 복압이 힘드니 활동시에만 착용해주세요
정형외과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요골신경마비 회복이 어느정도 된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윤구 물리치료사입니다.요골신경 마비는 손목을 평평하게 하려할때 통증이 가장 심합니다 손목을 돌리거나 팔이 움직이는 것을 막아야하며 보통 수술을 안한 보존적 상태에서 3개월이면 점차 회복이 가능합니다만 그 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적치료를 하는게 좋습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