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wide와 broad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Wide와 Broad는 둘 다 폭이 넓은, 널널한 의 뜻으로 사용되어집니다. 하지만 wide는 너비, 폭을 단위와 함께 말할 때 사용되어지고, broad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원칙이 아니기에 wide도 단위가 없는 경우에도 쓰이니 큰 차이가 없는 듯 합니다. 뉘앙스로 살펴본다면 broad는 화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폭의 넓음, 광대함을 표현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한다고 하고, wide는 좀더 물리적인 넓이, 폭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두 표현 다 추상적인 개념으로도 사용된다고 하니 많이 헷갈리긴 합니다.
Q. 성경에 비유적 표현이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성경의 비유적 표현은 사실 종교적 사실을 부각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유라고 하는 것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비교하게 함으로써 원관념을 더욱 부각시키는 것입니다. 성경은 곳곳에 이러한 비유적인 표현을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비유적인 표현이 서로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하나님을 묘사할 때 여호와는 왕, 입법자, 재판관, 전사와 같이 세상에서 존경받는 존재로 서술한다던가목자, 조언자, 교육자, 아버지, 치료자, 구원자와 같이 일상에서 사랑이 가득하고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존재로 서술한다던가 하여 그 이미지를 더욱 존귀하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Q. 평안 감사도 제 싫으면 그만이다라는 속담은 왜 생겼을까요?
감사는 조선시대 종2품의 벼슬로 관찰사를 뜻합니다. 조선시대에도 전국을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의 8개로 나누어 조선8도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이 조선 8도 중에 관료들이 가장 좋아하는 지역이 있었는데 거기가 평안도입니다. 이유는 왕이 있는 곳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 중앙의 간섭이 많지 않았고 특이하게도 조세를 중앙에 보내지 않아 감사의 권한에 의해 경제적인 자치를 이룰 수 있었기에 인접한 중국과의 무역을 통해서 부를 축적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지역에는 아름다운 기생이 많았기에 풍류를 즐기는 관료들이 선호하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서로 가고 싶어하는 평안감사 자리도 자신이 거절하면 어쩔 수 없다는 말이 여기에서 나온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