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이진광 전문가
등단시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왜란 당시에 조선과 왜의 전함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왜의 나무는 소나무가 아닌 잡나무이므로 물에 오래 못갑니다. 우리나라는 소나무만 이용하고 옻칠등을 하여 물에 오래 있어도 부패가 덜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철못을 왜는 써서 삐그닥 거리고 잘빠지고 그랬는데 우리나라는 나무 못을 쓰고 이어 맞추기로 해서 더 견고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필리핀이 몰락한 주요 원인은 무엇이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잘 살고 있던 필리핀이 망한 이유는 대통령의 독재와 군부 군사정권의 부정부패이기 때문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좀비, 귀신에 관한 것도 인문학에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문학에 귀신이 들어가는 이유는 그 귀신이 생기계된 유래 이야기 전설 이런것이 역사성 이 있고 하다보니 인문학 에 들어가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옛날사람들은 머리를 안감고 살았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머리를 3-4일에 한 번 정도 감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우물에서 물을 퍼고 데피고 하는게 큰일이고 힘이 드니 그런 거 같습니다. 샴푸대신 동물 지방 덩어리 소금 죽염 등 다양한 것을 사용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강이 얼마나 큰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은 유역면적 26,018㎢, 유로연장 514.8㎞이며 직할하천 15개 하천연장 813.0㎞, 지방하천 12개 하천연장 553.0㎞, 준용하천 678개 하천연장 5,890㎞로 총 하천 705개 하천 연장 7,256㎞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네요 진짜 크네요 ㅎ
역사
역사 이미지
Q.  옛날에 사약은 어떻게 만들었나요? 무조건 죽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약에는 할미꽃 양귀비 외에 여러가지 독초가 사용이 되지만 한번만에 죽는 경우가 잘 없어서 최대 기록이 20-30잔까지 마시고 죽었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아니면 처형을 당하거나요죽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네시아 국교가 없으나 신앙의 자유 보장말레시아 이슬람교 국교 종교의 자유 보장
음악
음악 이미지
Q.  민요의 개념과 특성, 갈래, 작품 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특정 개인의 창작이거나 아니거나 창작자가 문제되지 않는다. 악보에 기재되거나 글로 쓰이지 않고 구전(口傳)된다. 엄격한 수련을 거치지 않고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악곡이나 사설이 지역에 따라 노래 부르는 사람의 취향에 맞게, 노래 부를 때의 즉흥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민요는 이런 특징을 지니기에 민중의 소리이고, 민족의 정서를 가장 잘 함축하고 있는 예술이라고 평가된다.민요는 민속이고, 음악이고 문학이다. 민속으로서의 민요는 구비전승(口碑傳承)의 하나이되, 생업·세시풍속·놀이 등을 기능으로 하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집단적인 행위를 통하여 불려지는 기회가 많은 점이 구비전승의 다른 영역과 다르다.음악으로서의 민요는 일반 민중이 즐기는 민속음악에 속하는 창악(唱樂)이되, 전문적인 수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판소리·무가·시조·가사 등과 구별된다. 문학으로서의 민요는 구비문학의 한 영역이며 일정한 율격을 지닌 단형시라는 점이 설화·속담·수수께끼 등에서는 찾을 수 없는 특징이다. 민요는 이러한 민속·음악·문학의 복합체로 존재할 따름이지, 그 세 측면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개는 언제부터 사람에게 길러졌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는 원시인 시대 구석기 시대때 들에 사는 늑대를 키우기 시작하면서 개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 조상의 속담 중에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는 속담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직이 중요하다는 것이고 어릴 때 버릇이 여든이 간다와 비슷합니다. 나쁘게 자란 아이는 커서 나쁘게 되고 이런 뜻힙니다.
1361371381391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