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학문
역사
2023년 1월 5일 작성 됨
Q.
고려때는 고려청자가 잇자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청자는 뛰어나며 독보적인 상감기술로 송나라에서도 으뜸으로 칠 정도였습니다. 그러다 조선 시대에 와서는 고려청자 기술이 끊기게 되는데요. 조선은 사대부의 나라이고 사대부들은 화려한 문화가 아니라 소박하고 검소한 문화를 지향하였습니다. 고려는 귀족들의 사회이고 귀족문화가 발달하여 청자기술도 꽃필 수 있었던 것이지요. 그 대신 조선은 질박하고 단아한 백자문화가 꽃핀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5일 작성 됨
Q.
철기시대 다음이 고조선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조선은 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성립한 국가입니다. 그러니 청동기가 먼저지요. 그러다 진한 교체기에 위만이 와서 위만 조선을 세웠는데 중국의 철기문화가 전파되고 발달하게 됩니다. 시간상 청동기문화가 먼저이고 그 다음이 철기문화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4일 작성 됨
Q.
농경사회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류는 오랜 기간 수렵과 채집으로 생존해왔습니다. 구석기 시대에 해당합니다. 신석기 혁명이 일어나는데 오늘날 산업혁명에 버금과는 혁명적 변화가 시작된 것입니다. 그것은 농경과 목축의 시작입니다. 목축을 함으로써 사냥과 사냥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농경을 시작하면 생산경제로 돌입한 것입니다. 하지만 신석기인들의 생존에서 수렵과 채집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했고 청동기 시대에야 농경이 발달하면서 본격적인 농경사회로 진입하게 됩니다.
역사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조선총독부 철거는 왜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영삼 정부의 친일청산과 역사바로세우기 정책에서 폭파되고 철거되었습니다. 조선총독부 건물에 대해 일본인이 철거가 아쉬어 관광을 와서 사진찍고 그런다는 소식이 청와대에 전해졌고 이에 정책을 불도저처럼 밀어붙이는 과단성이 있던 김영삼 대통령이 다음날 폭파를 지시해 총독부 건물은 일제 식민지의 상징이었던 그 건물은 역사바로세우기의 대표적 업적으로 과단성 있게 실행되었던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왜 민주주의와 공산주의로 분단국가가 되었는지 역사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분단의 가장 큰 요인은 국제정세였습니다. 바로 냉전의 시작이죠. 한반도는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위해 소련군과 미군이 들어오게 되는데, 태평양전쟁에서 고전했던 미군이 상대적으로 늦게 오게 됩니다. 만주를 거쳐 소련군이 한반도로 들어와 일본군 무장해제를 하는데 미국 입장에서 그렇게 되면 한반도가 공산화되고 일본까지 공산화될까 미국은 걱정했고 이에 38선을 기점으로 무장해제를 제안했고 이를 소련이 수용했던 것입니다.북쪽은 김일성 등 사회주의 세력이 우세했고 소련은 이를 지원하기만 하면 됐으나, 남쪽은 우파진영이 대부분 일제에 협력해 민중의 지지가 약했습니다. 미군정이 시작되고 좌우합작의 중도정부를 미군이 지원하려 하였으나 실패해 철회하고 결국 이승만과 우파세력을 지원하게 된 것입니다.이런 상황에서 남북 모두 그리고 미소 모두 한반도를 포기하지 않아 결국 분단이 되게 된 것입니다. 우리 민족이 내부적으로 단합하였다면 분단이 되지 않았을 수도 있으나 여의치 않았습니다.
철학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불교도 종류가 왜 나누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 역시 종파가 나누어져 있습니다. 크게 개인의 해탈을 중시하는 소승불교와 중생의 구제를 강조하는 대승불교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주로 동북아시아는 대승불교가 동남아시아는 소승불교가 유행했습니다. 대승불교 안에서도 많은 종파가 생겼는데 주로 경전을 강조하는 교종과 참선을 중시하는 선종이 갈라지고 각 종에서도 종파가 다양하게 나누어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고려 후기 지눌에 의해 창시된 조계종이 최대 종파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1일 작성 됨
Q.
일본은 어떻게 황제의 칭호를 왕에게 부여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의 왕은 천황이라 불렸습니다. 나라시대 당에 사신을 보낼 때는 천황이 아니라 왕으로 한 것입니다. 사실 중국의 입장에서 일본은 바다 건너로 큰 관심이 없었습니다. 조공책봉 체제에 있으면서 대내적으로 황제를 칭하던간에 중국과의 관계에서 왕으로 칭하게 되먼 되었지요. 고려 광종 대 대내적으로 황제를 칭하고 중국에 대해서는 왕으로 칭했던 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1일 작성 됨
Q.
종교기념일을 다른 나라도 휴무일로 지정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문화의 오랜 뿌리이자 기둥이 기독교이므로 기독교문화권은 대체로 그렇습니다. 사회주의권은 종교를 배척하고 종교의 자유도 허용하지 않았으므로 종교기념일로 휴무를 하지 않아왔습니다.이슬람도 종교적 후무일이 있으며, 불교국가들도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는 기독교인이 다수이지만 불교도도 상당히 많아 두 종교기념일을 휴무로 하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월 1일 작성 됨
Q.
성탄절이 25일인데 1월1일이 따로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윈전과 후를 나누는 기준은 예수의 탄생을 기준으로 합니다. BC는 before Christ의 줄임말입니다. AD는 라틴어로 anno domini 예수님의 영향력이 미치는 해라는 뜻입니다. 성탄절은 예수님의 탄생을 축복하는 날입니다. 1월 1일이 아닌 것은 당연한 일인데요. 만약 예수님이 7월 4일에 태어나셨다면 즉 그날이 생신이시라면 7월 4일이 성탄절이 되었을 것입니다. 즉 기원전과 후를 나누는 것과 예수님은 탄생일은 다른개념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서양력을 쓰고 있는데 이는 그레고리력을 쓴 것으로 예수님은 그레고리력으로 12월 25일에 탄생하신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어린이날은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파 방정환에 의해 어린이날이 만들어졌습니다. 지금처럼 공휴일은 아니었으며 아동노동 등 아동인권을 위해 노력했던 방정환에 의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방정환은 소년이란 잡지를 간행해 어린이들의 인권과 꿈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가히 모든 어린이들의 아버지같은 존재라 할 수 있겠습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