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 카톨릭과 근대의 카톨릭의 입장 변화는 어떤 계기가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 카톨릭은 지배문화이자 지배사상이고 정치 경제적 대지분을 지닌 최상위의 위력을 가졌습니다. 당시 카톨릭의 부패에 대항해 종교개혁이 일어났고 종교전쟁까지 벌인 결과 신교가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카톨릭은 그 위세를 상실했으며 이를 비서양지역으로의 포교활동으로 만회하고자 하였습니다. 카톨릭은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로 포교활동을 적극적으로 했으며 각지의 문화를 어느 정도 인정하는 포용성도 보였습니다. 카톨릭의 포교대상은 주로 사회적 약자였습니다. 사회적 강자와 지배층에게 카톨릭은 새롭지만 위험한 종교였지요. 그래서 주로 하층민, 여성, 소외된 세력들이 주요한 포교대상이었고 이들이 주로 천주교신자가 되었습니다. 자연스럽게 신 앞의 평등을 강조하며 이들에게 호소력을 발휘했습니다.중세 카톨릭과는 결이 조금 다르지요. 지배하는 종교에서 벗어나 근대 가톨릭은 그래서 좀더 서민과 약자를 위한 포용적인 종교 모습이 강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경험주의 철학과 공리주의 철학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험주의 철학과 공리주의 철학은 일견 비슷해 보여도 엄연히 다른 철학입니다. 대륙합리론이 발달했을 때 영국에서는 경험주의 철학이 등장했습니다. 대륙합리론의 대표적인 인물이 데카르트입니다. 이성을 강조해 진리에 이르는 이성의 힘에 주목했고 방법적 회의론으로 유명하지요.이때 영국에서는 프란시스 베이컨이 경험론을 들고 나옵니다. 백지 상태에서는 이성이 아니라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이죠. 합리론과 경험론은 모두 진리에 이르는 길에 무엇이 본질적인 것인가를 탐구한 것이죠.공리주의 철학은 훨씬 후에 등장한 것입니다. 공리주의 철학은 공리를 강조하는 철학입니다. 벤담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대표적인 문구이지요. 이것은 진리탐구가 아니라 사회적인 철학에 가까워 사회의 이익을 어떻게 추구하고 최대화할 것인가의 철학인데 실용주의적 철학과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광해군이 실시한 중립외교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해군 대 시행한 중립외교는 오늘날에 높이 평가되는 국익을 우선시 한 실리외교에 가깝습니다. 임진왜란으로명은 막대한 재정을 쏟아부어 국력이 약해지고 만주에서 성장하는 이민족인 여진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누르하치가 건국한 후금은 이 틈을 타 강성해지는데 임진왜란 때 원군파병을 제안할 정도였습니다.임진왜란 후 후금은 더욱 강성해져 명을 공격하기에 이르고 이에 명이 파병을 요청한 상황이었습니다. 당시 정세를 보면 명이 지는 해 후금이 뜨는 해였던 것인데 광해군은 명에 원군을 보내는 명분을 쌓고 후금에는 어찌할 수 없이 명의 요구를 들어준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광해군은 강홍립에게 밀지를 보내 일찍 후금에 투항해 우리 군사의 피해, 또 장차 후금의 조선침략을 막으려 했던 것입니다.이러한 것이 조정에 알려지고 또 광해군을 지지한 집권붕당인 북인의 전횡 등이 겹쳐져 광해군은 인조반정으로 쫓겨나게 됩니다. 인목대비를 폐하고 적자인 영창대군을 죽인 것도 반정의 빌미가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남자어린이들이 축구같은 스포츠를많이 좋아하는것은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죽구는 굉장히 인기가 많은 스포츠입니다. 어른이나 어린이를 가리지 않고 특히 남성에게 인기가 많지오.공 한개만 있으면 어디서나 재밌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이 축구지요. 공을 가지고 뛰어다니고 공을 차고 골을넣고 상대를 패배시키는 등의 이 모든 특징이 사실 전쟁과 같지요. 전쟁을 규칙화 온순화한 것이 축구라는 스포츠라는 것이지요.전쟁놀이와 축구 모두 남성 어른이든 어린이든 좋아하는 대표적인 것이지요. 남성성을 맘껏 표현할 수 있으니까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조는 왜 정순왕후를 그냥 두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순왕후는 영조가 아주 나이든 때에 들인 왕비입니다. 아주 어린나이였죠. 정순왕후는 노론 진영의 인물입니다. 사도세자의 죽음에 노론이 있었지요.따라서 정조가 노론 인물을 제거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영조가 다져놓은 탕평을 계승하려 했지요. 정조는 당파색이 아니라 옳고 그름에 대한 입장차이에 따라 붕당을 결성하고 그에 따른 붕당정치가 가능하다고 생각했지요. 준론이니 완론이니 하는 것이 그것입니다.따라서 어느 한 당파를 제거하면 다른 당파가 득세하고 그 당파가 다른 당파의 씨를 제거하려는 일당독재의 폐단을 공존과 타협으로 바꾸고자 한 것입니다.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