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서원은 옛날로 치면 학교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서원이 현재 많이 남아 있지 않은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원은 조선시대 사립학교로 사림이 중앙정계를 장악한 원동력이었습니다. 조선 건국에 반대한 온건사대부들은 낙향해 후학을 길렀고, 중종 대 주세붕에 의해 백운동서원이 세워진 후 서원을 날로 번창했습니다. 서원을 통해 사림들은 학파를 형성하고 붕당 결성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조선 후기는 서원이 폭증한 시기로, 붕당간 건전한 견제가 사라지고 서인 나중에는 노론이 정권을 계속 잡으면서 파행이 일어나고 붕당정치는 노론 중 일부 가문이 국정을 장악하고 농단한 세도정치에 의해 파탄됩니다.이 세도정치를 끝낸 이가 흥선대원군인데요, 흥선대원군이 이런 파행의 온상인 서원을 대폭 철폐합니다. 이때 없어진 서원 수가 대단히 많습니다. 또한 애국계몽기와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더이상 성리학을 공부해 과거제를 통해 관리가 될 수 없어서 서원의 기능은 유지될 수가 없었지요. 근대식 학교가 세워지고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Q. 미국이 강대국으로 된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역사는 짧지만 세계 최강의 국력, 경제력, 국방력을 갖고 있지요. 유럽의 패권은 스페인, 네덜란드를 거쳐 영국으로 넘어갑니다. 영국은 제일 먼저 산업혁명에 성공함으로써 19세기는 해가지지 않는 나라인 영국이 최강국이 됩니다. 산업혁명은 다른 주요국으로 퍼지는데 독일, 프랑스, 미국 등으로 진행됩니다.19세기 제국주의 열강들은 아시아, 아프리카 등을 식민지로 삼고 경쟁하다 독일을 중심으로 해서 영국과 전쟁을 벌입니다. 1차대전이지요. 이때 미국은 전쟁의 끝무렵에 참전해 연합국이 승리합니다. 2차대전 역시 독일이 일으키는데 이때도 미국이 뒤늦게 참전해 연합군이 승리합니다. 미국은 전쟁의 큰 피해가 없었고, 유럽은 초토화된 상황에서 미국의 국력과 경제력은 세계를 압도할 정도가 되었습니다.두차례의 세게대전 이후 세계는 두 슈퍼파워 즉 미국과 소런이 경쟁을 벌이는 냉전이 시작됩니다. 냉전은 사회주의권이 무너지면서 자유주의 진영을 이끄는 미국이 극강체제가 됩니다. 이에 중국이 도전하고 있는 국제구도입니다.
Q. 광해군이 폐위되지 않았더라면?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광해군이 인조반정으로 쫓겨나고 그 이후 인조 때 두차례의 호란이 일어납니다. 인조는 친명배금 정책을 펼침으로써 후금과 뒤이은 청의 반발을 샀고 침입의 명분도 제공한 측면을 봤을 때 호란이 일어나지 않았을 확률이 있지만 호란이 일어났을 확률도 상존합니다.광해군은 임진왜란을 적극적으로 수습하며 왕위에 오릅니다. 적자 득 대비소생이 하니라 선조는 나중에 인목대비와의 소생인 영창대군이 태어났을 때 영창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했습니다. 그러나 임란 수습의 공과 북인들의 강력한 지지로 광해군이 왕위에 오릅니다. 광해군은 정통성에 문제가 있어 인목대비를 폐위하고 영창대군을 살해하게 되지요. 인조반정 때 반정의 빌미를 스스로 제공했는데 반정의 큰 명분 중 하나가 패륜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어미를 폐하고 이복동생을 죽였으니까요. 광해군의 외교정책은 중립외교라고 합니다. 임란이후 대륙의 정세는 변하고 있었는데, 명의 국력은 쇠하고 여진족이 세운 후금은 성하는 시기였습니다. 후금과 명의 충돌에 명이 원군을 조선에 요청하였으며, 광해군은 강홍립에게 적당히 후금어게 투항하라는 밀지를 보내고 실제 투항합니다. 이 외교정책이 오늘날에는 국익을 위한 실용외교로 평가받지만, 당시 임진왜란의 위기를 구해준 명을 배신한 것으로 이 역시 반정의 구실이 되었습니다.인조반정은 광해군대 북인의 권력독점에 대한 반발의 성격도 가지는데, 서인이 남인을 끌여들여 북인을 몰아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북인은 더이상 재기에 성공못하고 사라집니다. 이제 서인의 우세 속 남인과의 공존의 붕당정치가 시작됩니다. 이들은 외교정책으로 친명배금을 고집하다 화를 당합니다.하지만 광해군 정권이 계속되었더라도 청의 호란은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조선이 명과 친하고 가까운 상황에 청이 명을 치는데 있어 후방에 적을 두고 감행하기가 어렵기에 그러합니다. 저는 이 확률이 오히려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전쟁의 명분보다는 실리와 힘의 논리가 더 강하기에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