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이여진 전문가
하얀어린이집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침마다 학교가기 싫다고 하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등교하기 싫어하는 아이 때문에 고민이신데요.너무나 다양한 이유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부모가 좀 더 세밀히 관찰하고 이야기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기질, 또래관계, 학습능력, 적응능력 등 여러가지 이유로 아이들은 학교 가는 것을 힘들어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금과 같은 신학기 때, 새로운 환경에 대한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산만한 기질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학기 초에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학교 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됩니다. 기질은 다르지만 학교에 입학할 나이가 되었다면 스스로의 기질을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힘들어도 알고 배워야 한다고 이야기 해 주어야 합니다. 또는 학습능력의 부족으로 수업시간이 힘들 수 있습니다 . 수업시간에 알아 듣지 못한다면 스트레스를 받고 이는 자존감을 낮아 지게 할 수 있습니다. 부족한 학습능력은 자존감 뿐만 아니라 또래 관계에서도 영향을 끼칩니다. 공부를 좋아하는 아이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좋아하지 않더라도 내가 해야 하는 것임을 수용하고 주어진 것을 해낼 수 있어야 합니다. 학교가기 싫어하는 원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아이가 해당되는 원인이 있따면 그에 따른 대처가 필요합니다 . 특히 보호자의 응원이나 지지표현으로 나아지는 경우들이 많으므로 힘들지만 잘 하고 있다고 칭찬하고 많이 이야기 해주세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곧 만9개월아기 잡고선지는 꽤 된것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9개월 아기들은 도움없이 앉는 것이 능숙해 집니다. 그리고 가구 등을 잡고 서기 시작합니다. 주변에 물건을 잡고 일어서는 것이 점점 잦아져요. 부르면 반응하며 호기심이 왕성해져 이곳저곳 틈새로 자구 들어가려고 합니다. 또한 엄지나 집게 손가락을 사용하여 집는 것이 늘어요. 제법 작은 물건도 잘 잡고 붙어 있는 것은 자꾸 떼려고 합니다.잡고 서는 것을 했으니 얼마 안있어 곧 잡고 걷기 시작할 것입니다. 발달은 아이의 기질과 신체능력에 따라 다 다르기 때문에,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을 때 까지 기다려 주세요. 언제 걸을지 걱정하지만 몇개월 뒤면 너무 뛰어다녀 걱정하는 날이 올 것입니다. ^^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사춘기가 시작된거 같은데 극복방법은?
안녕하세요. 이여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갑자기 변해버린 사춘기 아이들 때문에 고민을 가지는 부모님들이 많은데요사춘기 시기에는 독립성을 강하게 드러내기 때문에 부모의 지나친 간섭은 관계를 악화 시킬 수 있습니다.어느 정도 허용은 해 주면서도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은 스스로 감당을 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 주어야 합니다. 선을 넘지 않도록 만 제지를 해 주면서 가급적이면 강압적인 방식보단 대화로 문제를 풀어가야 합니다. 부모와 평소에 애착관계를 잘 형성해야 인생에 조언이 필요한 시점에는 부모가 이야기를 해도 그것이 아이에게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를 키울때 애착이 형성되는 시기?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우선 애착이란 나에게 편안함을 주는 이에게 갖는 아주 강한 정서적인 유대감을 말합니다. 아이들은 주로 0~3세까지의 유아가 타인에게 느끼는 감정을 말하기도 하는데요 애착이론을 발표한 존 볼 비의 말에 따르면 유아기때 엄마와 형성했던 애착의 질이나 양이 아이가 성장한 후에 감정을 조절하거나 사회에 나가서 대인관계를 가지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보았습니다. 애착 형성시기를 존볼비는 총 4단계로 봤는데요전애착단계-차별화된애착단계-안전기지애착단계 -목표수정된 동반자 관계 단계 이렇게 나누고 있습니다 .유아기때 형성하게 되는 애착이 중요한 이유는 성장후의 성격이나 사회에서의 대인관계 등에도 많은 영향을 끼지는 면에서도 중요하지만 현재 아이가 애착을 필요로 하는 순간, 그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을때 받을 스트레스나 심리적인 불안감등도 아주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애착형성시기에 가장 중요한것은 상호작용이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 같습니다. 어떤때는 아이의 울음에 즉각 반응했다가 어떤때는 그렇지 않는다면 아마도 양육자와 아이의 신뢰관계를 기대하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동생이 뺏는다고 울기만하는 첫째 어떻게 해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가 언니의 장난감을 뺏는다면 안된다고 단호하고 일관성 있게 말해주세요.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을 땐 기다려야 하고, 놀고 싶다고 말로 해야 한다고 얘기해주세요.그리고 첫째 에겐 감정을 먼저 읽어 주세요." 동생이 장난감을 가져가서 많이 속상했구나. 너의 마음을 엄마가 알겟어. 근데 울지 말고, 뺏어가면 안돼 라고 말 해보면 어떨까?"라고 이야기 해 주세요.처음엔 힘들 겠지만 단호하고 일관성 있게 연습하다 보면 스스로 생각하고 고칠 수 있을 것입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