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코인 관련 ETF가 있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은 ETF 시장이 많이 발달했지만, 직접적인 코인 투자 ETF는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코인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ETF는 일부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 간접적인 것이라함은, 암호화폐 생태계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들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ETF가 있습니다. 운용사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며, 주요 투자 대상이 엔비디아, AMD 등 GPU/채굴 칩 관련 기업들이 있습니다. 직접 투자는 아니지만, 코인 업계에 없어서는 안될 기업들 위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노후 대비 방법 조언 및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지금 포트폴리오는 안정성, 절세, 현금흐름을 잘 조합한 구조로 보입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고려하면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비연금형 자산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연금 자산은 대부분 55세~60세 이후에 인출 가능한데요. 50대 초중반, 예상치 못한 의료비나 부모 부양 등으로 현금 유동성 자산이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세금우대 적금, CMA, 단기채권 ETF, 금 통장 등으로 비연금성 자산을 운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추가로 환율 헷지 목적으로 해외자산 비중을 조금씩 늘리시면 어떨까 합니다. 이미 미국 배당주를 보유 중이시라면 어느정도 환율 헷지가 되겠지만, 앞으로 원화가치 하락을 고려한다면 외화자산 비중을 더 늘리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Q. 우리나라는 관세 부과 정책을 어디서 시행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수한 관세사입니다.미국이 관세를 무역 정책의 도구로 적극 활용하면서, 우리나라는 관세를 어떻게 정하고 누가 집행하느냐에 대한 궁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먼저 관세 정책은 우리나라 정부 산하 기관인 기획재정부에서 합니다. 특히, 관세율표, FTA협정 반영, 관세 인하 정책 등은 모두 기재부 관세정책관실에서 담당합니다. 국회 통과를 거쳐 법령화되며, 관세법, 관세율표, 관세법 시행령 등의 형태로 제정됩니다.관세 부과 및 집행은 관세청이 하며, 수입자가 물품을 통관할 때 관세청이 HS코드 등을 통해 관세를 부과합니다. 이렇게 관세를 부과할 때 필요한 관세율 결정은 법으로 정해진 기본세율과 정부가 필요할 경우 일정기간 세율을 조정할 수 있는 탄력세율이 있습니다.이러한 탄력세율을 정부가 일시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만, 미국처럼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바로 부과할 수 있을 만큼 자유도가 높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Q. 특정 알트코인과 비트코인이 상승세를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넴, 코박토큰, 스톰엑스 등이 전일 대비 약 100% 가까이 상승 중인데요. 상폐빔이라고 하는 것과 가깝습니다. 상폐빔이란, 코인 등이 상장폐지가 되기 전에 단기적으로 급등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마지막 투기 심리로 인해서 돈이 모이는 것이고, 거래 중단 직전까지 매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도박성 거래가 발생을 합니다.비트코인의 경우, 최근 잠잠하다가 다시 상승세에 있는데요. 미국 스팟 비트코인 ETF에 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비트코인 관련 발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