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오형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친구 잘 사귀지 못하는 아이에게 할수있는 조언은?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실 친한친구 1~2명만 있어도 되는데 부모님의 입장에서는 많은 친구들하고 지냈으면 하는 마음이 큽니다. 사실 아이의 성향적인 부분이 크기에 조언을 한다고 해서 해결이 되지는 않습니다. 아이와 이야길 해보고 구체적인 원인을 탐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의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해서 함께 놀수 있도록 하는것도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아이가 기관에 적응하는게 오래걸릴 때 좋은 방법 있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마 심적으로 문제에 대한 대답을 가지고 계실 것으로 생각합니다.'아이를 믿고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정든 부모의 품을 떠나 어린이집에 등원하는것 자체가 아이에게 있어서는 하나의 큰도전이요, 시험입니다. 1시간후 귀가하는 시간을 주마다 20분 단위로 늘려주는 방식으로 하다보면 아이는 금세 어린이집에 적응해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잘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7개월 아기 자다가 자꾸 깨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잠이 든 후 1~2시간 사이에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분리불안이기보다는 수면습관이 형성되지 않은상황에서 잠자는 와중에 부모님이 있는것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유아교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5학년 수학학원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그시기의 아이는 수학학원에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학원에 다니는것이기 때문에 아이와 이야길 해보고 학원에 보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무리 좋은 것도 아이가 원치 않으면 말짱도루묵입니다 ^^
유아교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8살 초등학생 아이도 사교육 많이 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의 양육관에 따라 사교육의 내용도 달라집니다. 보통은 태권도, 미술, 피아노, 영어 등을 기본으로 아이가 원하는것을 추가하고 더하고는 합니다.
놀이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 게임기를 몰래 가져온걸 알게 됐는데 어떻게 훈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훈육하기 이전에 아이의 이야길 들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아이가 의도적으로 가져온것이 아닌 실수로 가져온것일 수도 있는데 가장 자신을 믿어줘야할 부모님이 사실확인없이 훈육먼저 한다면 아이에게는 큰 상처가 될 수도 있습니다.
놀이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10살 성장에 좋은운동이 따로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실 달리기와 줄넘기가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줄넘기의 경우 더 많이 점프를 하다보니 성장판 자극에 더 도움이 되고는 합니다. 같은이유로 줄넘기외에 농구같은 운동도 좋습니다.
놀이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민간 어린이집은 뭐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민간 어린이집은 민간의 개인, 단체나 법인에서 운영하는 어린이집에서 운영하는곳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정어린이집보다는 규모가 큰것도 특징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30개월 남성 아기가 주말에 잠을안자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실 어린이집의 루틴을 유지시켜주는것이 좋습니다. 월요일 어린이집을 등원했을 때 아이가 일상생활 적응에 힘들어 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잠들기 좋은환경을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저랑만 나가면 안아달라고 하는 아이!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아빠는 쉽게 안아주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것입니다. 하여 아빠와 함께할때는 안아달라고 때를 쓰는것이죠 아이가 말귀를 알아듣기에 아빠가 힘듦을 인지시켜주시고 안아주지 마시기 바랍니다. 처음 몇번은 힘들 수도 있지만 아이가 적응할 것입니다.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