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를 직접적으로 눈에 보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가끔 보면 강력한 전기를 통해서 나무에 흐르게 되면 전기가 흐르는 길에 따라서 보이는거 같은데 전기를 기냥 볼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전기는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게 아니라 전기가 흐르면서 생기는 현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보게 되는 것 입니다. 전자가 움직이는 자체는 보이지 않지만, 아주 강한 전류가 흐르면 공기가 순간적으로 이온화되어 번개 같은 불꽃이나 스파크가 보이고, 나무나 물체를 태우면 그 자리에 탄 자국이 전기가 지나간 길처럼 남습니다. 또 전기가 열을 내면 발광하는 전구 불빛이나 전열선의 붉은 빛으로, 자기장을 만들면 청가루가 움직이는 모습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전기 자체는 안보이지만 전기가 만들어내는 빛, 열 자기효과를 통해 전기가 흐른다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는셈입니다
Q. 건전지의 전기가 흐르는 원리와 콘센트의 전기가 흐르는 것이 다른 원리 인가요?? 아니면 같은 원리 인가요?? 교류 직류 달라서 다른거 같은데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건전지와 콘센트 모두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기가 흐른다는 점에서 원리가 같습니다. 다만 건전지는 내부 화학반응으로 일정한 방향으로만 전자가 흐르는 직류를 만들어 내고, 콘센트는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가 교류 형태라서 전류 방향이 초당 60번씩 바뀌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전기지만 공급 방식이 달라서 사용하는 기기 종류와 회로 구조가 달라지는 것이며, 직류는 안정적인 전압이 필요한 소형기기에, 교류는 멀리보내기 유리해 가정용 전력망에 주로 쓰입니다
Q. 전동킥보드 배터리의 화재는 어떠한 원리로 발생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전동킥보드의 화재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때문에 발생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내부에 전해질이 액체로 들어있는데 충격이나 과충전, 열축적, 내부 결함 등이 생기면 양극과 음극이 직접 닿는 내부단락이 발생할 수 있고, 이때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면서 열이 급격히 발생해 배터리 온도가 올라갑니다. 일정 온도를 넘으면 전해질이 분해되면서 가연성 가스가 나오고, 이것이 불꽃과 만나면 폭발적 화재로 이어지는데 이를 열폭주라고 합니다. 특히 충전 중 환기가 안되는 실내에서 발열이 누적되면 위험이 더 커지는데요. 그래서 전동킥보드는 충전시 정품충전기를 이용하고, 완충 후 오래 꽂아두지 않으며, 고온 환경이나 충격을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Q. 인공지능이 의료 영상 판도에서 의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이 의료 영상 판독에서 많은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당분간 의사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것으로 예상합니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작은 이상 소견을 빠르게 잡아낼 수 있고 피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환자의 병력, 다른 검사결과, 임상적 맥락을 종합해 최종 판단을 내리는 것은 여전히 의사의 역할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현재는 ai 가 보조 판독 도구로 활용되어 의사가 놓칠 수 있는 부분을 알려주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쓰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대체보다는 보완적인 파트너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