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폭우랑 번개칠때 저희집 거실 형광등이 깜빡거리게 되었는데 날씨랑 관련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네 날씨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폭우나 번개가 칠 때는 순간적으로 전압이 불안정해지거나 전기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집안의 형광등이 깜빡이거나 일시적으로 이상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형광등 안정기가 오래 되었거나 민감한 경우엔 날씨 영향을 더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계속 깜빡인다면 단순히 형광등 수명이 다 되었거나, 안정기 스위치 접촉 불량일 수도 있어서, 우선, 형광등만 새걸로 교체해보는것이 좋습니다. 그래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전기 콘센트나 배선 문제일 수 있으니, 그 때는 전기점검을 받아보는것이 좋습니다
Q. 한전 에너지 1등급 환급신청 한다고 6월에 전자제품샀거든요이번에7월부터 으뜸 환급이 나와서 그전 제도가 없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기존에 한전에서 운영하던 에너지 효율 1등급 환급제도는 한시적으로 운영되던 제도였고, 현재는 종료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2024년 7월 4일 부터는 정부에서 새롭게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을 시행 중입니다. 즉 두 제도는 서로 다른 주체에서 운영하는 것이고, 연결된 것은 아닙니다. 6월에 한전 1등급 환급을 신청하셨다면, 그 당시 운영 중이던 제도 기준에 따라 접수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이미 신청하신 것은 그대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다만, 제도 종료 시점과 신청 마감일이 정확히 언제였는지는 확인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7월부터 시작된 으뜸효율 환급은 7월 4일 이후 구매한 제품만 대상이기 때문에 6월에 구매하신 제품은 이 새 제도 대상은 아닙니다.
Q. 인공지능이 사람보다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이 사람처럼 창의적으로 생각하는것은 가능할 수도 있지만, 완전히 사람처럼 느끼고 생각하는 것은 아직 어렵습니다. 요즘 ai는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만들고 글을 쓰는 등 겉으로 보면 창의적인 일도 잘 합니다. 그래서 사람보다 더 독특하거나 멋진 결과물을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많은 데이터를 학습해서 비슷한 패턴을 조합하거나 변형하는 능력이지. 진짜로 의미나 감정을 느끼고 창의적으로 생각한것은아닙니다. 사람은 경험 감정, 직관, 상상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데, ai는 이런 복잡한 맥락이나 동기 없이 계산된 방식으로 결과를 만듭니다. 그래서 ai의 창의력은 기술적으로는 놀랍지만. 인간의 창의성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즉 앞으로 ai가 점점 더 창의적은 결과를 보여줄 수는 있지만, 그 과정에서 사람처럼 왜 이런 생각을 했는지에 대한 깊은 의미나 감정까지 담기는 것은 아직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완전히 인간을 넘는 창의성이라고 하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Q. 엑스레이를 찍으면 뼈가 하얗게 보이는 것은 빛의 파장중에 x선에 의해서 반사되어지는 것이 하얗게 보여서 그렇게 보이고 나머지 부분은 통과해서 안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엑스레이에서뼈가 하얗게 보이는것 이유는 반사 때문이 아니라 흡수 때문입니다. 엑스레이는 일반 빛보다 파장이 훨씬 짧은 에너지 높은 빛인데, 우리 몸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뼈는 칼슘 같은 밀도가 높은 물질로 되어 있어서 x선을 잘 통과시키지 못하고 많이 흡수합니다. 그래서 엑스레이 필름이나 센서에 도달하는 빛이 적게 남아 어둡게 찍히고, 그것을 영상으로 바꾸면 반대로 하얗게 표시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근육, 지방, 피부 같은 부드러운 조직은 x선을 더 잘 통과시키기 때문에 검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즉 반사돼서 하얗게 보이는 게 아니라, 얼마나 x선을 통과시키느냐에 따라 명암이 생기는 원리입니다.
Q. 빛이 비추면 그 물질에 다라서 반사되는 각도가 달라지는데요. 그럼 그 각도에 따라서 즉 보는 위치에 다라서 화면이 보였다 안보이는것도 결국 이런 워ㄴ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보는 위치에 따라 화면이 보였다가 안보이는 것도 결국 빛의 반사 각도 때문입니다. 빛은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게 움직이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는 빛이 내 눈으로 들어오고, 다른 각도에서는 빛이 엉뚱한 방향으로 가버려서 내가 못 보는것입니다. 특히 LCD나 브라이버시 필름 같은 것은 의도적으로 각도에 따라 빛이 반사되거나 막히게 설계돼 있어서, 정면에서는 잘 안보이고 옆에서는 어둡게 보이는 것도 이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그래서 보는 위치에 따라 화면이 달라 보이는 것은 결국 빛의 반사와 눈에 들어오는 각도차이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Q. 챗지피티를 이용해서 새로운 AI를 만드는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쳇지피티 유료버전은(20불) 개인이 편하게 쓰라고 만든 서비스 입니다. 이걸로는 새로운 ai를 직접 만들어서 따로 서비스하거나, 돈을 버는것은 어렵습니다. 만약 진짜로 내가 만든 웹사이트나 앱에 ai를 넣고 싶다면 쳇지피티보다 open ai api를 따로 쓰셔야 합니다. 이건 개발자용 서비스고, 사용한 만큼 요금을 내는 방식입니다. 대신 이걸 쓰게되면 ai를 내 서비스에 넣고, 상업적으로 운영하는것도 가능합니다. 단 오픈 ai의 규칙을 지켜야 하고 ai기능만 팔 수는 없고 내가 뭔가 덧붙여서 만든 서비스여야합니다
Q. 디지털 혁명에서 비트 개념이 등장하면서 인류의 정보 처리 방식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디지털 혁명에서 비트 개념이 등장하면서 인류의 정보 처리 방식은 아날로그 중심에서 디지털 중심을 완전히 바뀌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소리나 영상 같은 정보를 연속적인 신호로 전달하거나 저장했는데. 비트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방식은 모든 정보를 숫자로 처리하고 정리할 수있게 해 주었습니다. 이 덕분에 컴퓨터가 글자, 사진, 음악, 영상까지 모두 정확하고 빠르게 저장, 복사, 전송 할 수 있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인터넷, 스마트폰, 인공지능 같은 기술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