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 신라에서만 여왕이 존재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에서 유일하게 여왕이 나올수있었던 이유로는 신라의 골품제도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신라왕은 오직 성골만이 될수 있었는데, 이 성골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친족간의 혼인이 성행했는데, 이것은 자신들의 혈통을 지키기 위한 근친혼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선덕 여왕의 아버지였던 진평왕은 마야 부인과의 사이에서 딸인 천명과 덕만이 있었고, 진평왕의 동생인 국반 갈문왕과 월명 부인 사이에서 나온 딸 승만을 두고 있어 후계자 가운데 성골 남자가 부재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성골의 지위에 있었던 덕만이 왕위에 오를수있었고, 현재의 선덕여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성골인 승만 즉, 진덕 여왕 사후에 성골의 혈통이 끊어지게 되었습니다.
Q. 올림픽 개막식에서 하는 성화의 상징, 의미,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화는 고대 그리스에서 아테네 올림피아드 경기 기간중에 태양에서 점화한 횃불을 제우스 신전의 제단에서 준것에서 고안한것으로 1896년 제 1회 아테네 근대 올림픽의 시작된 이래 제 8회 파리 올림픽까지는 성화와 관련된 의식이 없었다가, 1928년 제 9회 암스테르담 올림픽부터 처음 경기장을 밝혔지만, 성화대와 성화 봉송식과 같은 의식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현대의 성화대 설치와 성화 봉송식은 1936년 제 11회 베를린 올림픽때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Q. 왜 사람들은 비둘기를 '평화'의 상징이라고 일컫나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둘기가 평화의 상징으로 불리는 비둘기 종류 중에서도 하얀 비둘기가 주로 평화의 상징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2차 세계 대전에서 이긴 연합군이 추축군 처리를 위해 여러 의사회를 개최하게 됩니다. 여러가지를 제정한 도중 통신용으로 사용한 비둘기를 심볼로 그려 넣었고, UN이 일을 넘겨받고, 평화가 목적으로 바뀌면서 연합군 의사회 심벌 = 통신용 하얀 비둘기= 목적이 평화로 바뀌게 됩니다. 이 평화의 상징이란 뜻이 조금 더 확장되어서 평화를 주장하는 입장을 포함하는 정치적 온건파를 비둘기파로 부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