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병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전문가입니다.
최병관 전문가
Awal Medical Centre, Sarina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산부인과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사후피임약 복용 후 관계 임신 가능성이 높을까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생리 주기와 생리혈의 양상은 호르몬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사후피임약도 호르몬제제이므로 이로 인해 생리 주기에 변화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계 후 14일 정도 지난후에 일단 테스트기로 테스트를 받아보시고 많이 염려가 되신다면 산부인과 검진을 통하여 필요시 피검사와 초음파 등을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생리주기로 피임을 하는 자연주기법의 성공확률은 일반적으로 75%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산부인과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피임약 첫 달 복용중인데 임신확률이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제약사의 권고대로 복용하셨다면 피임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복용을 쉬다 다시 시작한 것이라면 다음번 생리 시작 시기부터 피임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어머니 폐CT 결과에 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폐허탈은 일반적으로 어떠한 이유로 인해 폐안 공기가 통하지 않아 무기폐가 되는 것을 지칭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역류성식도염 있는데 자기 2시간 매스틱분말 복용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경우 식후에 최소한 몇 시간은 눕지 말라는 것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만 증상 억제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는 식사 후 2시간은 지난후 눕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피부과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손가락 마디에 붓기가 있고(약한) 통증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현재로서는 벌레 물림 혹은 바이러스 감염 후에 2차로 발생하는 발진의 가능성도 있으나 관절을 침범하거나 부종이 동반된다면 관절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과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갑자기 눈앞에 날파리같은것이 날아다니는것 보여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현재 증상은 비문증의 가능성이 있어 감별이 필요하겠습니다.비문증은 눈 속 유리체가 혼탁해지면서 음영으로 인해 마치 눈앞에 무언가가 떠다니는 것 같은 현상을 일컫습니다. 하지만 유리체가 망막을 당기면서 발생하는 광시증과도 구분을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러므로 새로 증상이 생겼다면 안과에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내과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약 복용중 술마시면 부작용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헬리코박터를 치료할 시에 술이나 카페인을 금하는 이유는 술이나 카페인 섭취가 위산 분비를 촉진하여 위궤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약물간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금주하시는 것이 권고됩니다.
내과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구강내과 피검사와 내과피 검사는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검사 결과는 들고 가시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필요시 추가 검사 및 재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유념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항생제는어느정도복용해야내성이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항생제를 오남용하게 되면 항생제 내성을 획득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는 개인마다 매우 상이하여 특정할 수 없습니다.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적절한 기간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늑골이 부러졌을 때 목이 빠르게 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목이 쉬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1. 후두염2. 목소리 과사용3. 위식도 역류질환4. 성대 결절5. 성대 출혈, 마비6. 파킨슨 병 혹은 뇌졸중그러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내원하여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536
537
538
539
5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