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태양과 수성사이의 거리가 많이 먼가요?
수성과 태양의 평균거리는 5,790km로 태양의 지름이 약 139만2천km이니 41개정도의 태양 지름이 있는 거리에 있습니다.수성은 태양에서 그래도 가깝기에 약 430도까지 낮기온이 올라가며 대기가 거의 없어 밤엔 영하 180도까지도 떨어지는 일교차가 굉자히 큰 곳이지요.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첫딸은 아빠를 닮는다라는 말 사실인가요?
유전학적으로 자식은 부모로부터 각각 23쌍의 염색체를 물려받기에 과학적으로는 명확하지 않은 사실인것같습니다. 하지만 자세한내용은 지구과학쪽이 아닌 생명과학쪽에 물어보시면 답을 얻으실 수 있을것 같습니다!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우주쓰레기는 우주정거장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우주쓰레기는 우주정거장을 포함한 인공위성, 탐사선, 우주비행사들의 안전과 운영에 실제로 큰 위협이 되고 있지요. 크기는 수미터에서 1mm이하의 크기로 다양하게 존재하며 수억개 이상 존재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궤도에서 초속 7~8km의 초고속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이 속도에서는 1cm의 파편도 우주정거장을 뚫을만큼 강력한 영향을 줄수 있지요.우주쓰레기를 피하기 위해 회피기동등을 통해 연료 소모와 궤도 조정이 필요하게 되며 우주비행사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들이 지속되게 됩니다.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가장 달을 밝고 가깝게 볼수 있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우리나라에서 달이 가장 가깝고 밝게 보이는 시기는 슈퍼문이 떠있을때 인데 이는 보름달이 떠있고 지구와 거리가 가까운 근일점에서 일반적인 달보다 14%정도 크고 30%정도 더 밝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매년 1~4회가량 발생하게 되며 해마다 다르게 됩니다. 2023년은 8월이였으며 2024년은 10월이였지요. 맑은날 달이 뜨는 시간에 지평선 위에 위치하면 더욱 크고 인상적으로 보게 됩니다. 달이 지구에 가까워지는 것은 달의 궤도가 완전한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기에 발생하며 평균 38만 4천km떨어져있지만 가까울때는 36만3천km이고 멀때는 40만 6천km가 되게 됩니다. 달이 붉게 보이는것은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으면 붉게 보이는데 지구의 대기에서 산란작용으로 인해 짧은 파장은 산란되고 긴 파장은 통과하게 되면서 달이 낮게 뜨고 대기를 더 많이 통과하여 붉게 보이게 됩니다.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지구상 국가는 많고 많은데, 왜 미국에서만 UFO가 그리 많이 출몰하는건가요?
미국은 군사 및 민간 항공 감시시스템이 세계 최고수준으로 이러한 현상들은 일반에서 발견된것보다 군조종사나 감시센터 등의 고급센터로 감지하는 경우가 많게 됩니다. 실제로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일정수준까지 일반인들에게 공개를 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는 공개를 회피하거나 기밀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게되지요. 즉 미국에서 많이 공개한다기보다 공개된 양이 많다는 식의 해석이 맞는것 같습니다.미국의 경우 로즈웰 사건등을 통해 대중의 상상력이 풍부해졌으며 냉전과 핵 시대 하늘의 위협등에 대한 집단 불안 심리가 반영되어 수십년간 UFO가 미국에서 출몰한다는 사실을 고착화 시키는 영하ㅗ나 시리즈물 등이 많이 나오게 되었지요.
106
107
108
109
1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