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주관측 및 현상 인지에 있어서 데이터 소니피케이션 이란 단어가 나오던데 어떤 원리인가?
소니피케이션은 데이터를 소리로 바꾸는 과정으로 수치, 파장, 이미지 등의 청각적이지 않은 정보들을 주파수, 음색, 길이, 볼륨등의 청각적인 요소로 변환하며 인간이 들을수 있또록 만들어 준것이라고 하지요. 우주는 공기가 거의 없는 진공에 가까운 환경이기에 실제 소리가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전파, X선, 감마선 등의 정량데이터는 존재하기에 이들을 새로운 감각적 인지를 위하여 바꾸게 되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관측데이터를 청각적요소로 1:1대응 시키며 수천~수억년의 우주적인 현상을 몇초~몇분으로 들을수 있또록 압축하거나 늘리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Q. 대략 3조 회의 관측으로 생성하게된다는 3D우주 지도란 어떤 건가요?
가이아우주망원경이 수행한 3D 우주 지도 제작은 우주의 이해반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는데, 10억개의 별에 대한 정밀한 위치, 거리, 운동, 스펙트럼 데이터 등을 수집하여 3차원 우주 지도를 작성하였고 별하나당 평균 7~80회의 관측으로 누적한 데이터로 우주지도를 작성하였지요. 기존의 우주 지도는 대부분 2차원인데 3D를 통하여 거리 차원을 추가한 입체적인 구조를 재구성하게 된것입니다. 연주시차를 측정하여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하늘에서 별의 위치가 미세하게 이동하는 것을 바탕으로 마이크로초 단위의 오차를 가지면서 거리계산을 진행하였꼬 별이 하늘을 가로지르며 움직이는 고유운동과 시선방향의 속도를 합산하여 3차원 속도 벡터로 값을 구하였따고 합니다. 이를 활용하여 우리 은하의 정밀 구조를 복원하고 별의 형성 역사를 연구하며 암흑물질의 분포를 추정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가이아가 제작한 3D지도는 15억개 이상의 별을 퐇마하고 있으며 방대한 양의 우주 거리 측정 카달로그로서 정확도가 꽤나 높은 지도이지요~
Q. 나사에서 어떤 행성에 우주선 보냈나요??
1986년 나사의 보이저2호가 천왕성을 근접 통과하며 대기와 위성에 대한 초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천왕성의 주요 위성인 아리엘, 움브리엘, 티타니아, 오베론에는 얼ㅇ므 아래에 염분이 있는 액체 상태의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였찌요. 앞으로 천왕성의 궤도선 및 탐사선 미션을 계획하고 있으며 1997년 나사와 유럽우주국, 이탈리아우주국등이 카시니-호이겐스 우주선을 발사하였으며 2004년 토성에 도달하여 13년 동안 탐사를 이루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