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목성에 혜성충돌 사건이 대단히 크게 있었는데, 가스행성에 충돌이 되나요?
혜성과 목성의 충돌 사건은 1994년 슈메이커-레비 9호 혜성 충돌 사건으로서 천문학 역사상 전례 없는 실시간의 행성 충돌 관측사례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혜성의 지름이 약 2km였으나 약 6일간 초속 60km로 충돌이 지속되면서 파괴가 된것이지요. ㅗㅁㄱ성의 상부 대기층에서 충돌이 이루어졌으며 지름이 수천km크기의 흑점이 목성 대기에 수주간 남게 되었답니다. 가스라고 해도 밀도가 0은 아니기에 고속의 혜성 조각이 대기에 진입하게 된다면 대기 분자들과의 마찰로 엄청난 운동에너지가 열로 전환되며 폭발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지구에서 소행성이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타버리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스케일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되는것이지요. 충돌하게 된 위치가 표면이 아닌 대기안의 고압층에서 ㅏㄹ생한것입니다. 목성에선 우리가 발을 디딜수 없는 고체 표면이 없으며 대기 아래로 갈수록 압축된 수소-헬륨이 액체로 되어있으며 압력이 지구의 수백배 이상이 되게 됩니다. 충돌효과는 실제로 거대한 흑점을 형성하며 열 폭발과 충격파를 나타내었으며 대기의 조성 변화가 황, 산소, 탄소 등의 분자로 검출되기도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행성의 방어 가능성을 연구하고 목성의 대기 깊이와 구성을 연구하였꼬 성간 충돌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께 되었습니다.
Q. 날씨는 어차피 예측가능한데 왜 기상청이 존재하나요?
기상청은 단순하게 예보만 하는것이 아니라 재해를 대비하거나 생명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태풍, 집중호우, 폭염, 한파, 황사, 미세머지 등이 재난 상황이 될수 있끼에 사전 경보 시스템을 통해 수많은 생명을 미리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지요.어차피 바꿀수 없는 날씨이기에 더 중요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날씨는 우리가 컨트롤 할 수 없기에 더 정확히 예측하고 대비하는것이 필수인데, 홍수는 막을순 없지만 대비는 할 수 있는 것이지요. 또한 예측의 정확도가 과거보다 훨씬 향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경제적인 이익이 더욱 창출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Q. 우주관측 시 우주의 전체적인 질량분포에 관한 관측을 하는 이유?
우주의 질량은 중력을 통해 물질을 모으고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관측을 통해 질량이 어디에 어떻게 분포하는지 알게 되면 우주의 거대구조(은하, 은하단 등이 어떻게 분포하는지), 필라멘트와 보이드 구조(은하들이 실처럼ㅇ ㅕㄴ결된 구조와 그 사이의 거대한 공허공간)등을 알수 있죠. 또한 암흑물질의 존재와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은하의 회전 곡선을 보면, 중심에서 먼 별들도 예상보다 빠르게 돌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암흑물질의 존재를 확인할수 있지요. 중력 렌즈 현상을 통해서도 보이는 물질보다 더 많ㅇ느 질량이 있는것으로 확인 할 수 있지요.우주의 전체 질량은 우주의 팽창 속도와 과거-현재-미래의 운명과도 관련이 있으며 질량이 많을수록 중력이 강해지며 우주의 팽창읅 ㅏㅁ속시키려는 힘이 커지게 되며 우주의 밀도를 계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