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가장 깊은 심해인 마리아나해구를 탐사한 사람이 있나요?
마리아나 해구는 약 11,034M로서 트리에스테 탐사(도널드 월시, 자크 피카르)를 통해 5시간에 걸쳐 하강하여 20분동안 체류하고 3시간에 걸쳐서 상승한 기록이 있었으며 심해에서 큰 편의 물고기를 발견하였다고 보고 하고 있습니다. 이후 딥시 챌린저(제임스 카메론)를 통해 2시간 36분동안 하강하여 3시간 체류한 이후 1시간 10분 상승하여 암석의 샘플과 미세 샌물 표본을 수집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이후 빅터 베스코보(빅터 베스코보)가 4시간의 하강 후 4시간 동안 체류하며 새로운 새염ㅇ체를 발견하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었답니다! 마리아나 해구를 탐사하는것이 어려운 것은 극도로 높으 ㄴ기압과 극한의 온도, 완전한 어둠과 통신의 어려움을 ㅗㅌㅇ하여 어려운 기술적인 도전을 야기하게 되며 심해 생명체를 연구하거나 지구 내부의 구조를 이해 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바닷속의 기압이 10미터 깊이마다 1기압이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바닷속의 기압이 10M마다 1기압이 증가하는것은 물이ㅡ 무게와 밀도에 의한 압력의 누적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며, 압력=힘/면적 으로 생각하시면 지구의 대기압은 해수면에서 1기압으로 정의되게 됩니다. 물이ㅡ 밀도는 1,000kg/m3이고 바닷물이ㅡ 밀도는 1,025kg/m3이 되는데 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높기에 같은 높이에서도 더 높은 압력을 생성해 내게 되는 것이지요~이를 압력=밀도*중력가속도*깊이로 계산하게 되면 깊이 10M의 바닷물에서의 압력이 1기압 증가하는 것으로 계산할 수 있게 된답니다!기압은 깊이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100M에선 11기압에 도달하여 지표면의 11배가 되게 되는 것입니다! 인간의 신체는 3~4기압까지 ㄴ견딜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압력에선 잠수병에 의해 위험이 증가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세계 최초 영국의 챌린저호는 해저 깊이는 어떻게 측정을 했나요?
영국의 챌린지호는 1872년~1876년 대규모 심해탐사로 현대 해양학의 출발점이 되었으며, 당시 기술이 매우 제한적이었지만 독창적인 방법으로 해저의 깊이를 측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납추(무거운 추인 30kg정도의 추를 로프 끝에 매달아 가라앉아 해저까지 내려가 깊이를 측정할수 있또록 하였으며), 로프의 길이를 이용하여 기록하였으며, 해저 접촉촉 등을 이용하였답니다! 마리아나 해구의 깊이가 8,184M정도임을 확인하였고 이 이후 현대 해양학에선 음파 탐지기(소나), 멀티빔 음향 측심기 등을 이용하여 깊이를 측정해 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와 달의 거리는 얼마나 떨어져 있나요?
지구와 달 사이의 평균적인 거리는 384,400km로 알려져 있으며 달의 타원형 궤도로 인해 일정하지 않으며 가까울때와 멀때의 거리가 다르게 된답니다. 근지점(가장 가까울때)에선 363,300km이며, 원지점(가장 멀리 있을때)엔 405,500km입니다. 이에 따라 평균은 384,400km가 되는 것이지요!지구에서 달까지 여러 탐사선들이 갔는데 아폴로 우주선의 경우 76시간, 아르테미스 1호의 경우 약 5일정도의 시간을 통하여 움직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달탐사에 시간이 걸리는 이유는 안전한 속도로 제어하고 궤도를 기동하며 연료의 효율성을 따지다 보면 이정도의 시간이 걸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