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달탐사가 인간에게 가져다 준 과학적인 의미가 있나요?
달 탐사는 단순한 상징적인 의미를 넘어 과학적 진보와 인류의 우주 탐사 능려 ㄱ향상에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달의 형성 과정과 태양계 형성 과정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할수 있게 해주었으며, 달 표면의 충돌구나 용암지대, 화산흔적등을 발견하게 되어 달이ㅡ 지질학적 특징을 연구하게 된것이지요. 우주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것도 달 탐사입니다. 우주복기술을 발전시키며 인류가 우주에서 생존할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게 해주었고 로봇 탐사 기술의 토대를 마련하게 해주었습니다! 또한 달에 있는 여러 자원들을 탐색하며 연구하여 미래 인간에게 필요한 에너지원등을 찾고 있는중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성에 무인팀사선을 착륙 시킨 국가중 미국말고 또 있나요?
미국 외에도 여러 국가가 무인 탐사선을 화성에 착륙시키는데 성공하였지요~ 소련, 중국이 착륙한 국가입니다~ 소련은 마르스 3호를 1971년 착륙시켰으며 세계 최초로 화성 착륙에 성공한 탐사선입니다. 다만 착륙후 14초정도후에 통신이 끊기긴 했습니다! 이후 미국이 바이킹 1호와 2호를 1976년에 보내게 되었지요. 2021년 중국은 톈원 1호와 주룽을 2021년에 화성 탐사를 시행하였습니다~ 유럽우주국과 인도, 아랍에미레이트도 착륙에는 실패했지만 화성 탐사는 시도한 국가들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와 달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건가요?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지 않으며 조금씩 다르게 되는데 이는 공전궤도가 완벽한 원이 아니라 타원이기 때문이지요~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적인 거리는 384,400km인데 가까울땐 356,500km정도까지 접근하며 슈퍼문이 나타나게 해주지요. 멀어지는 지점에선 406,700km정도까지 멀어지는데 달이 가장 작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것입니다. 달은 지구를 27.3일을 주기로 한바퀴씩 공전하며 한달동안 근지점과 원일점을 한번씩 거치며 거리 변동을 가지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