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국이 달 뒷면에 착륙한것이 세계 최초라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달 뒷면 착륙은 달 앞면 착륙보다 훨씬 더 어려운 임무입니다. 통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계 위성이 필요하며, 이는 추가적인 비용과 기술적 도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많은 나라들이 달 뒷면 착륙보다는 다른 우주 탐사 임무에 자원을 투자할 가능성이 큽니다. 중국은 지난 몇 년 동안 우주 탐사 기술을 급격히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달 착륙 및 탐사에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했습니다(게임에서도.. 저희가 현질을 많이 한 사람을 이길수 없다고 하느것처럼요 ㅎㅎㅎ). 중국의 창어 4호는 2019년에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하여 탐사를 시작했는데 이는 기술적, 과학적 도전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결과라고 봅니다. 달 뒷면은 통신이 어려운 지역이기 때문에, 중국은 중계 위성을 통해 통신 문제를 해결하는 등 기술적 혁신을 이뤄냈습니다. 다른 나라들, 특히 미국과 러시아는 이미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달 착륙 및 탐사를 수행한 바 있습니다. 아폴로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은 달 표면에서 많은 샘플을 채취하여 지구로 가져왔습니다. 따라서 이들 나라들은 이미 상당한 양의 달 샘플을 보유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달 샘플 채취 임무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습니다. 각국의 우주 탐사 프로그램은 과학적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NASA는 현재 화성 탐사와 유로파(목성의 위성) 탐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임무들은 달 탐사와는 다른 과학적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원 배분이 이루어지게 됩니다.즐거운 주말 되셔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방귀를 뀌면 앞으로 계속 몸은 날아갈까요?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우리가 어렸을때부터 한번쯤은 상상해봤을 재미있는 주제인것 같네요 ㅎㅎㅎ 우주 공간에서 방귀를 뀌는 것이 실제로 몸에 추진력을 줄 수 있지만, 그 영향은 매우 미미하게 됡버니다! 이를 생각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고등학교때 배웠던 뉴턴의 제3법칙(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을 생각해야합니다! 고려해야 합니다. 뉴턴의 제3법칙은 어떤 힘이 가해지면 그에 상응하는 반대 방향의 힘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방귀를 뀌면 그 기체가 나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몸이 약간 밀리게 됩니다. 로켓이 쏘아지는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되지요! 하지만, 방귀는 매우 적은 양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렇기에 방귀로 인해서 나아갈 수 있는 추진력은 극히 작을것같아요 ㅎㅎ 또한, 우주에서는 사람이 일반적으로 우주복을 입고 있으며, 우주복은 밀폐되어 있어 방귀가 우주 밖으로 직접 배출되지 않을것 같네요! 그리고 이제는 잘 알고 계시는것 처럼 ㅎㅎㅎ 우주 공간은 진공 상태이므로, 방귀가 나오는 속도가 매우 느려도 저항을 받지 않게 되겠죠 ㅎㅎㅎ 결론적으로, 우주 공간에서 방귀를 뀌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 힘이 너무 작아서 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방귀를 뀐다고 해서 몸이 앞으로 계속 날아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것같습니다!즐거운 주말 되셔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맨눈으로 어떻게 보이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우주에서 찍은 사진들이 너무 예쁘게 보이는 이유는 우주 사진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는 다양한 파장의 빛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자외선, 엑스선 등은 우리의 눈으로는 직접 볼 수 없지만, 특별한 장비를 통해 촬영되고 색상으로 변환되어 표현됩니다. 이러한 색상 변환 과정에서 우리가 자연에서는 볼 수 없는 아름다운 색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를 후처리 작업 해주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색상, 명암, 대비 등이 조절되어 더욱 선명하고 아름답게 보이도록 만듭니다. 이는 과학적 목적뿐만 아니라 교육적, 미적 목적을 위해서도 이루어집니다. 후처리 과정에서 우주 사진에 특정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색상을 과장하거나 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맨눈으로 본다면 사람이 우주에서 맨눈으로 보는 풍경은 지구의 대기권 내에서 보는 것과는 다르지만, 사진처럼 알록달록하지는 않습니다. 우주에서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별과 행성들이 대기 산란 없이 매우 선명하고 밝게 보이지만, 색상은 주로 흰색이나 약간의 색조가 있는 정도입니다. 예를 들어, 태양빛이 반사된 달이나 행성들은 매우 밝게 빛나지만, 다양한 색상이 눈에 띄게 보이지는 않게 되겠죠! ㅎㅎ즐거운 주말 되셔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온뒤 더 더워질수도 있는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요즘같이 매우매우 더울때는 단비처럼 고마운 친구가 없죠!! ㅎㅎㅎ 비가 오면 일반적으로 기온이 내려가고 시원해지는 경우가 많지만, 다음의 경우 비가 오면서도 더 덥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비가 오면 주변 공기의 습도가 급격히 증가합니다(물이 많이 우리에게 왔으니까 당연히 습한정도가 늘어나겠지요!?). 높은 습도는 땀이 증발하는 속도를 느리게 만들어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므로, 사람은 더 덥게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나 열대 지역에서는 강한 열대 저기압이나 태풍이 접근하면서 비가 내릴 때, 따뜻한 공기가 함께 유입되어 기온이 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비가 오면서도 기온이 내려가지 않고 오히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가 내리기 전 지면이 매우 뜨거워진 상태라면, 비가 내리면서 지면의 열기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면서 일시적으로 더 덥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도시 지역에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가 열을 많이 흡수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시 지역에서는 건물, 도로 등 인프라가 밀집되어 있어 열섬 현상이 발생합니다. 비가 오면서 열섬 현상이 완화되는 경우도 있지만, 짧은 시간 동안 비가 내리면 지면의 열기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면서 일시적으로 더 더워질 수 있습니다.즐거운 주말 되셔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최초 중력의 속도는 어떻게 측정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지구의 중력 가속도를 최초로 측정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실험과 아이작 뉴턴의 연구로 거슬러 올라가야해요. 둘다 유명한 과학자 지요?ㅎㅎ 이들 과학자들은 중력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측정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7세기 초, 피사의 사탑에서 다른 질량의 물체를 동시에 떨어뜨리는 실험을 통해 중력가속도가 물체의 질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을 증명했고, 경사진 평면을 사용하여 구를 굴리는 실험을 통해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려고 했습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갈릴레오는 물체가 자유 낙하할 때 일정한 가속도로 떨어진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아이작 뉴턴은 갈릴레오의 연구를 바탕으로 중력의 법칙을 체계적으로 정립했습니다. 뉴턴은 만유인력 법칙을 통해 지구의 중력가속도를 계산할수 있게 해 주었죠. 이를 계산하기위해서는 기존에 말씀드린 '두 물체 사이의 중력은 각각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각각의 질량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를 사용하면 됩니다!현대에는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정밀 기기를 사용하여 중력가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진자의 주기 측정, 자유 낙하 실험, 원심력 측정 장치 등을 통해 중력가속도를 측정합니다. 현대적인 측정값에 따르면, 지구의 표면에서의 중력가속도는 약 9.8 m/s^2입니다.즐거운 주말 되셔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중력은 어떻게 무슨이유로 생기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지구의 중력은 지구의 질량 때문에 생기는 자연의 이치이지요! 중력이란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가 서로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으로, 지구는 매우 큰 질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표면 근처에 있는 모든 물체를 끌어당기게 되는거지요! 지구의 중력이 생기는 이유는 지구 내부의 핵 때문이 아니라, 지구 전체의 질량이 만드는 중력장 때문입니다. 우리 지구에게 속해있는 위성인 달도 중력이 있습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중력보다는 약하지만, 여전히 달 표면에 있는 물체를 끌어당깁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약 1/6 정도입니다.또한, 중력은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과학자인 뉴턴이 '두 물체 사이의 중력은 각각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각각의 질량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라고 뉴턴의 법칙으로 정하였고 이를 해석하면 물체가 클수록, 그리고 가까울수록 중력이 강해집니다.즐거운 주말 되셔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산소가 없는 우주에서도 총은 발사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산소가 없는 우주에서도 총은 발사가 가능합니다. 총이 발사되는 원리는 화약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 압력으로 총알이 발사되는 것입니다. 화약은 자체적으로 산소를 포함하고 있어, 외부 산소 공급 없이도 연소할 수 있습니다. 다만, 우주에서는 공기가 없어 총알의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공기 저항이 없기 때문에, 총알은 지구에서보다 더 멀리 날아갈 수 있습니다.즐거운 주말 되셔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이 지구와 매년 액 4cm씩 멀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지구와 달 사이에는 만유인력에 의한 조석력이 작용하고, 이로인하여 지구에서는 조수 간만의 차(밀물과 썰물)가 발생하고, 이는 달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되죠. 또한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바닷물이 움직이며 조석력으로 인한 마찰이 발생합니다. 이 마찰은 지구의 자전을 서서히 느리게 만듭니다. 이를 물리학의 기본원칙인 각운동량 보존 법칙에 적용시켜보면 지구의 자전 속도가 느려지고 달은 그 보존된 각운동량을 받아 조금씩 지구로부터 멀어지게 됩니다. 이 멀어지게 되는 수치값을 계산하면 달은 매년 약 4cm씩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지구와 달 사이의 중력적 상호작용과 물리적 법칙에 의해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즐거운 주말 되셔요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막에 있는 오아시스 물을 함부로 마셔서는 안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색다른콜리님 :)사막에 있는 오아시스의 물은 동물의 배설물이나 다른 오염 물질로 인해 오염되어 있을 수 있고, 기생충이나 병원균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심각한 질병에 걸릴 수 있죠. 또한, 종종 높은 염분 농도나 독성 광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을 섭취하면 탈수나 중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하게 생수와 같은것을 먹는게 좋겠지요! 즐거운 주말 되셔요 색다른 콜리님!!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천체의 자기장 관련해서 존재한다는 다이나모 효과란 어떤 효과를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즐거운가오리님!!😆🙂🙂다이나모 효과는 전하를 가진 물체가 자기장 속에서 움직이면 로렌츠 힘이 작용하고, 전하를 가속시켜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한 전류는 다시 자기장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자기장과 전류가 서로 강화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이것이 바로 다이나모 효과입니다.
7167177187197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