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항성과 행성이 자기장을 띄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우람한슴새님!!😆🙂🙂항성 내부의 대류 운동이 자기장 생성하는데 항성 내부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움직임이 전류를 유발하고, 이 전류가 자기장을 만들어냅니다.행성의 자기장은 내부 다이나모 효과에 의해 생성되요! 행성 내부의 액체 핵이 소용돌이치면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자기장을 형성합니다. 지구는 핵의 대류 운동이 지구 자기장을 만들어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이 자전을 하는이유와 각 위도에 따라서 속도가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빼어난 양님!!😆🙂🙂태양은 기체로 이루어져 있어 자전을 합니다. 이는 태양 내부의 대류로 인한 자전이 발생하게 되는거지요. 태양 형성 초기에 가스와 먼지가 뭉쳐 생긴 만유인력에 의해 회전 운동이 시작되었고, 이 회전 운동이 태양의 자전 방향을 결정했습니다. 태양의 자전 속도는 위도에 따라 다르며, 적도 부근이 고위도보다 빠릅니다. 이는 태양 내부의 대류 운동과 관련이 있습니다.즐거운 주말 되시고 답변이 유익하셨길 바랍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계절별로 볼 수 있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ditto님!! 계절별로 별자리가 달라지는 이유는 지구가 공전을 1년 365일을 주기로 하고있기 때문이지요! 공전을 함에따라 시선을 기준으로 지평선 위쪽의 별들은 보이게되지만 , 그 반대는 보이지 않게되면서 내가 보이게 되는 영역의 차이가 생기게 되지요! 그러면서 지구에서 계절별로 별자리가 다르게 보인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고대시대에는 지구가 둥글다라는것을 무슨 기준과 증거로 안건가요
안녕하세요!!  빼어난 양님!!😆🙂🙂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지표면의 다른 곳에서 별자리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관찰했고, 이를 지구가 둥근 모양이라고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중세 시대 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증명을 받아들여, 지표면의 다른 곳에서 별자리의 위치가 변하는 것이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라고 생각했고, 콜럼버스 역시 지구가 둥글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쪽으로 항해하여 동쪽으로 갈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는 왜 특정 성을 붙이지 않고 지구라는 특별한 이름인가요?
안녕하세요!!  빼어난 양님!!😆🙂🙂태양계 내 행성들은 대부분 뒤에 '성'이 붙는 명칭을 가지고 있죠. 처음에 행성들의 명칭에 '성'이 붙였던건 지구에서 바라볼때 이 행성들이 반짝반짝 빛나 하늘의 '별'로 인식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행성들에게 '성'이라는 접미사를 붙여 '별'로 표현했던 것입니다. 반면에 지구는 태양계 내 유일하게 '성'이 아닌 '구'가 붙은 명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 천동설 시대에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공기 상승에 따른 상대 습도, 절대 습도, 수증기량, 온도, 기압의 영향을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고로유연한백만장자님 :)먼저 절대습도란 공기 1kg 속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상대습도는 공기의 습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실제 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상대습도는 기온에 따라 변화하며, 같은 양의 수증기라도 온도가 낮을수록 상대습도는 높아집니다. 공기가 포화상태에 이르면 상대습도는 100%가 되며, 이때 공기의 이슬점과 같습니다. 따라서, 공기가 상승하면 상대습도는 하강하게 되겠지요. 상대습도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양이 공기가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에 비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공기가 상승하면 주변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부피가 팽창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온도가 하강합니다. 온도가 하강하면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대습도는 상승합니다.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라며 :)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정거장에서 머무르면 왜 무중력으로 느끼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빼어난 양님 :)우주 정거장이 지구의 중력 영향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무중력 상태처럼 느끼는 이유는 관성력(우주 정거장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습니다. 이때 우주 정거장 내부에 있는 사람은 우주 정거장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자신의 몸이 정지해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되죠), 무게 중심(우주 정거장 내부에서는 무게 중심이 없기 때문에, 사람의 몸이 공중에 떠 있게 되죠) 그리고 자유낙하(우주 정거장 내부에서는 자유낙하 운동을 하기 때문에, 사람의 몸이 공중에 떠 있게 됩니다. 자유낙하 운동은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물체가 떨어지는 운동으로, 이때 물체는 중력에 의한 가속도를 받게 되죠) 때문입니다!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라며 :)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번개가 발생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이전이님!! :)천둥과 번개는 구름 내부의 전하 분리로 인해 발생합니다. 구름 내부에서 얼음 결정과 물 결정이 부딪혀 전기를 띠게 되고, 이로 인해 구름 하부는 음전하, 상부는 양전하가 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서로 다른 전하가 부딪혀 번개가 발생하고, 이 번개로 인해 주변 공기가 순식간에 초고온으로 팽창하면서 천둥 소리가 발생합니다. 또한, 천둥번개의 발생 원리는 첫째, 불안정한 대기 상태(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 위로 올라가면서 상승기류가 발생), 둘째, 전하 분리(구름 내부에서 얼음 결정과 물 결정이 부딪혀 전기를 띠게 되고, 구름 하부는 음전하, 상부는 양전하가 됨) 셋째, 번개 발생(서로 다른 전하가 부딪혀 번개가 발생) 넷째 천둥 발생(번개로 인해 주변 공기가 순식간에 초고온으로 팽창하면서 천둥 소리가 발생) 하게 됩니다. 따라서 천둥과 번개의 차이라면 번개는 구름 입자 간 전하 이동으로 생기는 방전 현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것, 천둥은 공기 중 전기 방전으로 인한 소리로 번개가 먼저 보이고 천둥 소리가 뒤따르는데, 이는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여행 언제쯤 가능할까요? 20년안에는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귀여운대벌래님 :)현재 우주여행을 상업적으로 제공하는 업체로는 버진 갤럭틱,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 등의 사기업에서 계획하고 있으며, 2024년 중반부터 상업용 우주여행을 시작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렇게 우주여행이 가능하더라도 제도화된 규정과, 관련 수요를 충족하기위해서는 아직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20년 안에는 어느정도 가능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라며 :)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의 파동 속도는 얼마나 빠르게 전달되나요?
안녕하세요!!! 궁금한질문쟁이님 :)지진파는 흔히 우리가 P파, S파, L파로 나누어서 생각할수 있고 각각의 속도와 시속을 환산해본다면 P파는 5~8km/s의 속도, 시속으로 환산시 18,000~28,800km/h, S파는 3~4.5km/s의 속도, 시속으로 환산시 10,800~16,200km/h, L파는 약 2~4 km/s의 속도 시속으로 환산시 7,200~14,400 km/h가 되겠네요 !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라며 :)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7167177187197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