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유명사와 일반명사로 된 상호명은 보호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아마 상표를 물어보신 것으로 생각됩니다.'상호' 가 상표로 기능하는 경우에, 그 상호가 그 상품에 대한 보통명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표권자가 상표권을 행사해서 사용금지를 시킬 수 없습니다. (싱표법 제90조 제1항)예를 들어, 설탕을 판매하는 가게가 "설탕가게"라는 상호릉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상품에 대한 보통명칭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해야할 것이어서, 싱표권 침해를 구성하지 않게 됩니다.
Q. 반도체에서 P형과 N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n형 반도체는 전자가 남아서 전자를 제공하는 반도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은 4가 인데, 여기에 5가 원자를 도핑하게 되면, 4개가 결합에 사용되고 1개의 전자가 남게됩니다. 이에 따라 해당 반도체는 전자를 제공하는 입장이 될 수 있고, 이를 n형 반도체라고 합니다.이와 달리, p형 반도체는 실리콘(4가)에 3가 원자를 도핑한 것입니다. 그러면 3개가 결합하고 1개의 전자가 모자란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전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를 p형 반도체라고 합니다. 다만, 개념적으로 편하게 생각하기 위해 전자가 모자란 자리를 "정공(hole)" 이라고 표현하여 정공이 있다는 방식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즉, 정공을 제공하는 반도체라고 설명하기도 하는 것이죠.
Q. 반도체 재료의 도핑과 관련하여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도펀트(dophant)는 반도체 소재에 전기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부하는 불순물을 의미합니다. 즉, 반도체 소재에 넣는 도펀트의 종류에 따라 반도체는 전자를 제공하는 반도체인 n형 반도체가 되기도하고, 전자를 수용하는 반도체인(개념적으로는, 정공을 제공하는 반도체)p형 반도체가 되게 됩니다.예를 들면, 실리콘은 4개의 결합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 5가 원자를 첨가해주면, 4개가 결합에 사용되고 전자가 하나 남게됩니다. 이러한 전자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를 제공하는 n형 반도체가 됩니다. 이와 달리, 3가 원자를 첨가해주면 전자가 하나 모자라게 되므로 전자를 수용하게 됩니다. 이 것을 개념상 편하게 생각하기 위해 "정공(hole)"이라는 전자의 반대 개념을 도입하여 "정공을 제공한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Q. 안경을 맞추기 위해 안경점에 갔는데, 압축 렌즈를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압축 렌즈는 어떻게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압축' 렌즈라는건 사실 마케팅용어에 가깝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왜냐면, 압축렌즈를 만드는 과정이 기존 렌즈를 물리적으로 압축한다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압축렌즈는 기존 렌즈를 고압으로 눌러서 압축하는게 아니고, 굴절률이 높은 소재를 가공하는 렌즈입니다.렌즈는 주로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만드는데,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빛을 잘 굴절시킬 수 있도록 고굴절 소재를 사용한 렌즈가 압축렌즈 입니다. 또한, 비구면 디자인을 채택하여 가장 가리로 갈수록 곡률을 조정하기 때문에 렌즈를 더 얇게 만들 수 있게 됩니다. (렌즈가 얇아졌다는 의미에서 압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 뿐입니다.)
Q. 전도성 고분자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고분자 재료는 전통적으로 절연체로 생각되었습니다. 탄소와 수소가 공유결합되어 있어서 전자가 이동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전기가 통하기 어려웠던 것입니다. (이에 반해, 금속의 경우에는 자유전자로 인해 전도성을 띄게 됩니다.)다만 탄소가 Sp3가 아닌 Sp2 혼성 오비탈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이중결합을 하는 경우) 혼성 오비탈이 넓게 비편재되어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도전성을 갖기도 합니다. 여기에 전도성을 갖게하는 이온을 첨가하거나, 그래핀 등을 첨가하여 전도성을 갖게합니다. 예를 들어, 폴리 아닐린의 경우 금속과 동일한 정도의 전도성을 갖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