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홍기윤 전문가
LG디스플레이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상품권의 낙전수입이란 것은 어떤 수입을 의미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낙전 수입(落錢收入)이란 정액 상품에서 구매자가 제공량을 다 쓰지 않아 떨어지는 부가수입을 말하는 것으로, 정액 상품을 판매한 기업의 배를 불리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큽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근육의 수축에서 Z선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횡문근(골격근, 심금)의 근원섬유 근절을 가로 막는 원반모양(직경 약 1μm)의 구조. Z는 독일어의 Zwischen(격리하다)의 약자이다. 한 변이 15nm인 직사각형의 입체적 격자가 있어 그 정점에 액틴필라멘트가 돌출하고 있는데, 좌우의 액틴필라멘트는 독립하고 있어서 방향성이 달라진다. Z선의 격자와 결합하고 있는 말단이 반화살 끝이다. α액티닌은 이 격자에 시멘트블록모양으로 결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출처:생명과학대사전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근육의 수축에서 활주설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활주설은 근육 수축의 기전을 설명한 이론으로 1954년 미국 MIT의 휴 헉슬리(Hugh Huxley) 연구팀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앤드류 헉슬리(Andrew F. Huxley) 연구팀에 의해 각기 독자적으로 보고되었다. 이 이론에 의하면, 근육을 구성하는 액틴과 미오신의 필라멘트는 항상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며, 근육 수축 시 액틴 필라멘트가 미오신 필라멘트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서 근절(sarcomere)이 짧아진다는 것이다.1950년대 이전에는 전기 인력, 단백질 접힘, 단백질 변형과 같은 다양한 근육 수축에 관한 이론들이 있었지만, 활주설은 필라멘트 활주의 분자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교차결합(cross bridge) 이론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 이론은 액틴 필라멘트에 미오신 머리를 부착함으로써 액토미오신이라는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하게 되고 두 필라멘트 사이에 일종의 가교(bridge)가 형성됨을 설명하였다. 이 두 가지 상호 보완적인 가설은 정확한 이론임이 인정되었고, 현재 근육운동의 기전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출처:동물학백과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직류와 교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의 흐름인 전류는 흐르는 방향에 따라 직류와 교류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즉, 한쪽 방향으로 계속 흘러가는 전류를 직류 전류, 흐르는 방향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바뀌는 전류를 교류 전류라고 한다.직류 전류는 (+)극과 (-)극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는 전지를 전기 회로에 연결할 때 주로 발생하고, 교류 전류는 (+)극과 (-)극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바뀌는 발전기와 같은 전원 장치에 의하여 발생한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명공학은 어떤 부문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생명공학은 인체를 포함한 동물, 식물 그리고 미생물 등의 세포 내에서 수행되는 생명체 활동의 기본 현상과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인간에게 유익하게 응용하는 학문입니다. 생명공학과는 이론과 실험을 통한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과 응용력 향상을 목표로 하며, 생명공학기술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과학기술자 양성을 위한 학과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NASA의 프쉬케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NASA의 디스커버리 계획의 열 네 번째 임무로,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 있는 유명한 금속 소행성인 프시케를 탐사하여 행성 핵의 기원을 탐구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의 린디 엘킨스탠턴이 해당 임무를 제안한 수석 조사관이며,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이 프로젝트를 관리한다.출처:나무위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석유에서 각종 기름을 분리하는 것은 어떤 과학덕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석유정제란 원유를 증류하여 각종 석유제품과 반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정유(oil refining)라고도 부른다. 원유의 주성분은 탄소와 수소의 화합물인 탄화수소이며 이 밖에 황, 질소, 산소 등의 화합물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탄화수소는 그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와 수소원자의 수나 연결되는 모양에 따라 성질이 달라져 메탄, 프로판, 벤젠 등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원유의 주성분인 탄화수소는 증류에 의해 분리시킬 수가 있다. 즉, 이 탄화수소들의 각기 끓는점이 다른 특성을 이용하여 증류공정을 통해 원유에서 휘발유, 등유, 경유 등 주요 성분을 분리하여 뽑아낸다.출처:대한석유협회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빛의속도1광년은 일반속도로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광년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로서 빛의 속도로 1년(율리우스년=365.25일=8766 시간=525960 분)이 걸리는 거리이다. 빛의 속도는 초속 2.99792458×105 km이고, 1년은 3.1557600×107 초이므로, 1 광년은 9.460730472×1012 km, 대략 10 조 km이다. 1 광년은 또 63241.1 천문단위(AU)와 0.306601 파섹 (pc)에 해당한다. 광년은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데 유용한 단위이다. 천문학자가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데 많이 쓰는 또 다른 단위는 pc(파섹)이다. 1 광년은 0.3066 pc이다. 가장 가까운 별로 알려진 센타우루스자리프록시마별까지의 거리는 4.25 광년이고 1.30 pc이다.출처:천문학백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혈액형 분류법은 누가 처음에 만든건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19세기 말부터 수혈 때의 경험 등을 통해 어떤 사람의 혈액에 다른 사람의 혈액을 혼합하면 혈구의 덩어리가 만들어짐을 알게 되었다. 처음에 이 현상은 류머티즘이나 결핵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았으나, 1900년에 그것이 질병과는 관계없이 건강한 사람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라는 것을 K.란트슈타이너가 발견하였다. 이 혈구의 덩어리를 만드는 현상을 응집반응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사람의 혈구에는 A 또는 B라는 항원이 있고, 한편 혈청에는 이들과 대응하는 항 A, 항 B라는 응집소로 불리는 항체가 있기 때문이며, 혈액형이 다른 사람끼리의 수혈이 위험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요약하면 혈액형은 혈구 속에 들어 있는 특정항원의 유무 또는 존재하는 항원의 구성에 따라 실시되는 분류를 말한다.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에 의하여 1901년 ABO식 혈액형, 1927년에 MN식 혈액형, 1940년에 Rh식혈액형이 발견되었다. A 또는 B항원의 유무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ABO식 혈액형이고, M 및 N항원의 유무에 따른 분류가 MN식 혈액형이다. 또 Rh0(D) 인자의 유무로 분류하는 Rh식 혈액형과 이 밖에 많은 혈액형이 있다. 그러나 정상인의 혈청 속에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혈구가 가진 항원에 대응하는 항체(응집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ABO식 혈액형에서만 볼 수 있고, 만약 있다면 혈액형 유전의 이상에 의하거나 먼저 가진 임신으로 모아면역(母兒免疫:태아가 모친에 없는 항원을 가지고 있어 이것이 태반을 통하여 모체 내에 들어가 모체 내에 이에 대응하는 항체가 생겨나는 일)이 생겼다거나 또는 과거에 실시된 수혈결과에 의해 생긴 것이다. ABO식 혈액형 분류는 일반적으로 B형이나 A형 사람의 혈청 속에 태어나서부터 가지고 있는 자연항체인 항 A, 항 B를 써서 수혈이나 혈액형 물질을 주사하여 만들어진 면역항체이다. ABO식 이외의 혈액형분류에는 거의 모두 이런 면역항체를 쓴다. 그러나 때로는 동물의 혈청 속에 우연히 함유되어 있는 사람의 혈구에 대응하는 항체를 이용할 때도 있다.출처:두산백과
화학
화학 이미지
Q.  삼원계 배터리는 기존의 배터리 대비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니켈·코발트·망간 등 세 가지 물질을 섞어서 양극재를 만들면 삼원계 배터리, 리튬인산철을 쓰면 LFP(리튬인산철 계열) 배터리로 불린다.통상 삼원계(NCM) 배터리는 니켈 60%, 코발트 20%, 망간 20%의 비율로 원료를 섞는데 코발트는 출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삼원계 배터리는 LFP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높아 더 진보된 기술로 분류된다.출처:한경경제용어사전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