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미술
미술 이미지
Q.  픽사 애니메이션중에 존 라세터가 참여한 작품이 뭐가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존 라세터! 미야자키와 함께 제가 가장 좋아하는 애니매이션 감독인데요~ 존 라세터는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입니다. 픽사에서 제작자, 감독, 프로듀서 등으로 많은 작품을 참여했는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토이스토리 시리즈'를 가장 애정합니다. 어른 동화라고 말하고 싶을 정도로 우리에게 누구나 내제되어 있는 어릴적 인형과의 추억과 성장에 따른 이별에 대해 아름답게 풀어낸 작품입니다. 그 외에도 픽사의 '몬스터 주식회사' '카2' '벅스라이프' '인크레더블'등 한국에서도 유명하고 흥행한 작품에 다수 참여 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삼국시대 건축, 탑, 불상 문화재를 각 나라별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시대는 너무 아름다운 문화가 있던 시대중 하나지요ㅎㅎ 각 시대별로 유명한 문화재를 얘기해볼게요.[고구려]건축: 집현전, 송현각, 미륵사, 유림사, 구봉산성 등탑: 청룡사 석탑, 해문대 석탑, 부여묘탑 등불상: 연화산 석조여래좌상, 월류산 대여래좌상, 능성사 대웅전 앞 미륵보살 등[백제]건축: 경안루, 동각사, 원효사 등탑: 면천리 청자탑, 동종리 석탑, 쌍령리 석탑 등불상: 동종리 아미타여래좌상, 동관리 원효보살반가상, 지리산 암석여래좌상 등[신라]건축: 석굴암, 황남사, 불국사, 북초사 등탑: 불국사 쌍성탑, 미륵사 석탑, 석굴암 석탑 등불상: 불국사 대불, 미륵사 미륵보살상, 용강사 암각화상 등크게 이렇게 볼수 있는데요 현존 최초와 최고라는건 좀 개념에 따라 달라질수 있지만, 현존 최초는 고구려 청룡사 석탑(647년)이라고 생각합니다. 석조탑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존 최고 주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 않을까요? 저 역시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이 너무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
역사
역사 이미지
Q.  산타할아버지는 언제 처음 세상에 나왔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타 클로스는 크리스마스 때 선물을 나눠주는 우리 어린시절의 추억 그자체이지요. 산타할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는 280년 전에 살았던 승려인 성 니콜라오스의 이야기에서 시작되었는데요. 그는 어릴 적부터 기도와 자비로움을 바탕으로 살다가 가난한 이들에게 선물을 나눠주는 등 자선활동을 하면서 유럽 전역에 이 사람의 이야기가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1823년에 출간된 클레멘트 클라크 무어의 시에서 산타 클로스의 현대적인 모습이 처음 등장했고, 서서히 산타 클로스는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크리스마스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우리나라 최초에 장인으로 선정된 분은 어떤 분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 인정하는 '장인'이 뽑히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지정하는 '대한민국 명인'이라는 이름으로 뽑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국가에서 지정하는 대표적인 명인은 한국의 전통 민속예술, 공예, 요리, 음악, 무용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인데요. 최초로 장인으로 뽑힌 사람은 1966년에 지정된 '옹기장이' 박병기 선생님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후로 국내 공예, 민속예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많은 분들이 대한민국 명인으로 지정되어 왔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왕은 변을 보고 스스로 처리를 하지 않은 게 진짠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사실입니다ㅎㅎ 영화 광해를 보더라도 왕이 용변을 볼때 신하 앞에서 보고 그 결과물을 신하가 직접 보는것이 일종의 코믹한 장면으로 나왔었지요.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용변을 볼때 신하가 함께 했는데요. 이는 왕이 건강한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용변을 볼 때 신하는 물론 왕의 건강 상태뿐만 아니라, 변의 상태나 냄새 등을 관찰하여 질병 여부를 판단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역할은 신하가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관료인 의원(醫院)이 맡았습니다. 의원은 왕의 건강 상태와 질병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해 나가는데, 이러한 기록들은 '조선 왕조실록' 등의 역사 기록에 남아 있습니다.
1561571581591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