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음악
음악 이미지
Q.  줄임 신조어들 너무 어려워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캐라는 말 참 많이 쓰여지는거 같아요ㅎㅎ[부캐]라는 것은 예전에는 게임을 할때 자주 사용되던 용어로써 게임을 할때 '메인'으로 캐릭터를 만들어서 게임을 하다가 똑같은 플레이에 지루할때쯤 새로운 '부캐'를 만들어서 메인캐릭터 만큼 시간을 쏟지는 않지만 소소하게 재미로 굴리던 게임속 인물을 부캐라고 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 쓰이는 신조어 부캐의 의미는, 현실 일상에서 주로 내가 보이는 모습이 아닌 다른 측면의 자신을 보여주고 싶을때 '부캐'를 빌어서 컨셉을 정하고 보여주는데 있어서 부캐라는 표현이 쓰이고 있습니다 ^^
음악
음악 이미지
Q.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는 어디에서 나왔으며 교훈은 뭘까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토끼와 거북이 이야기 너무나도 유명하지요! ㅎㅎ이 유명한 이야기는 유럽에서 전해져온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여러 버전이 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프랑스 작가 '장드 라폰데'가 쓴 '동물의 언어로 이야기하는 기묘한 이야기'라는 곳에 수록된 버전이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다들 알다시피 토끼와 거북이가 경주를 하면 빠른 토끼가 우승하는것이 당연하잖아요? 이를 잘 아는 토끼가 거만해지고 자만에 취해 뛰었다가 잠을 자버렸다 하면서 게으름을 피우는 동안 느리지만 묵묵하게 꾸준히 노력한 거북이가 결국 결승전에 통과해서 이기는 내용으로 재능보다는 노력과 인내심이 중요하다는걸 보여주는것이 아닐까요?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노력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참 좋은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
음악
음악 이미지
Q.  백두산의 절반이 왜 중국땅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안타깝게도 백두산은 북한의 국경과 중국의 국경이 맞닿은곳에 있습니다. 과거 20세기 이전의 경우에는 중국이 여러 주변 강대국으로 인해 이런저런 침략과 국력 약화를 겪었었고 당시 한국은 백두산은 온전히 한국땅으로 인정받고 있었는데요. 이후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화 되면서 일본에 뺏기게 되고 이후 다시 독립을 하면서 한국땅을 되찾았는데 결국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함으로 인해 남과 북이 갈리게 되면서 이때 북한이 중국의 도움을 받게되고 이후 중국과 여러 외교적 관계를 맺음에 따라 이후 새로 국경을 정리하면서 백두산을 반반 갈라 중국과 북한이 공동 관리하는 쪽으로 바뀌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장편의 스토리가 탄탄한 글을 만들기 위한 작가님들의 노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명작이나 히트작을 내는 장편 스토리 작가님들의 작품을 보면 감탄을 불러오지요. 확실히 스토리면에서 탄탄한 서사구조와 개연성이 돋보이는것 같아요. 이렇게 작가가 단단한 스토리를 위해서 여러 노력이 필요한데요. 먼저 스토리를 만들기 전 아이디어 구상을 위한 자료 수집과 연구가 선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도서관이나 인터넷 자료조사, 때론 현장조사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구요. 이 자료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중요한 세계관과 캐릭터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유명한 해리포터 작가 조앤롤링이나 미생의 작가 김태호 작가님의 인터뷰를 볼때면 우리가 보는 작품의 내용 외에도 이미 각 캐릭터들의 인생들이 따로 더 완성되 있을정도로 탄탄하게 세계관을 미리 완성시켜 놓아야 합니다. 그래야 인물들이 어떤 상황에 닥쳤을때 그들이 살아온 배경과 성격에 맞는 행동을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이 작품의 일관성과 설득력 생동감을 더하기 마련이지요. 이후에 되어서야 스토리 구성과 전개를 위한 글을 쓰는데요. 이 뒤부터는 일반적인 작가의 작업대로 시나리오 구조를 만들어가고 조합하면서 이야기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는 검수를 하면서 전체적인 흐름을 점검하게 되겠네요. 여기에 그 작가만이 가지는 개성있는 문체나 대화가 더해지면 관객입장에서 더 즐거울을 줄수 있겠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기후변화로 인한 우리나라 열대과일 재배 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은 열대과일을 주로 수입해 들여와 판매하는 나라였는데요. 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한국은 매년 조금씩 기온 상승을 겪고 있고 습도 또한 높아지고 있어 이러한 기후 변화가 열대과일 재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 같아요. 특히 최근 몇 년간은 열대과일 재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에서 여러 연구 및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중 한국에서 특수작물로 재배되는 열대과일은 한라봉, 유자나무, 망고나무, 바나나나무 등이 있습니다. 한라봉은 다들 아시다시피 제주도에서 주로 재배되고 망고나무는 전남 경남지방에서 재배된다고 하네요. 하지만 여전히 기후적으로 열대과일 재배에는 적합하지 않은 나라입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재배되는 열대과일은 아직까지는 수입산에 비해 생산량이 적습니다. 또한, 열대과일 재배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와 재배 환경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1561571581591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