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튀르키예하고는 왜 형제의 나라라고 하는거죠?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예전에 터키라고 불렸던 튀르키예가 한국의 형제의 나라로 불리는 이유는 6.25 전쟁시절 강대국들에 이어(미영캐) 4번째로 많은 군인을 파견해 한국을 도와줬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튀르키예의 경우 대부분의 파병군이 본인의 뜻으로 지원한 자원병이었고 미국 다음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을 정도로 한국을 위해 목숨걸고 싸워줬습니다. 또한 튀르키예의 호텔이나 관광서같은곳에 태극기가 같이 게양되어 있는 모습도 쉽게 볼수있을 정도로 튀르키예인들은 한국에 매우 호의적이고 실제로도 한국을 형제의 나라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게다가 사실 6.25전쟁 이전을 거슬로 올라가면 과거 고구려와 함께 존재했던 '돌궐'이란 나라와 고구려가 동맹을 맺고 매우 가까웠다고 합니다. 이 역사관을 튀르키예인들은 어린시절부터 자랑스러운 역사로 배우고 있으며 대부분의 터키인들이 고구려라는 우방국을 알고 있다고 합니다.
역사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전주 이씨의 시조는 누구인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전주 이씨의 시조는 이한(李翰)으로 조선을 건국했습니다. 전주 이씨의 대표적인 인물이 우리가 익히 아는 대조 이성계로 22대손입니다. 전주에는 전주 이씨 시조 이한의 묘인 조경단이 모셔져 있답니다. 경사가 시작된 제단이란 의미로 제왕의 땅이라고 불린다고 해요.
미술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금속 활자로 팔만대장경을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팔만대장경은 금속활자와 상관없는것으로 압니다. 팔만대장경은 고려시대 초부터 불교가 전하는 말을 연구하고 해석한것을 목판에 새겨넣은 것인데 당시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부처의 힘을 빌어 몰아내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처음에는 거란의 침입으로 부터 지켜달라하여 만든 대장경이 초조대장경이었고 이후 몽골에 의해 초조대장경이 불타면서 다시 만든것이 재조대장경입니다. 이 재조재당경의 갯수가 8만장이 된다하여 팔만대장경이라 불리게 된 것입니다. 팔만대장경이 목판임에도 그 보전성이 대단했는데요. 이는 나무의 선정단계부터 신중하였고 소금물에 절인 나무를 삶고 말리기를 반복하며 재료 준비에만 5년가량 정성을 쏟아 뒤틀리지 않고 강한 나무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이후 보존했던 해인사역시 팔만대장경을 위해 과학적으로도 뛰어난 장소에 보관했다고 ㅎ바니다. (최적의 기온과 습기 통풍을 다 고려) 해서 현재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 되게 된 자랑스런 우리나라 문화 유산입니다.
미술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피라미드는 어떻게 쓰러지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피라미드의 놀라운 점은 몇천년이 지난 지금도 건재하게 존재한다는 것이지요. 만약 우리가 어떤 기업게에 건물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한 후, 그것이 5,000년간 유지되기를 원한다면, 그사람들은 미쳤다고 당장 거절할게 뻔합니다ㅎㅎ역사상 가장 오래되고 상징성있는 유적인 피라미드는 어떻게 이렇게 오래됬는지 스티브 버로우즈(Steve Burrows)라는 구조 엔지니어가 말한것이 있습니다. 이 엔지니어는 3차원 레이저스캐닝을 통해 대피라미드를 연구하고 가상 복제본을 재현앴었는데요. 이 연구에 의하면 대피라미드 이전에 이집트인들은 이음새를 정말 단단하게 만들 만큼 정확하게 돌을 자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돌들이 날씨계절에 따라 문제를 일으킵니다. 습기가 돌들 구조물 사이에 들어가게되고, 날씨가 충분히 추워지면 물이 얼고 굳어지고 팽창하여 이 이음새들을 밀어낸거죠. 조인트가 열리고 닫히는 주기가 반복될수록 건물을 무너뜨리게 되는데 재미있는건 현대에도 그러한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집트인들은 그것을 깨닫고 난 후 그들의 건물사이에 물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단단한 이음을 만들 수 있다면 건물이 스스로 파괴되지 않고 오래 지속될 것이라는 것을 알아냈고 그것을 대 피라미드에서 적용한것입니다.결국 그들은 화강암과 같은 돌을 사용했습니다(너무 단단해서 스펀지처럼 팽창축소를 하지 않는 재료)그 결과 물이 침투하지 않았고 이 피라미드가 지금까지 무너지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것이죠. 현재도 바람에 의한 풍화만 보일뿐 무너지지 않고 있습니다.우리가 눈여겨 볼것은 이 이집트 사람들이 매우 똑똑하고 지속적으로 상황을 공부하고 개선했다는 사실이지요.
미술
2023년 3월 28일 작성 됨
Q.
봄을 알리는 매화, 원산지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매화는 매실나무의 꽃이 매화이지요. 매화의 원산지는 우리나라는 아니고 중국으로 알고있습니다. 타이완을 포함해서 중국 동남부 지대가 원산지고 그 역사도 3천년정도 된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매화의 유래를 살펴보면 삼국사기에 언급되있는 문헌에서 엿볼수 있는데요. 삼국사기 고구려 24년에 실린 글로, 8월에 매화꽃이 피었다'라는 기록과 함께 삼국유사에도 매화나무에 꽃을 피웠다는 구절이 있는것으로 보아 삼국시대 때부터 우리나라에도 길러진것으로 알수있지요. 우리나라는 대략 1500년쯤 전부터 들어온것으로 유추할수 있겠네요.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