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과거에는 얼음을 어떻게 구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옛날에 유명한 석빙고가 존재하지요! 석빙고는 내부는 열전도율이 높은 화강암. 외부는 열전도율이 거의 없는 흙 석회가루등으로 기붕을 덮어 천연냉장고나 다를바 없었땁니다.실제로 한여름에도 얼음이 녹지 않았다고 해요! 게다가 출입구에는 더운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이용하여 입구에 높은 벽을 이용해 더운공기가 위로 가서 내부로는 못들어오게 하는등 기체의 성질까지 이용하는 아주 과학적인 냉장고가 존재해서 가능했다니 조상님들의 지혜가 대단하셨네요 ^^
철학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똑똑할수록 행복하지 않다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좋은 질문인것 같아요. 저 역시 얼마전에 생각하고 고민에 빠졌던 질문이기도 하답니다. 아마 잘 산다는것에는 심리적인것과 물질적인것이 함께하고 있지만 행복하다는것은 온전히 심리적인것에 달려있기 때문이 아닐까요?예를들어서 제가 키우는 강아지를 보면서 항상 생각하는 것인데요. 저희 강아지는 주인이 없으면 나가지도 못하고.. 밥도 못먹고 아파도 병원조차 갈수없음에도 불구하고 제가 밥주고 놀아주고 산책해주는것만으로 너무너무 행복해보이더라구요. 실제로 행복해하구요. 그런데 강아지들중에서도 매우 똑똑하다고 알려져잇는 보더콜리같은 강아지들은 그저 밥주고 가끔 산책만 가는것으로는 너무 만족을 못해서 집안을 이리저리 물어뜯고 사고치는 강아지가 되곤 하잖아요?그때 훈련사가 말하지요. 강아지도 지능이 높은 개들은 단순한것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의 똑똑한 뇌에 따라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고 넘쳐나는 에너지를 풀게해주는 주인을 존경하고 좋아하지 그렇지 못한 주인은 무시한다고 하더라구요.우리네 사람의 삶 역시 돌아본다면 우리 어린시절이나 부모님때 가난하고 폰도 없고 티비도 없어 세상돌아가는걸 거의 모르던 단순한 시절.. 부모님께서 용돈5백원 주시면 그걸로 오락실을 갈지.. 사탕을 사먹을지 저금을 했다가 좋아하는 것을 살지 하루종일 고민하는걸로 행복해하던 기억이 있잖아요. 반면 요즘같으면 부모님께서 용돈을 줬다고 해서 그날 하루가 행복해지지 않죠. 세상엔 더 많은 돈을 받는사람이 있고 화려하게 지내는 친구가 있고 주변에 공유되고 잘살기위핸 높은 기준과 조건들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고 또 그걸 누리고 사는 사람들도 넘쳐나지요. 그러다보니 많은것을 알고 똑똑하다고 해서 행복한건 아닌게 되는거 같은 결과가 나오는게 아닐까요?스스로 생각해보면서 나만의 행복기준을 찾아야하는 시대인것 같습니다 ^^
역사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기사에서 코호트 연구라는 것을 보았는데 어떤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코호트 연구. 코호트란 말은 코로나당시 코로나 발병했을때 그 공간에 있던 사람들을 한꺼번에 격리하면서 코호트격리라고 불렸던 것이 생각나네요. 이걸로 알수있듯이 코호트는 연구의 대상이나 증상 현상을 담고있는 인구의 집단이라고 할수있어요. 쉽게 말해서 코호트 연구란 아무증상없는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특정 질병?인자에 노출돼었을때 질병이 발생되는가?발생되지 않는가를 시간 경과에 따라 추척관찰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주로 질병에 가장 잘 쓰이지만 농촌 도시 기반을 대상으로 하기도 한답니다.이 연구사례를 하고 있는곳이 우리나라 대표적으로 질병관리 본부인데요. 사례로는 노인 천식 코호트가 있습니다.
음악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사물놀이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사물놀이가 들어만 봤을때는 한국 고유의 악기로 연주하는 놀이이고 그 역사가 오래됐을거 같습니다. 하지만 실제론 40년 밖에 안되었다니 정말 놀랍지요? 이 사물놀이는 원래 우리가 익히아는 농악에서 딴 풍물놀이에서 유래를 찾을수있어요~농업이 기본이던 옛날 마을의 농사나 큰일이 있을때 벌인 전통놀이인데요. 악기 춤 기교들을 부리면서 마을을 돌며 마을사람들과 즐겼던 문화입니다. 이런 풍물놀이가 김덕수 라는 명인께서 3명과 함께 4개의 악기 꽹과리.북.장구.징을 사용하여 공연을 한것이 시초가 되어 크게 흥했답니다^^
역사
2023년 3월 9일 작성 됨
Q.
마이클 센델 교수가 한 때 한국에서 화제였는데요 어떤 점으로 인해서 화제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마이클센델이 동아시아권에서 특히 유명했던것 같아요. 특히 말씀하신 책이 참 유명했지요 한국뿐 아니고 동아시아 각지에서 베스트셀러였습니다. 제 생각에 한국에서 유명해진 이유는 이 마이클센델이 말하고자 하는점이 한국에서 익숙한 유교라던지 공동체를 우선으로하는 정서가 많이 담겨져있기 때문인것 같아요. 책이 말하는 공동체주의가 실제 유교문화와 다르긴하지많요ㅎㅎ 그리고 학력신봉주의가 있는 한국에서 하버드대학 교수라는점도 책의 인기에 한몫 했을것입니다.게다가 마이클센델이 베스트셀러가 된 한국에 오기도 하고 미국에서 언급도 하다보니 한국에서 더 자주 언급되고 여러 한국 크고작은 화제거리에 담론으로 인용도 많이 되었습니다.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