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화재가 났을 경우 가장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화재발생 시 행동수칙을 질문하셨는데요발화초기 안전조치최초발견자가 다른사람에게 발생사실을 알려야합니다그리고 즉시 소화기/옥내소화전/ 모레 등 이용하여 소화작업에 임해야합니다.주의할 점은불끈다고 정신이팔려 연기에 질식 및 불길에 갖히는 경우가 없도록소화약제는 화염이나 연기에 방사하는게 아니라 화원(불의 근원)에 방사해야합니다.무엇보다 중요한것은 소방서 신고이며, 초기 소화 불가 판단시 바로 대피하면서 신고하고확산을 막기위해 문을 닫고 대피합니다화재신고초기소화가 불가하다 판단 시 즉시 소방서 신고합니다.당황해서 우왕좌왕하다 신고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침착함을 유지하며 신고를 잊지 말아야 하는데반드시 큰소리로 외치거나 비상벨을 눌러 화재사실을 알리고침착하게 화재발생 장소, 주요건축물 및 화재종류를 알려야 하며유사시 예상한 마음자세와 훈련이 필요합니다.피난유도 및 대피 요령피난유도건축물 자세히 모르는 경우 당화항수 있으므로 , 건축물에 익숙한 사람이 적절한 피난유도를 해야합니다.대피요령연소가스는 독성이 강한 가스가 많습니다. 짧은 시간에 건물 수직부분으로 연기가 올라가므로연기로 인한 피해가 가장 큽니다.닫힌 문을 열 때는 문손잡이를 만졉고 뜨거울때는 문을 열어서는 안됩니다.피난 시 열기나 연기 반대방향을 보고 비상구, 비상계단을 찾아 1층/옥상 중 가까운 쪽으 선택합니다.연기 통과시 수건 등 물에적셔 입/ 코를 막고 숨을 짧게 쉬며 낮은자세로 신속하게 대피합니다.고층건물 화재시 엘레베이터는 정전으로 갖힐 수 있으므로 절대 사용 금지 입니다.아랫층 대피 불가시 옥상을 대피하여 구조를 기다리고, 바람을 반드시 등지고 기다립니다.갇혔을 때 요령대피가 힘들 시, 무리하계 대피보다는 건물 내 안전조치 취한 후 갇힌 사실을 외부로 알립니다.연기가 새어오면 낮은자세로 엎드려 수건등으로 코/입 막고 짧게 호흡합니다.일단 고립되면 창문 등으로 물건을 던져 갇힌 사실을 알립니다.실내에 물이 있다면 타기쉬운 물건에 뿌려 확산을 막습니다.비상구 못찾을 시 문을다고 문틈을 최대한 막고 물을 뿌려 연기침입을 막습니다.아무리 위급상황 일지라도 반드시 구조된다는 신념을 가지고뛰어내리거나 불길이 있는데 문을 함부로 열어서는 안됩니다.이상 화재 시 행동수칙을 정리해 보았는데요.일단 화재 발생시 알리고신고하고최초 발화점을 소화 노력해 보고 안되면 바로 비상구를 찾아 1층과 옥상 중 가까운 곳으로 대피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잠수정은 어떻게 바다깊은곳까지 들어갈수 있는거죠?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잠수정은 부력의 원리를 이용합니다.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따르면물체가 유체에 잠길 때그 물체는 자신을 밀어낸 유체의 무게만큼의 힘을 상향방향으로 받게 되는데요잠수정이 이 원리를 이용해서 떠오르거나 가라앉을 수 있습니다.그 조절의 핵심이 블라스트 탱크라는 특수 구획입니다.이 탱크들은물은 채우거나 비우는 것으로잠수함의 무게와 부피를 조절합니다.즉,탱크에 물이 차면 잠수함 전체 밀도가 증가하여 가라앉고물을 배출하게되면 밀도가 감소하여 떠오르게 됩니다.잠수정 전무방에 위치하여물을 채우면 탱크 총중량 증가로 잠수함이 무거워지고배출하면 가벼워져 수면으로 부상하는 원리인데요이러한 작업은고압의 공기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공기 압축기를 통해 공기가 탱크로 주입되어 내부의 물을 밖으로 밀어냅니다.이 과정은 컴퓨터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매우 정밀한 제어 시스템을 통해 이뤄집니다.또한 잠수정은깊이와 방향을 조절하가 위해 수평/ 수직 방향 추진력을 조절 가능한 동력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이 시스템은 복잡한 유압 및 전기제어를 통해 작동하며잠수함이 다양한 해양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업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항공기 타이어는 얼마를 주기로 교체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항공기 타이어는 자동차 타이어 와는 교체 기준이 다릅니다.자동차는 운행거리와 생산 후 경과기간에 따라 결정되나항공기 타이어는착륙획수로 결정됩니다.대략적으로250 ~ 350 회 정도 착륙 수행 시 타이어 수명이 다한 것으로 1차적으로 판단합니다.대형 여객기 사용되는 타이어는1개만으로도 38톤 정도 하중을 버틸 수 있고대략 500회 정도 착륙 후다시 재생에 들어가서 약 7번의 재생과정을 거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냉수배관 보온에 관련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최근 냉수배관 보온을 보면 접착식 발포보온재를 사용하는 경향이기에따로 속비닐은 사용하지 않는 경향입니다.실제 국토부에서 고시한건축기계설비공사 표준시방서 에도 보면냉수배관의 보온재 시공 시외부공기로 부터 차단해주기 위해보온재의 외부쪽에 비닐 테이프를 감도록 되어있습니다.다만옛날 배관들 경우 배관 표면에 속비닐을 감고 외부를 보온재로 감싼경우가 대부분인데요옛날에는 글라스울로 덮고 폴리머 테이프로 감다보니보온재와 외부공기를 기밀성 있게 차단해 주는데 애로점이 있었던 관계로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줄이기위해속비닐을 감싸는 시공법이 많았습니다.이후로 아티론과 매직테이프로 마감을 하는 경우에도속비닐로 먼저하는 관행이 이어졌습니다만최근의 접착식 아티론보온재(검은색)으로 바뀐 후에는속비닐 시공은 하지 않는 경향입니다.다만 정말 꼼꼼하게 잘 하는 업체 경우는 아무 이상이 없으나날림공사 시 접착 보온이 모두 다 떨어져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기계공학에서 배우는 과목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 에서는기계에 사용되는 적합한 재료로 어떤것이 있는가에 대해 배우는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4대역학( 열역학, 유체역학, 재료역학, 동역학)에서 다루는 지식을 기본으로 합니다.기계공학 관련 커리큘럼은역사가 깊은 학문이기에어디를 가든 비슷한 커리큘럼으로 짜여져 있습니다.중고등 교육과정에서수학/ 미적분/ 확률 통계/ 물리학/ 기하학 등이 기본베이스로 잘 되어있다는 가정하에1학년일반물리, 일반화학, 미적분학, 통계학, 컴퓨터프로그래밍, 공업수학12학년열역학, 동역학, 고체역학, 유체역학, 선형대수, 공업수학2, 3, 기계설계3학년기계설계, 공정설계, 공학설계, 유체기계, 진동학, 기계공작, 계측시스템설계, 컴퓨터설계.4학년 시스템설계, 유체기계설계, 동력기계설계, 융합기계설계, 자동제어,탄성학 설계, 기계역학, 계측공학등을 배우게 됩니다.1,2 학년에서는 주로 전문적 설계를 위한 기초를 다지는 수준이고3학년 부터 본 전공수업으로 들어가서 4학년에서 완성되는 흐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2112122132142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