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기계 가공에 있어서 진동을 없애는 게 중요하다고 알고 있는데 어떤 것을 하면 진동을 줄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진동을 줄이기위한방진은방진스프링이나 방진패드를통한 방법을 사용하나정밀성을 요하는 가공에서의 진동저감은정말함을 요하는 만큼 필요에 따른 완벽하게 진동 저하를 위해서는능동형 방진가공 제어기술이 대안 기술입니다.대형 일체형 공작물 깊은 홀 내경 정밀 가공 시능동형 방진제어 통해 진동감쇄 및 표면 조도를 향상시키는기술에 대해 살펴본다면 기존 기술의 문제점 및 능동형 방진가공제어의 필요성이라면대형일체형 공작물 깊은 홀 가공 시 진동 및 표면조도 저하가 문제됨4D 이상 경우, 진동으로 표면조도 확보 어려워 부품을 모듈로 가공 후 용접하는 실정. 댐퍼, 제진기 같은 Passive방식이 주로 이용되나 7D 이상 홀에서는 불가능함최근, 대형 일체형 부품(항공기랜딩기어, 대형모터/디스플, 풍력설비 등) 가공의 필요성이 많아짐 에 따라 깊은 홀 가공의 필요성이 많아짐 특히, 보링 공정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공정이므로, 표면조도(보통 2um 이내)를 달성하기 위하여 깊은 홀 가공 시 진동 감쇠(감쇠비 30% 이상)가 필요한 대표 공정임여기서 능동형 방진가공 제어기술이 대안으로 사용되는 것이 추천됩니다.차별성 이라면발생진동 주파수의 Anti-Vibrating을 통한 Adaptive 능동감쇠에 따라 실시간으로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발생된 진동을 상쇄 저감(메인주파수 도출 및 가진주파수 위상변조 통한 소멸간섭)시킴으로써, 공작기계 가공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의 저감으로 공작기계의 수명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원가절감 효과가 더욱 뛰어남을 볼 수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기계공학에는 어떤 재료를 주로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이라하면4대역학을 주로 다루지만그 중에서도 재료분야에선 재료역학이 주를 이룹니다.재료 중 아무래도 금속을 주로 다루게 되는데요.금속재료의 종류를 나열한다면합금강탄소강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탄소강에 니켈, 크롬, 망간, 몰리브덴 등 특수원소를 첨가하여 용도에 맞는 성질을 가지도록 제작주철주형을 생산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는 금속탄소함유량이 높아 약 1150도에서 녹으므로 , 주물을 만들 때 사용가능비철철 이외의 금속동합금황동 : 구리 + 아연 : 구리에 아연을 더한 합금으로 황색을 띔청동 : 구리 + 주석 : 구리에 주석을 더한 합금으로 청색을 띔알루미늄철 구리와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경금속알루미늄 합금 : 알루미늄에 구리, 규소,아연 등으 첨가하여, 주조성,내식성, 내열성이 우수하므로자동차, 항공기, 건축자재 등에 사용됨실루민 : 알루미늄 합금으로 기계부품, 정밀 주물에 사용두랄루민 : 강력 구조재로 쓰임 정도로 간단히 나눠 볼 수 있겠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안전벨트는 언제 누가 고안한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안전밸트가 시작된 것은사실 자동차 이전에 전투기 조종사들을 위해서 였습니다.이는 1913년 조종사들의 허리를 묶는 형식의2점식 안전벨트가 시초인데요.비행기 좌석 또는 놀이기구에 있는 형태로그 당시에 전투기가 회전할 때조종사가 떨어지는 사고가 종종있었기에고정을 위한 안전벨트가 처음 만들어 집니다.이후 자동차에도 같은 형태 벨트가 사용되었으나비행기만큼 효과를 보지 못했고자동차의 특성 상 출발 때 관성에 의한 몸의 앞쏠림과 뒤로 밀림에서하체만 고정되고 상체를 고정시키지 못하는 2점식 벨트가머리 및 가슴의 부상을 막지 못했습니다.그로인해1959년 스웨덴 자동차회사 볼보 가 두개의 끈으로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고정시키는3점식 안전벨트를 개발하여1962년 7월 특허를 얻어냅니다.이 벨트가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자동차 안전벨트의 시초입니다.이후 특허권을 개방하여모든 자동차가 3점식 벨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Joint developing manufacturing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위탁생산을 위한계약 및 업무형태의 구분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우선 ODM (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이라는 방식을 보면생산자 개발 방식으로제조업체의 역량이 조금 더 강조되며제품은 주문자의 브랜드로 표시됩니다.제조업체는 제품의 생산과 더불어개발과 설계까지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위탁생산차이점이라면 자체개발 상품으로 로열티를 받을 수 있으나제품 문제발생 시 보상해야합니다.주문자 회사에서는 제품의 개발비용을유통 및 마케팅 비용으로 투자할 수 있따는 차이점이 있습니다.말씀하신JDM (Joint Developing Manufacturing) 은ODM 방식과 비슷하나주문자 회사의 역할이 조금 더 크게 작용하며제조업체와 합작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입니다.이 위탁생산의 차이점은꾸준하 거래처를 확보 가능하고회사입장에서 제품생산 관련 노하우를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드론 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자율 비행 드론GPS, 센서, AI를 활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경로따라 스스로 비행하는 드론스스로 장애물 회피가능ㄴ응용분야농업, 물류, 감시 및 보안AI와 머신러닝 접목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상황 인지를 가능하게함드론 비행 중 수집한 테이터 학습하여 비행경로 최적화 가능응용분야구조 및 재난 상황 피해지역 스캔후 구조활동물류/배송 최적경로 실시간 계산 배송 기수/ 오염수준 실시간 모니터링5G 드론의 연결성 강화초고속,초저지연,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응용분야교통/관제/환경 모니티링,안전감시등 스마트 시티 구축긴급상황에 의료장비/의약품 신속배송 가능실시간 경로수정/장애물 회피로 효율적 배송서비스제공소형화 및 경량화배터리 효율성 높아져 장시간비행 및 작은공간 운용 가능응용분야개인용 여행/ 스포츠/ 일상생활 등 다양항 상황 고화질 영상 촬영드론 레이싱 등 취미활동 사용교육용 활용으로 학생들이 쉽게 기능 익히기 가능하이브리드 드론전기와 내연기관 동시사용하여 비행시간 증대응용분야장거리 물류배송장시간 감시 및 조사농업 - 농지관리/모니터링 장시간 가능으로 효율적 농작물 관리가능등으로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
2262272282292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