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엘리베터 기계실에 에어컨을 서치이유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에어콘은 필요합니다.사실 하계의 폭염 발생 경우기계실 내 제어반 판넬 고장 / 잦은 멈춤 및 사고 위험 발생이 큰데요권상기 모터 과열로 인한 기계실 화재 / 안전 위험고온다습 환경으로 제어반 전기장치 누전/고장 , 로프 부식 등으로 인한엘리베이터 내구연한 감소교체주기 감소실질적 비용증가 가능성 높아지고사용불가 따른 주민 피해 도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단지 에어콘 뿐 아니라 제어판넬 들 자체에도 냉각팬이나 선풍기 필요하며제습기도 구비하시는 게 좋습니다.안되면 제어판넬 안에 물먹는 제습기라도 항상 교체해야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강제 대류에 의한 냉각 비율을 구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최대한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일단 철을 60도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계산식에서 제외하겠습니다.말씀하신건 두 조건의 냉각 속도라 하셨는데요.결론을 간단히 말씀드리면냉각속도라는 건 결국철 물질에서 뽑아내는 열량의 비율을 보면 됩니다.1번조건 0.2 m/s 30도 바람 2번조건 8 m/s 30도도 바람 으로 나눌 때뽑애내 지는 열량을 식으로 본다면열량 기본식q = Q v cp (T2 - T1 ) 으로 계산가능한데q는 온도차에 의해 냉각되는 열량 Q는 풍량 v는 공기 비체적 cp 정압비열 T2 : 냉각될 물체 온도, T1 : 냉각공기 온도라고 봤을 때 풍량 자체는 구할수 없으나 공기공급 토출구 면적이 동일하다는 조건이라면 Q = 토출구면적 * 토출 풍속 이므로비율 계산이기에 그냥 풍속을 넣고 계산해 봅니다.비열은 동일 하고 공기비체적 동일하고 공기공급 토출구 동일 하다는 가정이면풍량은 풍속에만 비례하므로그럼 결국 풍속만으로 계산하면각 조건이 뽑아내는 열량의 비율을 구할 수 있겠지요조건 1 냉각열량 : 풍속 x 토출구 면적 x 공기비체적 x 공기비열 x 온도차 -> 0.2 x (400 -30) = 74 kcal/h조건 2 : 풍속 x 토출구 면적 x 공기비체적 x 공기비열 x 온도차 -> 8 x (400 -30) = 2960 kcal/h조건 2 : 조건 1 = 2960 : 74 = 40 : 1결국 조건 2 일 때 40배 속도로 냉각이 되겠습니다다만 산술적인 부분이기에 딱 40배라곤 할 수 없겠고또한 시간이 얼마나 걸리냐에 대한 부분은 다른 계산 식이라 제외 하였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전기차 배터리에서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현재의 기술은리튬 이온 배터리 방식입니다.성능개선 위해니켈 중심 양극 활물질을 사용하여, 에너지 밀도를 30-50프로 향상시키고, 충전속도를 단축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방법고체전지 상용화 이전까지 지속적 개선통한 성능개선 추구리튬이온 액체전지 대비 더 강력한고체전지 상용화 기술이 있습니다.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지않아 발화 위험이 감소하고, 내부저항이 낮아 열발생이 적음액체전지 대비 에너지밀도 높은 고체전지 개발양산체계 구축과 생산비용 절감 통한 고체전지 상용화 단축전지화학 시스템 개선 방향이 있습니다리튬 이온 이상의 새로운 고성능 전극소재 전극 활물질을 개발하여 에너지밀도 높이고 충전속도를 단축하는 방향 개발안전성 높이고 전기전도도 향상시키는 새로운 첨단 전해질 개발전극 표면적을 늘리고 전극 내부 이온 이동경로를 최적화하는 전극구조 개선배터리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로 성능 / 수명 극대화하는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개선고체전지 상용화,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 전자화학 시스템 개선 등의기술혁신으로전기차 배터리의 에너지밀도, 충전속도, 안전성, 수명을 크게 향상시키고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기술개발이 가열차게 진행중입니다.또한 이런 기술 발전에 더불어폐배터리 재활용/ 무선충전기술/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연계 기술 등다양한 기술들이 발전한다면전기차는더욱 친환경 적이고도 안전한 미래 이동 수단이 되겠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키보드 소음나는 것과 무소음 키보드의 차이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저희가 쓰는탁탁탁 소리나는 키보드는 기계식 키보드인데요.무소음 키보드는 여러가지 동작원리가 있으나가장 일반적인것은각 키의 소리를 억제하는 방식입니다.억제기술을 나열해 본다면저소음 스위치 사용무소음키입력 장치 사용으로 작동시 소리 저감하도록 설계된제품 사용소음 흡수 재질 사용일반키보드는 일반적 플라스틱 재질로 소음발생이 쉬우나소음흡수 재질을 키 하단에 부착하여, 키누를 시 발생충격을 완화키 이동거리 저감일반키보드는 키 누를 시 이동거리 유격이 크르로 소리발생하는데무소음은 키 스위치를 조정하여 작동 시 필요한 최소이동만으로 입력 인식하도록 설계소음억제 프로그램 사용소음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해당 소리를 최대한 억제하는 소프트웨어를 쓰는데키 발생 시 발생소리의 주파수와 진폭을 분석하여 이를 필터링 하는 기능 수행이러한 방식들이 병합되어 사용되어무소음 키보드가 소음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에어컨을 통해서 나오는 따뜻한 바람과 시원한 바람의 합은?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시는 요지는실내에서 시원한 바람이 나오는 만큼의 열이실외기에서 뜨거운 바람이 나오는 만큼의 열과 같은 양이 아니냐? 라는 말로 해석하는게 맞을 듯 합니다.말씀하시는 온도를열량이라고 이해하고 설명드리겠습니다. ( 온도의 합이 0이 되는게 아니고, 열량의 합이 0이된다고 하는게 적절하겠습니다. 왜냐하면 공기가 가지는 열량 = 공기흐름양 x 공기온도차 라고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겠습니다 실제 열량 구하는 계산식은 Q = mCp (t- t`) 라는 방식으로 계산되는데 쉽게 '공기가 가지는 열량 = 공기흐름양 x 공기온도차' 라고 풀어서 적었습니다 )에어콘의 원리를 간단하게 풀면실내에 있는 열을 열을 이동하는 유체를 이용해서실외로 뽑아내서 버리는 장치가 에어콘 입니다.그럼 실내기에서 일단 바람을 빨아들여서그걸 냉각핀을 통해 지나면서 열을 냉각핀으로 뺏기고(냉각핀 내에 냉매가 열을 얻고)그럼으로서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불어주는 것이며뺏아온 열을 냉매배관 내의 냉매가 열을 머금은 상태로실외기 의 배관으로 가서실외기 팬을 돌려서 배관 내 냉매의 열을 식혀주는 것이지요.실내기 - 실외기 를 왔다갔다 계속해서 싸이클이 돌아가는 방식입니다.전문적으로 풀어서 설명드리자면실내기( 증발 코일) 에서 코일에서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면내부 냉매가 증발하면서 저온 저압의 증기가 되고그것을 실외기로 이송하여압축기에서 압축을 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로 만듭니다왜냐하면 한번 증발된 증기를 다시 상온에서 재이용 하려면상온보다 더 높은 온도로 만들어야 공기로 냉각이 되기에 그렇구요그렇게 만들어진 고온고압 냉매 증기를 실외기 냉각핀을 통해서 흐름과 동시에 실외기 팬이 돌면서 공기로 냉각시킵니다.그럼 거기서 고온고압의 증기가 증발잠열을 빼앗기면서응축되고고온고압의 냉매 액체가 됩니다.이것은 다시 실내기에서 증발하려면 압력도 낮아야하고 열을 받아들이려면 온도도 낮아야하는데이것을 실내기 핀으로 들어가기 전팽창밸브를 지나게 됩니다.그러면거기서 단열 팽창 과정을 거치면서저온 저압의 냉매 액체가 되지요. (단열팽창 과정이므로 실제 냉매가 가지는 열량은 동일합니다)그 저온저압의 냉매액을 실내기 증발코일로 흐르게 하면거기서 다시실내공기를 흡입하면서코일에서 저온저압의 냉매액이 증발잠열을 얻으면서(= 실내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을 하게되어저온 저압의 냉매 증기가 되고이게 실외기 압축기로 가서같은 싸이클의 반복을 시행합니다.이 과정에서실내기에서 증발잠열을 통해서 뽑아낸 열량이실외기 냉각코일에서 실외기 휀을 통해서 냉각시켜주는 열량과 같다고 보면 되는 것입니다.만약 실외기 휀이 좋지 못하거나 압추기 상태가 안좋거나 해서실내에서 뽑아낸 열을 실외기 에서 잘 버리지 못한다면실내 뽑은 열 = 실외기 버리는 열 이 안되겠지요?그럼 어떻게 되나요제대로 못버리니 계속 반복되어 실내는 더워지는 결과를 초래하겠습니다.어설픈 설명이 도움이 되길 빕니다.제 전공 쪽이라 아는 만큼 쉽게 설명드려봅니다.
2312322332342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