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기계공학 범위는 어마하게 넓은데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4대 역학으로 통칭되는 고전역학은 기본적으로 어느 기계공학과 이든 필수로 이수하여야 합니다.그래야만 기계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4대 역학이라면 역학(정/동역학), 열역학, 고체역학, 유체역학 이 있으며그 외의 선택 과목이라 할 지라도해야만 전공과목 이수가 편해지는 부분들수학 - 미적분, 통계, 공업수학물리학 화학프로그래밍 등을 들어야 하며3, 4학년 부터는 심화과정에 들어가기에기계공학 실험, 기계시스템 설계 등으로 필수로 들어가게 됩니다.필수는 다 동일하겠으나심화과정으로 들어가는 부분은그 대학의 기계공학과 주력 방향에 따라 다르고그에 따른 교수진 연구분야에 따라 특정과목이 열리거나 , 과목이 생기거나 하는 부분이 있기에각 대학 기계공학과 특성을 아시고 지원하셔야 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3D프린터로 음식을 만들수 있다고 들은거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음식을 3D 프린팅 한다는 것은 저도 아직은 가능한가? 싶은 의문을 가지게 합니다.최근의 시리즈 드라마 물에서는배양육 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나온 드라마도 있었는데요거기서도 출력은 결국 3D프린팅으로 하던데그부분도 결국은 가능할런지도 모르겠습니다음식을 3D프린팅으로 만드는 부분은사실 우주라는 제한적 공간에서 더 필요할 수 있는 부분이기에NASA에서 가장 필요로 한 부분 이었습니다. 우주선 내부는 제한적 공간과 더불어 요리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기에 더욱 그러한데요.나사는 한 기업에 우주인이 사용가능한 3D푸드프린터 개발을 요청했는데우주의 조건상 15년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장거리 우주여행용 음식을 위하여모두 가루형태의 재료로 만들고있습니다식재료의 수분을 모두빼고 가루로만들면 상온에서 30년까지도 보존이 가능합니다.2012년에 푸드프린터로 초콜릿을 입힌 쿠키 제작에 성공했습니다.실질적인 과정을 본다면피자를 예를 들어볼 때뜨겁게 달군 쟁반위에 도우를 인쇄그럼 인쇄와 동시에 도우가 조리됨그 위에 가루형태 저장 토마토소스를 물과 기름을 섞으면서 인쇄마지막으로 단백질층을 쌓아 토핑 완성.각 각 요리에 따른 조리 메카니즘이 더 개발되어더욱 많은 요리가 가능하지 않나 싶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앞으로 드론도 AI가 운전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질문자 분께서 말씀하시는 드론은시중에 나와있는 4개이상의 블레이드가 달린 형태의 드론을 말씀하시는 듯 한데요.시중에 있는 드론에는 아직 AI가 장착되지는 않은 것으로 압니다만드론이 그런 블레이드 방식외에 무인비행기 형태의 드론도 있는 것은 아시겠습니다만민간에서 말고군용에서는 이미 드론에 AI가 장착된 모델이 운용중입니다.기존에는 군용에서도 비행기 형태의 드론만 운용되었으나이제는 민간에서도 사용하는 블레이드 형식의 드론이 운용되며목적에 따라 정찰, 자폭, 폭격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데실제 전장에서 최초로 AI 만으로 운용된 드론은현재도 진행중인러 - 우크라이나 전에서 운용된 드론입니다.일반 드론들은 사람이 개입하는 AR 방식의 드론이 대다수이기에적을 찾는 데 있어 인력 한계가 드러나결국 AI로 적을 찾아 파괴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일반 드론들의 러시아군 장갑차 포격 파괴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자장갑차 등에 드론의 제어신호를 방해하는 Jamming 장비를 장착하게 되었고장갑차 뿐 아니라재밍 장비를 부착한 전투지원 로봇까지 러시아에서 투입하자그 전투지원 로봇을 찾아 파괴하는 임무에결국 AI 드론이 참전하였고, 파괴임무에 성공하였습니다.AI로 동작하기에 통신방해를 하든 말든 AI가 임무를 수행할 수 있기에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3D프린터로 어떤것까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3D 프린팅 기술은 입력된 3D도면에 따라재료를 분사 적층해서 입체 출력물을 만들어 내는 기술입니다.건설분야의 3D 프린팅을 질문하셨는데요.건설에서 각각의 파트 소요자재를 프린팅 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 하겠습니다만건물 전체를 3D 프린팅 하는 기술도 이미 있습니다.재료는분말을 원료로하거나녹였다가 굳힐 수 있도록 고안된 플라스틱 수지, 콘크리트, 금속, 모래 등을 원료로 쓰는 등그 방식들은 아주 다양합니다. 대표적 기술로 광격화 적층방식, 폴리젯 방식, 레이져 소결방식,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등이 있습니다.건설분야에서 응용되는 방식으로는콘크리트, 시멘트, 석고 등 의 재료를 활용해 , 건설업에서 사용하는데요.3차원 설계도를 기반으로 원재료를 층층이 쌓아올리는 대형 3D프린터를 활용, 골조와 벽체를 뽑아냅니다.바닥 기초작업 제외한 대부분 공정을 자동화 가능하여, 시간, 비용, 재료, 노동력 절감이 가능합니다.미국에는 이미 2021년 마이티빌딩이라는 스타트업이 특수소재를 활용하여 약 6미터 높이의 프린터가 초당 120mm속도로 벽과 바닥을 만들고필요한 부분에 자외선을 비추면 바로 굳는 방식을 사용하여 약 32제곱미터의 주택을 24시간만에 완성할수 있다 했습니다.건물을 짓기위해서는 그만큼 대형 프린터가 필요하겠으나실질적인 건축시간, 노동력 , 비용 등을 감안한다면 3D 프린팅을 통한 건설이 더 경제적일 수 있겠습니다.참고로 NASA 에서는달에서 건축물을 짓는 방식도 3D 프린팅으로 구상하고있으며이미 미국연구팀에서 달의 흙과 거의 비슷한 물질로 여러형태를 만드는 실험까지 마친 상태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용접관련 업무도 기계공학의 안에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의 분야는 엄청 넓은데요.그 중에 기계 제작 분야로 볼 때조선공학, 항공우주분야, 건설기계분야, 일반기계 분야 에 있어서용접이 없이는 불가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용접은 기계공학, 화학,금속공학,재료공학 등을 두루 섭렵해야더욱 완벽한 용접이 가능하며또한자격증 내에서도건설기계, 자동차정비, 기계설계, 정밀측정 항공, 가스, 소방 등에서용접이 빠지는 곳이 없습니다.용접이 기계공학 안에 들어간다기 보다는기계공학을 위해서는 용접도 필수다 라고 말씀드릴 수 있으며서로가 필수적이고도 뗄 수 없는 관계라 말씀 드리겠습니다.
2662672682692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