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사람을 태울수있는 드론이 있나요??
얼마 전 한 중국의 드론업체가 중동지역에서 사상 최초로 드론택시(UAM) 시험비행을 완료했다고 합니다. UAV가 아닌 UAM 입니다. UAV와 UAM은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것입니다. 이쯤 되면 우리는 도심 항공용어인 UAV, UAM, AAM, RAM, IAM, AAV, eCTOL, eSTOL, eVTOL, 버티포트 등에 대한 용어 정도는 대충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UAM(Urban Air Mobility)은 도심항공교통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한 형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드론을 포함한 항공이동수단을 의미합니다. 즉 ‘U’는 무인(Unmanned)이 아닌 사람이 타고 ‘도심(Urban)’속을 날아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뜻합니다. 말하자면 도심에서만 운행되는 하늘을 나는 드론택시입니다. 따라서 수직 이착륙을 위한 공간인 버티포트(Verti-port), 이동수단간의 자율통신, 자율운항을 위한 자율관제시스템(SCADA)을 도시교통체계에 맞춰 구축하는 모든 것을 합친 의미입니다.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도심항공기의 대표주자는 UAM이었습니다. 도심의 교통체증 속에서 훌쩍 날아올라 갈 수 있으면 하는 상상을 안해본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만큼 UAM의 필요성은 높습니다. 그러나 UAM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도 전에 개념이 확장되기 시작했슴다. 도심 운항을 넘어 지역과 지역을 오가며 사람과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RAM(Regional Air Mobility)이 생겨났고, UAM과 RAM을 합쳐서 AAM(advanced Air Mobility)이 나왔다. AAM은 좀더 진보된 미래항공운송의 뜻으로 UAM과 RAM이 합쳐져서 자연스럽게 모든 항공 모빌리티를 대변하는 개념으로 자리잡았습니다.그것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운항범위입니다. UAM이 도심이 주목적이라면 AAM은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넓은 범위를 포함하기 때문에 기술적 차이도 존재합니다. 바로 동력원인데 UAM, RAM, AAM 모두 전기 추진기반이기 때문에 배터리를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20~30분 동안 30~40km 정도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 UAM의 본격 상용화를 위해서는 100km 이상 운항이 필요하고 RAM, AAM은 200-400km 운항거리가 요구되므로 수소연료전지 복합형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우리 정부도 2025년 여의도에서 인천공항까지 20분 안에 갈 수 있는 UAM을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반대로 현행법은 이를 철저히 가로막고 있다고 하네요???UAM의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운영에 따른 인프라 구축과 항공안전 대책에 대한 법제도 개선, 그리고 기득권이 문제입니다....전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우버’를 우리나라에서만 못보는 상황이 드론택시인 UAM에서도 재현되지 않을까..하는생각이 듭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비행기에서 엔진이 멈추면 어떻게 되나요
일단 엔진이 멈추면 추락을 생각하게 됩니다만비행기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다릅니다일반 소형 프로펠라 비행기 경우는가볍고 전체 구성이 비행기의 활강능력에도 많이 의존하는 설계이기에바로 추락하진 않고 어느정도 활강 가능합니다대형 여객기 경우엔진이 최소 2개이므로 1개라도 살아있으면비행이 가능합니다먼밸런스 문제로 인해 가까운 공항에 비상착륙 을 시도하겠고모두 고장이면 관성에 의한 속도로양력이 유지되는 동안은 활강이 가능하지만무게가 너무 무거운 관계로 시간이 촉박하기에비상착륙을 시도합니다.전투기의 경우이건 활강이 목적이 아니라 속도가 목적으로 설계된지라엔진이 멈추면 바로 추락모드이기에우리나라 조종사는 최대한 관성운전 모드에서인명피해줄이기위해 조종간 잡다가비상탈출 합니다규정은 고장시 바로 탈출이지만요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미래에 개발가능한 로봇의 모습에 대해서
프로그램에 따른 로봇들은기존 생산라인의 로봇들 입니다물론 그 로봇들도 정해진대로의 임무를반복적 으로 수행하고 있지요하지만 지금 나오고있는 협동로봇들 개념은 다릅니다수많은 모터와 감속기의 제어로아주 정밀한 작업을 수행가능할 뿐 아니라 그 정밀로봇에 인공지능이 탑재되면서혁신적인 발전을 이뤄 이젠 사람의 수준을 넘어섰습니다.기대할 수 있는 로봇을 생각한다기 보다사람처럼 행동하고 판단하는 로봇이 나오고있다는 점에서로봇에게 무엇을 시킬것인가를생각해야할 단계 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은하철도 999처럼 하늘을 나는 열차가 가능한 걸까요?
기차모양으로 날려면 사실 불가능허겠지요지금기술로는...다만 아직 전혀 구동방식을 모르는반중력 구동장치가 실현된다면어떤 모양이든 하늘은 날 수 있을겁니다.물론 공기가ㅜ있는 구역에서는유선형이 더 유리하겠지만요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로봇 공학이 현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로봇이 생산성 과 효율성을 올리는 이유는간단히 말씀드리면인간이 필요로 하는 휴식시간 을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생산라인에서는 전통적으로 로봇들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나단순 행위 반복 정도였으나최근의 생산부분 협동로봇들 경우는 인공지능 적용에 따라인간이 하는 작업의 대부분을 모방하여 작업이 가능하기에예전보다 더 정밀하고 빠르고 무엇보다 인간보다 오래동안 작업이 가능합니다.효율성 측면에서도 번개같은 판단력으로물류센타에서 물류분류 이동에서도보여주는 속도및 비정체이동을 보시면 얼마나 인간보다 빠르고 정확한 지알 수 있습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