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투기에는 부품이 모두 몇개나 들어갈까요?
안녕하세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전투기에는 거의 수천개 부품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자동차의 부품에도 주요 전장품을 제외하고 약 1천개 이상의 부품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전투기의 부품 예시로는 추진력을 확보하기 위한 애프터버너나 연료 분사 시스템, GPS와 레이더 등등 항법 관련 통신 시스템, 여러가지 센서와 디스플레이/컴퓨터 등 비행기의 제동 자동화와 정밀 제어등을 도와주는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시스템에서 각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전투기를 작동하게 하며, 그 부품의 개수는 약 수천개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항공기 엔진에서 '애프터버너'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애프터버너(Afterburner)는 항공기 엔진 배출구 뒤에 설치되어 있는 추가 연소 장치입니다. 항공기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애프터버너를 통해 추가적인 연료가 분사가 되면서 재연소가 되게 되는데요. 이 때 엔진 배출구를 통해 나오는 배기가스의 온도나 속도가 상당히 증가하게 됩니다. 이렇게 얻어진 추진력으로 전투기의 추력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는 원리입니다. 사용하게 될 상황은 대부분 이륙이나, 급상승, 고속 비행 등에 사용하며, 가속력과 최대 속도를 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초전도체가 실제로 나오게 된다면 어떤 혁신이 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초전도체는 엄청난 저온에서도 전기 저항의 값이 0으로 수렴되는 특별한 물질이라고 개념이 정의되어 있는데요. 저항 값이 0이라는 것은 실제로 정말 대단한 것입니다. 저항값이 0이 수렴되면 모든 전력의 전송 효율이 크게 향상되기 마련이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에너지 손실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데요. 자기장 또한 완벽히 차단이 가능한 물질이기 때문에, 우리가 종합병원에서 보는 MRI에 활용한다면 의료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최근같은 이슈가 발생한 경우는 이러한 초전도체가 극저온 상태가 아니어도 초전도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을 우리나라에서 개발이 될 것 같다는 소식으로 붐이 일었고, 그에 따른 관련 주식이 폭등하기도 했죠. 실제로 나오게 된다면, 에너지 효율이나 의료,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엄청난 혁신을 일으킬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