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계공학에 대해 취직할려면 공대를 나와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본인이 기계공학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전기공학과 등 기계분야와 관련된 공대의 학과에 속하신다면 충분히 기계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전기공학과 학생도 일반기계기사 자격증을 응시할 수 있거든요. 하지만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고도, 기계공학 관련 직무에 취업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본인의 대외활동이나, 기계 관련 경력 등 질문자님의 추가적인 경쟁력을 확보해야만 기계공학과 전공 학생들에 비해 매력적인 지원자로 채택 될 수 있음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기계공학 관련 자격증을 따면 개인사업으로 무엇을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시게 된다고 해서 개인 사업을 바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요. 대부분 기업체에서 근무를 하시다가 기계 설비 장비나 부품 관련 배경지식을 쌓고 실무 경험을 쌓은 후 사업을 차리시곤 합니다. 예를 들면 기계 부품 가공에 대한 장비가 정말 여러가지인데, 그 중에서도 가공이 어렵거나, 불합리한 제품들을 경험할 수 있는데, 그것을 개선한 장비를 개발하여 기업체에 공급 계약을 맺는 등의 사업을 진행하는 편입니다.감사합니다.
Q. 우리가 사용하는 주변에 크고작은 기계들의
안녕하세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기계장비를 오래동안 사용하시기 위해서 가장 기본은 청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청소라는게 그저 먼지를 털고 하는 것만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며, 장비가 손상된 곳은 없는지, 마모가 된 부품이 있다면 주기적으로 교환을 해주는 등의 행위가 뒷받침되어야 하는데요. 특히 기계장비는 사용하면 사용할 수록 축 샤프트나, 체인 등등 시끄러운 쇳소리나 이음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기계가 아프기 직전이라는 일종의 신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것을 통해 엔지니어들이 주기적으로 윤활처리를 하거나, 구리스를 도포하여 기계 장비의 마모량을 줄이게 되는게 한 예시가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크기가 큰 기계 장치를 다룰 때 추락의 위험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크기가 큰 장비를 이동시킬 때 추락인지, 타워 크레인과 같은 장비 활용 시 추락 위험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둘 다 답변을 드리자면, 큰 장비를 이동시킬 때 반드시 무게에 맞는 지게차나 장비를 활용하여 이동시켜야 합니다. 무게에 맞지 않는 장비를 활용하여 이동시킨다면 장비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타워 크레인과 같은 고소에서 작업할 때 추락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신다면, 반드시 안전 고리를 주변 고정물에 고정 하신 후 작업을 진행하셔야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향후 자율주행 자동차가 기존 컴퓨터나 스마트폰처럼 갑자기 구동이 안되는 이런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어떤 칩으로 들어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생산설비도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설비가 고장이 나면 라인이 중단되고 그에 따른 손실금액이 상당하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비를 이중화하곤 합니다. 반도체 칩도 마찬가지로,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백업용 칩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이중화 모듈 칩셋이 작동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율주행의 메커니즘이 꼬이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안전 모드 인터록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끄거나, 중립상태로 두어 주행자가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도 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안전장치와 이중화 반도체 칩셋으로 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