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금니 임플란트 꼭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아가 이미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는 치주염이 심한 경우로 보입니다.잇몸염증이 반복적으로 일어남에도 특별한 치료없이 방치되는 경우에는 점차 치아 주변의 뼈(치조골)의 흡수까지 일어나는 치주염으로 진행되게 되며, 치주염이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되게 되면 치아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어느 정도의 치주염까지는 잇몸치료, 잇몸수술을 통해 현 상태를 유지하여 치아를 좀 더 오래 쓰는 것이 가능하지만, 임계치를 넘어간 치주염인 경우에는 발치 외에는 치료법이 없습니다.이런 경우의 치주염은 대개 만성이기 때문에 특별한 통증이나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발치에 의구심을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내부에서는 치주염이 계속하여 진행중이며, 이를 발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의 잇몸뼈가 계속 손상되어 나중에 임플란트 수술을 위해 더 많은 뼈를 이식해야 하거나 임플란트 수술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으며, 해당 치아 뿐만 아니라 주변 치아의 뼈까지 손상시킴으로써 주변치아까지 발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염증이 근막간극 등의 다른 부위로 넘어가게 되면 얼굴이나 눈이 심하게 부을 수 있고 극단적으로는 수술적 방법으로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때문에 안타깝더라도 이미 가망이 없는 치아는 하루 빨리 발치를 하는 것이 추가적인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길입니다.
Q. 저는 유치일 때부터 누런 황금색 치아를 가지고 있었구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아가 누렇게 되는 것은 음식 섭취, 흡연 등을 통해 변색을 유발하는 물질이 치아 내부로 스며들며 발생합니다.상아세관으로 착색성 물질이 스며들게 되어 관을 막으면서 치아 색이 변색되는 것으로, 미백치료는 간단히 표현하면 이렇게 상아세관을 막고 있는 물질들을 표백작용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치아 본연의 색을 띄게 하는 것입니다.미백치료를 한다고 하여 치아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나, 막혀있던 상아세관이 열리면서 일시적으로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다만, 선천적으로 법랑질형성부전 등을 원인으로 치아 색이 변한 경우에는 미백치료를 통해 해결되지 않으며 보철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우선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Q. 턱을 벌릴 때 통증이 있는데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턱을 벌릴 때 통증과 함께 잘 벌어지지 않고 벌어지며 소리가 나는 경우에는 턱관절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며, 해당 증상은 턱관절 내의 디스크의 상대위치가 변해서 나타나는 증상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입을 벌리면서 디스크가 제위치에 있지 않다가 제위치로 들어갈 때 딱딱 소리가 나는 것으로, 대게 부정교합이나 턱을 괴는 등의 생활습관 등에서 야기될 수 있습니다.치료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가 동반되며 심한 경우 장치치료 및 수술적으로 해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턱관절의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가지로, 어느 특정한 원인 한가지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 중 부정교합이나 교합에서의 간섭, 또는 씹는 근육의 과도한 작용 등도 턱관절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일단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질환이 더욱 진행되는 경우에는 디스크의 영구적인 변위로 인해 입이 크게 벌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치과에서 턱관절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과는 '구강내과' 입니다. 구강내과 전문의가 있고 물리치료시설이 구비되어 있는 치과나 구강내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치과병원이나 상급병원으로 내원하시면 됩니다.어느정도 예방 및 증상 완화를 위해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들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1. 턱을 괴거나 이를 악물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하품시에도 턱이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손으로 받쳐주는 등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관절과 근육이 쉬도록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2. 발음 운동은 N이나 M 발음을 하여 윗니와 아랫니 사이가 2~3mm 정도 떨어지도록 운동합니다.3. 하루 2~3회씩 회당 10분가량 턱관절 부위를 온찜질을 해줍니다. 하지만 찜질 후 붓거나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즉시 멈추고 병원에 내원하셔야 합니다4. 음식은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섭취하며 땅콩, 아몬드, 오징어 등 딱딱하고 질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치아보철물 중 PFM크라운 교체시기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금니 및 PFM을 비롯하여 보철치료의 수명이 언제까지라고 정해진 바는 없습니다. 금니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연구에 따라 보철의 평균적인 수명이 10년 정도로 보고된 것도 있기는 하지만, 개인의 식습관, 구강위생 관리 능력 등에 따라 수명이 짧아질 수도 있고, 10년 이상이 지나도 문제 없이 오래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때문에 양치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면 충분히 오랜 기간 잘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몇 년 주기로 바꿔줘야 한다고 정해진 것은 아니며, 특별히 증상이 없고 검사 결과에서도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기존의 보철을 계속 사용해도 되나, 주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해당 치아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검사를 체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잇몸과 모철 사이에 검은색이 보이는 것은 대개 잇몸퇴축으로 인해 크라운과 치아의 경계면이 노출되어 PFM의 금속부분이 비춰보이면서 검은 선으로 보이는 경우, 신경치료 후 치아 자체가 검은 색으로 변색된 것이 보이는 경우 등의 원인이 있으나 이는 정상으로 판단하며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다만 PFM의 포세린 부위가 깨지거나 경계가 노출되어 검은선이 보이는 등을 원인으로 심미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Q. 입안이텁텁하며악취가나는것은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단순히 질문만으로는 해당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이 다양하여 원인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어렵습니다.입냄새는 대부분 구강 자체가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전신적인 문제가 결합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구강 자체의 원인은 구강 세균이 입 안에 있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체인 휘발성 황화합물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이는 누구나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구취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1. 입이 건조한 경우(구강건조증)2. 구강 위생이 좋지 못한 경우, 혀에 백태가 있는 경우3. 잇몸 염증이나 충치가 있는 경우4. 편도염이나 편도결석이 있는 경우흡연 또한 구취의 원인이 되므로 삼가시는 것이 좋습니다.구강 이외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1.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경우2. 역류성 식도염 등의 내장 질환이 있는 경우3. 기관지염, 폐렴, 신장염이 있는 경우4. 신장질환5. 암, 당뇨6. 간 질환입냄새와 함께 입이 텁텁한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구강적인 원인 외에 전신적인 원인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우선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