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교정 유지장치 기간이 정해져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교정치료가 끝난 후에도 치아는 원래 위치로 어느정도 되돌아 가려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재발할 수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해 유지장치를 해 주게 됩니다.유지장치는 가능한 오래 유지하는 것이 재발 예방에 도움이 되며, 최소한으로도 5~6년은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특히 교정치료 후 첫 1~2년은 재발하려는 경향이 가장 강할 때이므로, 이 시기에는 반드시 유지장치를 부착하셔야 합니다.최소로 5~6년을 말씀드렸지만, 재발 예방을 위해 가능한 오래 유지하는 것을 권장됩니다.유지장치를 끼지 않는다고 하여 교정치료 전까지 치아가 되돌아가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돌아가려는 성향이 있으며 흔히 치아 사이가 벌어지는 재발이 발생합니다.교정을 한다고 하여 뼈의 위치가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Q. 잇몸이 시려서 찬물을 못마시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질문내용으로 보아 치경부마모로 인한 치아민감증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치경부(치아의 잇몸과 닿는 부위)는 법랑질(치아의 가장 바깥층, 가장 단단한 조직)이 가장 얇은 부위입니다. 단순히 씹는 작용을 통해서도 해당 부위가 조금씩 깨져나갈 수 있습니다.이 때, 칫솔질을 좌우로 세게 하는 행동으로 해당 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을 즐겨 먹거나 씹는 힘이 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마모가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패인 정도가 아주 작은 경우에는 시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제를 도포하며, 그 이상으로 패인 경우에는 떼우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간혹 신경이 보일정도로 심하게 패인 경우에는 신경치료 및 크라운 치료를 하게 됩니다.아직 마모가 심하지 않은 경우라면 집에서 시린이 전용 치약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