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입냄새가 심한데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입냄새는 대부분 구강 자체가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전신적인 문제가 결합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우선 구강 자체의 원인은 구강 세균이 입 안에 있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체인 휘발성 황화합물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이는 누구나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구취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1. 입이 건조한 경우(구강건조증)2. 구강 위생이 좋지 못한 경우, 혀에 백태가 있는 경우3. 잇몸 염증이나 충치가 있는 경우4. 편도염이나 편도결석이 있는 경우검사를 통해 위의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철저한 구강위생 관리를 포함하여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흡연 또한 구취의 원인이 되므로 삼가시는 것이 좋습니다.구강 이외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1.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경우2. 역류성 식도염 등의 내장 질환이 있는 경우3. 기관지염, 폐렴, 신장염이 있는 경우4. 신장질환5. 암, 당뇨6. 간 질환이 중 전신질환의 경우에는 대부분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 특유의 구취가 나타나므로, 해당사항이 없다고 하면 대부분 1이나 2번에 해당됩니다.구취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올바른 방법으로 식사나 간식 후 칫솔질을 합니다.- 치실과 치간칫솔 등 구강 보조용품으로 꼼꼼히 관리합니다.- 혀 세정기를 이용하여 혀 뒤에서 앞으로 3~5회 쓸어내려 혀를 닦아 줍니다.- 치약으로 양치 후 10번 이상 충분히 헹궈줍니다. 치약이 남을 경우 입마름이나 구취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치과검진으로 구강상태를 점검하고 스케일링을 받습니다.-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과 야채를 섭취한다.-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이 포함된 음식(계란 등)의 섭취를 줄입니다.- 금연합니다.- 녹차, 우유, 산성식품의 섭취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비염, 축농증,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경우 해당 질병의 치료를 병행합니다.- 치과(예방치과)에 내원하여 직접적인 구취 측정과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잇몸퇴축 후 치경부마모증 어떤 치료법이 더 효율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우선 잇몸퇴축과 치경부마모는 서로 다른 증상입니다.1. 잇몸이 내려가는 퇴축을 개선하기 위해 잇몸이식 등의 치료들이 행해질 수 있으나 일시적으로 잇몸이 올라가고 오랜 기간 유지되지 못하고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한 치경부마모의 치료를 위해 잇몸이식을 하지는 않으며, 치경부마모는 잇몸이 아닌 치아가 마모된 것으로 마모된 정도가 크다면 레진 등으로 떼우는 치료가 필요하고 잇몸이식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두 치료는 비교대상이 아닙니다.2. 잇몸퇴축이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가지로, 잇몸이식을 한다고 하여도 단기간만 유지된다는 보고가 많습니다.3. 잇몸퇴축이 재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4. 잇몸퇴축 방지를 위한 칫솔의 선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식후마다 꼼꼼한 칫솔질습관, 올바른 칫솔질 방법, 치실 및 치간칫솔 등의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 정기적인 치과검진 및 스케일링 등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