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끔 어금니 통증이 있는데 괜찮을까요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직접 상태를 보고 검사하지 않아 정확한 판단은 어렵습니다.다만, 어금니가 흔들리면서 붕 뜬 느낌이 드는 경우는 이미 심한 치주염으로 인해 치아 주변의 잇몸뼈가 심하게 파괴되어 치아가 뼈와 인대가 아닌 염증조직으로 잡혀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치주염을 방치하는 경우에는 더욱 심한 치주염으로 진행되어 주변 치아까지 손상될 수 있습니다.약국에서 약을 먹는 것으로는 치료되지 않습니다.일시적으로 염증과 통증을 해소하는 것일 뿐,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며 점차 더욱 심한 잇몸뼈의 파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이미 심한 치주염인 경우에는 발치 외에는 치료방법이 없을 수 있습니다.치과가 무섭다는 등의 이유로, 약을 먹으니 잠시 증상이 호전된다는 이유로 치과에 내원하는 것이 늦어질수록, 살릴 수 있었던 치아도 손상되어 치료범위가 커지거나 발치해야 하는 치아의 갯수가 늘어나게 됩니다.한시라도 빨리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부러진이가 오래 방치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아가 부러진 위치나 부러진 정도 등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은 어렵습니다.치아의 부러진 정도가 치아와 치아 사이인 경우에는 인접한 치아가 해당 부위로 다소 쓰러지며 치열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고, 음식물이 많이 끼게 되어 치아 옆면의 충치나 잇몸질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부러진 치아는 충치나 신경괴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다만, 치아가 부러졌음에도 특별히 신경이 노출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기능을 하는 부위가 아닌 경우에는 특별히 문제가 없는 경우일 수도 있으나, 차후 추가적으로 치아가 더 부러질 가능성도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아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므로, 연 1회 스케일링을 받으러 치과에 내원시 해당 부분을 질문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Q. 보철물을 한지 20년이 넘었습니다. 새로 교체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크라운 및 브릿지를 비롯하여 보철치료의 수명이 언제까지라고 정해진 바는 없으며, 교체 주기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연구에 따라 보철의 평균적인 수명이 10년 정도로 보고된 것도 있기는 하지만, 이것이 10년마다 보철물을 교체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며, 개인의 식습관, 구강위생 관리 능력 등에 따라 수명이 짧아질 수도 있고, 10년 이상이 지나도 문제 없이 오래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때문에 양치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면 충분히 오랜 기간 잘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특별히 증상이 없고 검사 결과에서도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기존의 보철을 계속 사용해도 되나, 주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해당 치아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검사를 체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