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임플란트 보철 파절이 됐는데...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1. 단순히 임플란트 보철물이 일부 깨졌다는 질문만으로는 정확한 구강상태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증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파악이 불가능합니다. 원인을 알지 못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완화될지 여부도 알 수 없습니다.다만 보철물 제작시 인접면이 높이와 다르게 제작하지 않으며, 인접면과 높이를 같이 제작합니다. 만약 질문자의 내용처럼 처음 보철물이 높았던 경우라면 이 높이에 적응을 했다가 해당 높이가 낮아지며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며 다시 적응하며 증상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목에 걸린 느낌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으로 씹는 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 외 여러 원인이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상태를 보지 않고는 판단이 어렵습니다.2. 다른 곳에서 보철물을 재제작하는 것 자체는 가능하나, 이미 좌측의 교합을 조정한 상태이므로 우측의 보철물을 재제작하더라도 씹는 높이 자체에 대한 큰 변화는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하지만 정확한 상태를 보아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므로, 다른 치과로 내원하여 한번 더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Q. 스케일링 주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정확한 기간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스케일링 주기는 개개인의 구강위생 상태에 따라 적정 주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1. 구강위생이 양호하고 충치나 잇몸염증 등의 질병이 없는 사람은 1년1회 스케일링으로도 충분합니다.2. 구강위생이 중간정거나 잇몸에 가벼운 염증이 잘 생기는 분 등은 6개월에 1번정도가 적당합니다. 간혹 위생관리는 잘 하더라도 치석이 잘 쌓이는 사람도 6개월에 한번정도가 적당합니다.3. 구강위생이 좋지않고 치은염이나 치주염이 있는 경우에는 그 정도에 따라 3~6개월마다 스케일링 및 잇몸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스케일링은 치아 표면의 치석이나 치태를 '떨어뜨리는' 치료로, 자주 받는다고 해서 스케일링으로 인해 치아나 잇몸의 손상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오히려 스케일링을 하지 않아 치석 등이 오래 방치되는 경우에는 잇몸질환이나 치주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특정 치과를 추천하는 것은 아하 정책상 금지되는 질문 및 답변이므로 생략합니다.다만, 스케일링 시 출혈이 나는 것은 해당 부위 잇몸에 이미 염증이 있어 붓고 충혈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자극이 오면서 피가 터지는 것이며,건강한 잇몸에서는 피가 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