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스케일링을 반드시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스케일링은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으로 치아 표면의 치석이나 치태 등을 떨어뜨리는 술식으로(수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기구로 치석 등을 떨어뜨리는 술식), 치석이나 치태가 치아 표면에 침착이 되어 있을 경우, 잇몸 안쪽으로 세균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여 잇몸 염증이 발생하고, 점차 진행되어 치주염(풍치)로 진행되게 됩니다. (치석 자체의 날카로운 표면으로 인해 잇몸이 상처를 입는 효과도 있습니다)이러한 잇몸 염증의 발생을 줄이고 치주염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시행하게 됩니다.집에서 칫솔질을 열심히 하더라도 100% 완벽하게 닦는다는 것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석 등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비록 '치아'는 건강할 수 있어도 '잇몸'까지 건강한 지는 알기 어려우며, 만약 만성 치주염으로 진행되어 치아 주변의 뼈가 크게 파괴되는 경우에는 치아가 흔들리게 되고 결국 발치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때문에 최소한 1년에 1회는 구강검진을 겸하여 스케일링은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초등학교 4학년 남아 교정 문의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부정교합의 종류에 따라, 골격의 발육에 문제가 있는지와 없는지에 따라, 또한 그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 시기와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때문에 교정치과에 내원하여 방사선 사진을 포함한 검사를 받으신 후 적절한 치료시기와 치료계획의 수립이 가능합니다.다만 초등학교4학년인 경우에는 이미 소아교정(1차교정)시기가 지났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직 유치들의 탈락 기간이 2년 이상 남은 경우에는 먼저 1차교정(소아교정)을 한 뒤 차후 2차 교정을 고려할 수 있지만, 남은 유치들이 탈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이 그 이하인 경우에는 전체적인 교정기간이 오히려 더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1-2년 정도를 더 기다렸다가 교정치료를 시작합니다.앞서 말했듯 이런 판단은 정확한 검사 후에 가능하므로, 우선 치과에 내원하여 전체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치석이 안생기려면 어떠한 관리를 해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석은 치아 표면의 치태가 굳어져 단단해진 물질입니다.치태는 침에 음식물 찌꺼기나 단백질, 바이러스 등이 결합하여 치아 표면에 끈쩍하게 달라붙는 물질입니다.결론적으로 치석은 치태가 먼저 발생해야 형성이 되는데, 치태는 침을 분비를 막을 수 없고, 음식을 먹어야 하기 때문에 그 형성 자체를 막을 수는 없습니다.개인별로 타액 성분의 차이 등을 원인으로, 다른사람보다 치석이 더 많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하지만 치태가 형성되었을 때 이를 빠른 시간 안에 제거해 주면 치석이 형성되는 것을 어느정도 억제할 수 있습니다.식사 후에 3분 이내에 음식물 찌꺼기 등의 제거가 되지 않으면 금새 치아에 치태가 생성됩니다. 때문에 하루 3번, 식후 3분 이내에 , 3분 동안 칫솔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치실이나 치간칫솔도 사용하여 칫솔질로 닦이지 않는 치아와 치아 사이 면의 청소도 깨끗히 해 주어야 합니다. 가글을 적정횟수 사용해 주면 세균수를 조절하여 치석 형성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동시에 최소한 1년에 1회는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스켈링한지 14일경과 했는데 이가 시려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스케일링 후에는 일시적으로 시릴 수 있지만, 2주가 지났는데도 시린 경우라면 스케일링으로 인한 시림이 아니라 다른 원인으로 인한 시린 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시린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원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1.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 - 이 경우에는 보통 씹을 때 시린거나 순간적으로 찌릿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