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구멍난 어금니, 깨진 치아 치료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1. 뚫린 부위나 정도를 알 수 없으므로 발치가 필요한지, 떼우는 치료가 필요한지, 인레이나 크라운 등의 보철치료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2. 마찬가지로 깨진 정도를 알 수 없고 위아래 치아의 관계도 알 수 없어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불가하나, 떼워서 치료하는 경우도 있고, 신경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3. 하나의 치아의 손상은 해당 치아의 문제로 국한되는 경우보다는 가깝게는 인접한 치아부터 크게는 전체적인 치열에까지 영향을 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때문에 해당 치아를 방치하는 경우 다른 치아에 이상이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Q. 찬 음식을 먹으면 한쪽 이만 시려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시리다고 내원하시는 경우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잇몸염증이나 치주염으로 잇몸이 들뜬 경우 - 잇몸이 부어 치아와의 접촉이 약해짐으로써 치아 뿌리에 자극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이나 필요시 잇몸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2.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3.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 - 이 경우에는 보통 씹을 때 시린거나 순간적으로 찌릿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단순히 잇몸이 좋지 않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시린 경우에는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치주염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치아에 이상이 생겨 예민해진 경우 초기에는 찬물에 시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는 반응이 없지만(급성 치수염), 신경이 점점 변성되어 가면서 점점 찬물에 대한 반응은 약해지고 뜨거운 물에 대한 반응이 커질 수 있습니다(만성 치수염). 급성인 경우에는 단순히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ex. 떼워주는 등의 치료) 치료가 종결되지만, 만성 치수염의 경우 자극을 제거하더라도 신경이 변성되어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