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뼈이식까지한 임플란트 수명은 언제까지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잇몸뼈의 파괴가 있어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충분한 뼈가 없는 경우에는 잇몸뼈를 이식하게 되며, 임플란트 수술시 흔하게 병행되는 치료 중 하나입니다.뼈이식을 했다고 하여 뼈이식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수명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며, 임플란트 수술 후 관리 정도에 따라 수명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임플란트를 포함한 보철의 평균적인 수명은 10년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관리에 따라 수명이 더 짧아질 수도 있고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임플란트 주변에도 원래의 치아와 마찬가지로 음식물 찌꺼기가 잔류할 수 있고,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치태가 침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잇몸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잇몸 염증의 발생, 회복이 반복되면서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주염이 발생 하여 임플란트가 흔들릴 수 있고 이경우에는 임플란트를 뽑아야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때문에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치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면 충분히 오랜 기간 잘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이빨금시 덮었는데도 검게변한는건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금니로 치아를 덮어 씌웠다면 금니 내부의 치아가 보이지 않는데, 치아가 검게 변한다는 증상을 발견한 상황을 알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금니를 씌운지 오래되어서 잇몸이 퇴출되어 금니 하방의 치아가 노출되었는데 해당 부분이 검게 보이는 것인지, 금니에 구멍이 생겼는데 해당 부위가 검게 보이는 것인지, 혹은 다른 원인으로 검게 보이는 것인지를 정확히 알아야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금니 내부에 충치가 생긴 경우라면 충치로 인한 치아 손상 정도에 따라 다시 크라운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손상 정도가 크다면 발치를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또한 신경치료된 치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검게 변색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질문만으로는 어떤 경우인지 정확한 판단이 어려우므로, 이상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라면 치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