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또래 집단에서 소외되는 아이, 부모가 해줄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친구 관계에서 소외되는 이유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전달하지 못함과 친구의 놀이 및 대화의 참여를 하는 것에대한 어려움이 크기 때문 입니다.이러한 부분의 어려움이 큰 이유는 아이의 기질적인 부분으로 인해서 입니다.아이의 기질이 소심하고, 소극적이고, 내성적이고, 내향적이고, 낯가림이 심하다면 친구와 관계의 대한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부모님은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각 상황에 적절한 행동,언어, 제스처 그리고 친구의 놀이 및 대화에 참여하는 방법과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Q. 6살 아이가 학원을 다니는 것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의 성격이 낯가림이 심하고, 소극적인 기질이 높다 라는 것을 부모님은 알고 계십니다.이러한 부분을 알고서도 아이를 학원에 보냈다 라는 것은 아이에게 큰 장애물을 건너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아이는 이러한 큰 장애물을 보고 감히 건널 수 없었을 것이고, 두렵고 무섭고 공포감 까지 가지게 되어서그야말로 마음의 불안함은 더욱 더 커져만 갔을 것이고, 마음의 깊은 상처가 패이고 패여 고름이 가득 차 있었을 것입니다.낯가림이 심하고 소극적인 아이들을 무조건적으로 학원을 보내는 것이 능사가 아닙니다.가장 먼저 해주셔야 할 점은 아이의 낯가림과 소극적인 부분을 극복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아이에게 필요로 하는 것은 새로운 환경과 새로운 사람에게 적응하면서 그들과 소통하는 것입니다.아이에게 적절한 활동은 역할극 입니다.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각 상황에 적절한 행동,언어,제스처 및 자신의 생각과 감정 그리고 의견을 제시하고,전달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구요.또한 학원을 보내고자 할 때는 새로운 환경과 분위기를 알려주고, 새로운 환경의 사람들이 어떠한 사람들이고.새로운 환경에서 어떠한 것들을 경험하게 될지를 미리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