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마음소통 아동전문가 천지연 입니다.

마음소통 아동전문가 천지연 입니다.

천지연 전문가
어울누리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체스를 잘하기 위해서는 어떤식으로 공부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와 체스를 하면서 졌다라면 승부욕을 가지는 것은 좋지 않겠습니다.아이에게 졌다면 그 졌음을 깨끗이 인정하고, 아이에게 " 우리 00 이번 게임에서 이긴 것을 축하해 " 라고 인사를 전하는 것이 멋진 사람의 자세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보여주는 것이 아이에게 멋진 아빠의 모습이 되어질 것이고, 이러한 매너의 기본은 아이에게 인성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어질 것입니다.게임에서 지고 이기는 것은 그날의 운 입니다.또한 게임에서 좋은 결과를 얻고자 한다면 그날의 패배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다음 번에는 어떻게 대처를 하면 될지를 전략을 잘 짜놓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이번에 이모가 애기하고 같이 와서 잠깐 봐줬는데 자꾸 물건같은걸 입에 넣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기들은 빨기 욕구가 강합니다.빠는 것으로 탐색하고 그 물건의 형태를 인식 합니다.즉, 빠는 것으로 맛과, 생김새, 질감, 온도 등을 파악하는 부분이 큽니다.이러한 시기를 구강기 라고 합니다.구강기는 프로이트 발달의 1단계로 아기가 입을 통해 탐구하고 욕구를 해결하는 행동을 보이는 시기를 뜻힙니다.아기가 빠는 행동을 보이는 것은 생존을 위한 기본적이고 본능적인 욕구 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가 자꾸 본인의 준비물 챙기는걸 잊어버립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본인의 준비물을 챙기는 것을 잊어버리는 이유는 분명 이제까지 부모님이 아이의 준비물을 다 챙겨주었던 습관이 있었기 때문 입니다.이제부터는 자신의 준비물은 자신 스스로 챙길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해 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아이가 준비물을 잘 챙기지 못한 부분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화를 낸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자신의 준비물을 잘 챙기지 않는 행동은 본인의 책임이 큰데 그 책임의 부분을 남에게 떠안기고 오히려 그 상대의 잘못으로 돌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이러한 행동들이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고민이 있습니당ㅜㅜ...!!!!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의 잘못된 행동의 교정이 필요로 할 것 같다고 담임 선생님이 전달한 이유는 부모님에게 아이의 행동적 지도를 부탁을 드리기 위함이 컸을 것입니다.그러나,아이의 훈육은 선생님 앞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아이가 가정으로 돌아오면 아이를 조용히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서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눈을 마주치며 오늘 있었던 일 중 잘못된 점을 단호히 알려주고,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이해를 도와가며 눈높이 설명을 해준 후, 아이의 행동을 개선시켜 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이러한 아이의 행동지도는 아이의 행동의 변화가 보일 때 까지 꾸준히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매일 밥상머리교육 시간을 통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아이가 정말 잘 한 행동이 있었다면 담임 선생님도 우리 00가 이러한 부분에서 이렇게 행동을 했어요 라고 적어주셨으면 좋았겠다 라는 아쉬움은 있습니다.아마도, 제 생각은 부모님과 담임선생님과의 소통의 오류가 있는 것 같아요.각자 개인의 감정만 높이고 아이에 대한 부분의 대해서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부분이 큰 것 같습니다.지금 현재는 개인적인 감정은 접어두고 아이의 행동을 개선하여 아이가 원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두 사람의 역할 인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만4세 딸아이 말을 할 때 입을 안 움직이는데 어떻게?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에게 억지로 발음을 전달방법을 알려주긴 보담도놀이의 형식, 게임이 형식으로 발음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오히려 학습적 효과가 클 것 입니다.또한, 아이가 어려워 하는 부분이 크다면 그것을 아이가 될 때 까지 계속 장기간 시키는 것은 오히려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 밖에 되지 않습니다.적당한 시간을 두고 아이와 함께 발음 연습을 하는 것이 좋구요,아이에게 지금 발음 연습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 이유에 대해서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도 필요로 하겠습니다.
2112122132142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