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강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강하 전문가입니다.
이강하 전문가
대구광역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예금·적금
2개월 전 작성 됨
Q.
예금자 보호법에 가입된 은행인지 확인하는 사이트가 있나요 저축은행 파킹통장에 4800씩3군데 넣으려고 해요
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에 '보호대상 금융회사 목록'이 게시되어 있습니다.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예금·적금
2개월 전 작성 됨
Q.
올 9월부터는 예금자보호한도가 1억으로 상향되는데 1억 이상 예금시 저축은행에 하는 게 금리적인 측면에서 나은 선택일까요?
저축은행은 제1금융권보다 금리가 높아 단기 자금 운용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1억 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니 그 폭이 더 넓어졌습니다.다만 가입하시고자 하는 상품이 보호 대상인지는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개월 전 작성 됨
Q.
과열예고가 종목에 달리게 되면 실제로 어떤 영향을 주나요?
종목에 ‘과열’이나 ‘단기과열’ 표시가 붙으면 일정 기간 동안 단일가 매매만 허용됩니다.따라서 거래 속도가 느려지고, 급등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투자자들은 투자경고를 강한 상승 신호로 해석해 추가 매수에 나서 주가가 더 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개월 전 작성 됨
Q.
코스피 200에 들면 어떤 좋은 점이 있는가요
코스피 200에 편입되면 그 기업은 시장에서 우량 기업으로 인정받게 되고 연기금이나 ETF 같은 기관투자자의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 코스피200 선물·옵션 같은 파생상품의 기초자산이 되기 때문에 거래량과 시장 노출도가 함께 증가합니다. 이런 점이 기업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전반적으로 기업에 유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개월 전 작성 됨
Q.
기업이 자사주 매입공시를 하게되면 기간내 반드시 매입해야하나요?
기업이 자사주 매입을 공시한다고 해서 반드시 공시한 기간 내에 자사주를 전부 매입해야 하는 법적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은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공시한 뒤 실제로 그 전량을 매입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공시된 계획과 실제 매입 결과 사이에 큰 차이자사주를 장내에서 매입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하루에 '최근 1개월 간 일평균 거래량의 25% 이내'로만 매입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