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에서 해외로 고가물품 보낼때 신고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경제 분야 전문가 전경훈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물품의 가격이 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수출신고가 필요합니다. 수출신고는 내국물품을 외국으로 반출하기 위해 세관에 물품을 신고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그러나 가격이 2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수출신고가 없더라도 반송 운송장만 있으면 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이는 내국물품을 외국으로 반출하는 행위를 수출신고로를 통해, 수출로 인한 혜택을 받거나 수출실적을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수출신고를 해야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만족하셨다면 좋아요(👍)를 클릭해주세요.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Q. Fob조건 인보이스 서류 작성 시 문의
안녕하세요! 경제 분야 전문가 전경훈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FOB 규칙에서는 물품이 지정선적항에서 본선에 선적될 때까지의 모든 비용을 매도인이 부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비용은 물류비, 통관비용, 그리고 기타 추가적인 요금 등을 포함하여 산출됩니다. FOB 비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수출제비용(선적비용 + 수출통관비용 + 창고료 + 검사비 + 인수비용 + 수출용포장비) + 수출경비/이익(이익 + 잡비 + 통신비 + 금리) + 기본원가 (매입가격 + 제조원가)수출제비용은 선적비용, 수출통관비용, 창고료, 검사비, 인수비용, 수출용포장비 등을 포함합니다. 이에 더해 수출경비와 이익, 잡비, 통신비, 금리 등의 경비와 이익을 더합니다. 마지막으로, 기본원가인 매입가격과 제조원가를 더하여 계산합니다.따라서, FOB 금액에는 아래 비용들이 포함되어 한번에 산정되므로 참고하여 주시기 바라며, 내륙운송료를 별도로 기재하여도 무방합니다. 대신 해당 비용은 FOB 가격에 포함이 되지 않았다는 내용을 기재하거나 수입자측에 전달해주셔야 합니다.해외 수출 시 관세사는 필수는 아니지만, 관세사를 통해 수출 절차를 진행하면 관세 및 세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수출 신고, 통관 절차, 관세 납부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만족하셨다면 좋아요(👍)를 클릭해주세요.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Q. 중량 40kg(0.04T)에 0.23CBM의 경우, 해상보다 항공운송(무역)이 유리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 분야 전문가 전경훈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해상 운임의 기본 운임은 중량이나 용적 단위로 결정됩니다. 중량은 Ton 또는 kg 단위로 표시되며, 용적은 CBM(포용미터)로 표시됩니다. 이 둘 중에서 운임이 높은 쪽으로 운임톤(Revenue ton: R/T)이 결정되며, 운임톤을 기반으로 기본 운임을 계산합니다.항공운송에서 운임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중량 기준은 운임산출중량(C/W: Chargeable Weight)입니다. 이는 화물의 총중량(Total Gross Weight)과 총용적중량(Total Volume Weight)을 비교하여 더 많은 쪽이 운임적용중량(Chargeable Weight)으로 결정됩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Weight Break별로 Rate를 적용받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량을 결정하고 요율을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임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위에 내용에 따라 해상운송은 부피나 중량이 큰 물품에는 유리하나 말씀하신 물품의 크기의 경우에는 오히려 항공운송이 운임이 더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산출 될 수 잇는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만족하셨다면 좋아요(👍)를 클릭해주세요.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Q. 우리 나라의 수출 주력 상품을 제조하는 곳은 어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 분야 전문가 전경훈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한국은행이 발간한 "우리나라 주요 제조업 생산 및 공급망 지도"는 반도체, 자동차 등 우리나라의 11개 주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지역별 생산 현황과 공장의 소재지, 생산품의 국가별 및 제품별 수출, 그리고 생산에 필요한 소재, 부품, 장비의 수입 등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우리나라 주요 제조업 생산 및 공급망 지도(2023)」 발간https://www.bok.or.kr/portal/bbs/P0002125/view.do?nttId=10079007&menuNo=200774&pageIndex=1■ 발간 안내 및 일러두기■ 목 차■ 내 용 1. 반도체 2. 디스플레이 3. 무선통신기기 4. 자동차(전기차 포함) 5. 자동차부품 6. 철강 7. 조선 8. 석유정제 9. 석유화학 10. 기계장비 11. 전기장비(이차전지 포함)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만족하셨다면 좋아요(👍)를 클릭해주세요.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Q. 통관 과정에서 어떤 검사가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경제 분야 전문가 전경훈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특송물품에 대하여는 X-ray 검사, 무작위선별 등으로 검사하여 수입금지품이나 과세물품의 불법통관을 방지합니다.특송물품은 반입 후 세관검사장으로 이동하여 X-RAY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X-RAY 검사가 끝난 후 다시 특송물품 반입장소로 와서 수입신고 및 수리 후 국내택배 인계 하게 됩니다. 모든 특송업체들이 화물들을 세관검사장으로 이동시켜 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X-RAY 검사로 인해 통관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만족하셨다면 좋아요(👍)를 클릭해주세요.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