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전문가
증권사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요즘 달러 환율 너무 요동치는데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환율이 변동하는 이유에 대해 알게되면 간단합니다.원/달러 환율은 원래 이렇게 변동성이 심하진 않습니다.그러나 변동하는 원인은 있습니다.대내외적 리스크, 정치적 리스크가 발생했거나..이런 원인들에 따라 변동합니다.비상계엄 사건 +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관세 부과 예정이렇게 두 사건이 합쳐져서 환율이 크게 변동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정치적 리스크(ex. 비상계엄)가 발생하게 되면 외국인들은 우리나라에 투자를 꺼리게 됩니다.뭐.. 구체적 이유를 설명하고 싶지만,쉽게 설명하자면 전쟁이 난 국가에 투자를 하고 싶겠냐, 라고 물으면 아니라고 하는 사람이 많겠죠.그런 개념입니다.대내외적 리스크(ex.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관세 부과)가 발생하게 되면,수입이 줄어들게 됩니다. 관세를 부과했는데 수입이 어렵게 되죠.관세를 부과한다는 것은 교역을 줄이겠다는 것이니까,미국 내 기업들도 외국으로의 투자보다는 미국 내의 투자를 선호하게 됩니다.다른 국가들도 미국에서 활동해야하는데 그게 어려워지니까미국에서 공장을 짓고 활동하려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달러가 필요합니다.이렇게 국가들이 미국에 직접적으로 모이기 시작하면 미국 경제는 강세가 기대됩니다.달러화 자산 투자가 증가합니다. 그렇게 되면 강달러가 진행됩니다.미국 내 투자, 미국 내 공장 짓기, 미국으로 모두 직접적으로 모이는 국가들,모든 공통점은 바로 달러 수요가 많아진다는 것입니다.달러 수요의 증가는 결정적으로 달러화 가치를 증가시킵니다. 강달러를 유발합니다.앞으로의 방향은.. 미국에 달렸습니다..관세정책이나 통화정책에 따라 달라질 것 같네요!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홈플러스가 회생절차를 신청한 배경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기사에 따르면,홈플러스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공시된 신용평가에 온오프라인 매출 증가와 부채비율 개선 등 많은 개선사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신용등급이 하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신용등급이 낮아져 단기자금 측면에서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단기자금 상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이날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해 단기자금 상환 부담이 가중되어, 이를 경감하기 위함도 있고, 잠재적인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만일의 사태를 사전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그런 결정을 내린 것일 수도 있겠네요.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전략자산이라는 것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전략자산이란 국가나 기업이 장기적인 경제적/안보적 이익을 위해 보유하는 핵심 자산을 의미합니다.더 쉽게 말하자면 국가 안보, 경제 안정, 미래 대비를 위해 중요한 가치가 있는 자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대표적인 전략자산 예시는 금, 외환, 원유입니다. 전략자산은 장기적으로 가치가 유지되거나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자산이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들은 국가 안보, 경제 안정, 국제적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됩니다.어느 곳에서든지 통용이 가능하고, 활용이 가능한 자산이어야 전략자산으로 인정이 된다는 것입니다.즉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매입한다는 것은,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인정한다는 뜻입니다.한마디로 금, 외환, 원유 같은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정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디플레이션의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건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소비자 입장에서 물가가 하락한다해서 좋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디플레이션은 좋은게 아닙니다.예를 들어볼게요.물가가 하락합니다. A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A 회사에서는 물고기를 판매합니다.그러나 디플레이션이 발생해서 물고기의 가격이 내려가게 됩니다.물고기의 가격이 내려가게 되면은 매출액이 줄어들게 됩니다.매출액이 줄어들게 되면은 물고기를 잡는데 필요한 비용, 공장 유지 비용, 직원들의 월급 등이러한 것들을 충당하기가 어려워집니다.물가가 떨어지는데 이러한 비용들도 떨어지는게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각 항목마다 물가가 떨어지는 폭도 다릅니다.그렇기에 부담은 절대적으로 늘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직원들의 월급이 줄어든다면 직원들은 퇴직을 할 수도 있고,혹은 월급을 줄 상황이 안되어 해고를 시킬 수도 있습니다.적은 매출액으로 인해 사람들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가 줄어듭니다.무엇보다 디플레이션 전 부채가 있는 사람들의 부채 부담은 훨씬 커지게 되어 소비를 줄이게 될 것입니다.5억을 빌린 사람이 디플레이션이 발생한 뒤에 5억을 갚으려고 하면 엄청 힘들 것이기 때문입니다.뭐.. 예를 들자면 1990년대의 5억과 2025년의 5억의 가치는 다르다는 것을 파악하신다면이 부분은 이해가 갈 것으로 파악됩니다.이렇게 소비를 줄이게 되면 기업의 매출액이 더 줄어듭니다.직원들을 더 자릅니다, 규모를 줄입니다.이렇게 악순환이 지속되면 경제는 위축하게 됩니다.우리나라만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해외로의 투자 또한 줄어듭니다.해외 땅들이나 인력은 상대적으로 더 비싸질텐데, 해외 자원들을 이용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이렇게 판단하신다면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실겁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금리 역전 현상은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안녕하세요. 류경민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를 내리는 이유에 대해서 알게된다면 언제까지 지속될지 대강 예측이 됩니다.금리는 왜 내릴까요? 근본적인 이유로 설명하자면 경기를 보고 판단합니다.경기가 침체된 상황이라면 금리를 내려 경기를 부양시킬 것이고,경기가 과열된 상황이라면 금리를 올려 과열된 경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통화정책의 핵심 목적은 물가상승률 조정입니다. 현재 미국 Fed는 물가상승률, 즉 인플레이션을 2%로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가 안정이 최우선인거죠.최근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를 발표했었죠. Fed는 이를 인플레이션 기준으로 삼게 되는데, 예상을 벗어나지 않는 결과로 인플레이션에 대해 안도했었습니다. 이는 3월 19일에 있을 FOMC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볼 수 있겠네요. 그러나 어디까지나... 정책결정자의 판단이 중요해서 확정지을수는 없지만 추가적인 금리인하 횟수는 줄어들 것 같네요!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