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광해군때 편찬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조선시대에 유교이념을 보급하고 이 책을 통해 백성들을 교화시킬 목적으로 편찬되었습니다. 광해군 이전 세종대에 집현전에서 삼강행실도를 편찬하였고 언해본(한글번역본)이 성종대에 만들어졌습니다. 중종대에는 속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가 편찬되었습니다. 광해군 대의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특징은 동국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충신, 열녀, 효자들의 사례만으로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신속은 앞에서 언급된 삼강행실도와 속삼강행실도의 구조를 이어받고 새롭게 구성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삼강행실도는 백성들에게 유교이념을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한자본, 언해본 뿐만아니라 책의 사례를 그림으로도 표현했습니다. 이는 한자는 물론 한글도 모르던 평민, 농민들인 백성들에게 책의 뜻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광해군 대의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는 임진왜란으로 인한 왕권의 약화와 왕실에 대한 백성들의 불신을 해결하기 위한 의도도 있었습니다. 임진왜란을 몸소 겪고 분조를 이끌었던 광해군은 이러한 조선왕실의 권위약화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할 수 밖에 없었고 왕권강화를 위한 여러 정책들을 펼치게 되었는데 그 연장선에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편찬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